• 제목/요약/키워드: Mean Power

Search Result 2,17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농업용 트랙터의 프론트 로더 충격 저감을 위한 유압 회로의 설계 개선 (Improved Design of Hydraulic Circuit of Front-end Loader for Bump Shock Reduction of an Agricultural Tractor)

  • 조봉진;안성욱;이창주;윤영환;이수성;김학진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3권2호
    • /
    • pp.10-18
    • /
    • 2016
  • A front-end loader (FEL) mounted on an agricultural tractor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implements to mechanize routine agricultural tasks. When the FEL is used with a loaded bucket, careful operation is required to maintain safety and avoid spillage when the tractor passes a bump because a change in the gravity center of the tractor due to varied loadings can affect the stability of the tractor. Use of a boom suspension system consisting of accumulators and orifice dampers can be instrumental in reducing pitching vibrations while increasing the handling performance of the FEL-mounted tracto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reduce bump shocks by adding an orifice and a flow control valve to the original hydraulic circuit composed solely of accumulators. A simulation study was performed using the SimulationX program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n accumulator and an orifice-throttle damper on bump shocks. Results showed that the peak pressure on a boom cylinder and the vertical acceleration of a bucket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use of both an accumulator and an orifice damper. In a field test conducted with a 75-kW tractor, the peak pressure of the boom cylinder, and the root mean square (RMS) vertical acceleration of the bucket and seat were reduced by on average, 23.0, 42.2, and 44.9% respectively, as compared to those measured with the original accumulator system, showing that an improved design for the accumulator hydraulic circuit can reduce bump shock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sign a tractor suspension system that includes the effects of cabin suspension and tires as well as dynamic analysis.

여성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 여성건강간호센터에서의 교육을 중심으로 - (Health Educational Program for Women's Health in Women's Health Care Center)

  • 이은희;최상순;소애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7-8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women's health problems using Green & Kreuter's(1991) PRECEDE model and to develop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women's health. The subjects were recruited women from Wonju city 18 years or older. 1. The results showed that about 50% of the women were satisfied with their lives as women, 23% of the sample felt there was a need for a women's health care center. The mean number of health problems was 3.1 and the prevalence rate, 44.4%. 2. We developed on educational program according to group differences related to health problems, diagnosis of disease, variables influenc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programs which each group wanted. Also we stressed self-efficacy and self-help group for the management of individual health to all groups. 3. The diagnoses of diseases that were experienced premarital over the past year were gastritis, bronchitis, spinal disk, and fracture, for the childbearing/rearing group, gastritis, vaginitis and cervicitis, cervical cancer and cystitis and nephritis and arthritis and for the middle-aged/elderly group arthritis, gastritis, vaginitis and cervicitis, and spinal disk. Of the sample 30.5% did not have a health exam in the past year, and only 10% of the premarital group, 12.5% of the childbearing/child-rearing group, and 18.3% of the middle aged-elderly group were concerned about their health and did something for their health. 4. The average score on the HPLP was 2.41. the HPLP was scores according to group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self-efficacy, family functions, health attention and were considered important variables in the premarital group, in the childbearing/child-rearing group self-efficacy, family functions, internal locus of control, health attention, and health perception and power others locus of control and then for the middle aged-elderly group self-efficacy, health atten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family functions and health perception. 5. There are a few educational programs in the city provided by the Wonju Health Center and by community health nurse practitioners. The premarital group requested the educational programs on diet, health exercise, family health and stress management. Also the childbearing/child-rearing group wanted programs on diet, family health, stress management, and health exercise, and the middle-aged/elderly group wanted that of family health, diet, climacteric changes stress management and health exercise. The program suggested that this program should be applied to women in the community to insure adequate management of women's health. Follow-up research with PROCEED is needed to analyze health outcomes, also, a women's health nursing specialist system is required to develop health promotion,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women.

  • PDF

카를로스 알베르토 광장의 니체 (Nietzsche in the Square of Carlos Alberto)

  • 이왕주
    • 철학연구
    • /
    • 제142권
    • /
    • pp.221-241
    • /
    • 2017
  • 논자는 영화예술의 본질을 니체의 예술생리학의 관점에서 해명해보고자 한다. 니체에 따르면 영화에서 빛나는 미장센들은 작가인 감독의 힘에의 의지의 표현이다. 그것은 자, 수, 추 등의 플라톤식 척도로써 모방을 재모방해낸 게 아니라 감독의 몸카메라(body-camera)로써 생의 약동하는 근원 표상 대지(Erde, die $urspr{\ddot{u}}ngliche$ Vorstellung)를 프레임화해낸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영화는 본질적으로 몸과 대지가 카메라로 매개되는 생의 예술(die Kunst des Lebens)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영화예술을 감상하는 데 필요한 것은 눈이나 머리가 아니라 몸이다. 하지만 이때의 몸은 자본에 의해 조작, 통제, 변용되는 할리우드 표준관객의 둔중한 신체를 뜻하지 않는다. 우리는 상처와 도취로써 흔들리는 몸, 저 춤추는 듯 싱그럽고 가벼운 몸으로 작품 앞에 서야 한다. 이런 경우에만 '몸으로 영화보기'는 일상에서 작은 혁명들을 성취해낼 수 있다. 가령 벨라타르의 영화 <토리노의 말>을 그런 몸으로 접하게 된다면 우리는 더 이상 왜소화된 인간, 저 떼거리화된 인간(der Herde-Mensch)에 머물러 있지 못한다. 또한 벨라 타르의 저 심원한 미장센들은 왜 니체가 '진리로부터 멸망 당하지 않기 위해서 우리에게 예술이 있다'고 했는지 깨닫게 해줄 것이다.

Prognostic impact of chromogranin A in patients with acute heart failure

  • Kim, Hong Nyun;Yang, Dong Heon;Park, Bo Eun;Park, Yoon Jung;Kim, Hyeon Jeong;Jang, Se Yong;Bae, Myung Hwan;Lee, Jang Hoon;Park, Hun Sik;Cho, Yongkeun;Chae, Shung Chull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8권4호
    • /
    • pp.337-343
    • /
    • 2021
  • Background: Chromogranin A (CgA) levels have been reported to predict mortality in patients with heart failure. However, information on the prognostic value and clinical availability of CgA is limited. We compared the prognostic value of CgA to that of previously proven natriuretic peptide biomarkers in patients with acute heart failure.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272 patients (mean age, 68.5±15.6 years; 62.9% male) who underwent CgA test in the acute stage of heart failure hospitalization between June 2017 and June 2018.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348 days. Prognosis was assessed using the composite events of 1-year death and heart failure hospitalization. Results: In-hospital mortality rate during index admission was 7.0% (n=19). During the 1-year follow-up, a composite event rate was observed in 12.1% (n=33) of the patients. The areas under the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s for predicting 1-year adverse events were 0.737 and 0.697 for N-terminal pro-B-type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and CgA, respectively. During follow-up, patients with high CgA levels (>158 pmol/L) had worse outcomes than those with low CgA levels (≤158 pmol/L) (85.2% vs. 58.6%, p<0.001). When stratifying the patients into four subgroups based on CgA and NT-proBNP levels, patients with high NT-proBNP and high CgA had the worst outcome. CgA had an incremental prognostic value when added to the combination of NT-proBNP and clinically relevant risk factors. Conclusion: The prognostic power of CgA was comparable to that of NT-proBNP in patients with acute heart failure. The combination of CgA and NT-proBNP can improve prognosis prediction in these patients.

지역사회 당뇨병 노인의 당뇨병 임파워먼트와 건강인식이 당뇨병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abetes Empowerment and Health Perception on Diabetes Self-Care Behavior in Community Diabetic Elderly)

  • 박금옥;정수경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43-49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당뇨병 노인을 대상으로 당뇨병 임파워먼트, 건강인식, 당뇨병 자가간호행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당뇨병 노인의 당뇨병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일 지역 보건소에 등록된 65세이상 당뇨병 노인 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평균 나이는 71.15세였고 남자가 41명, 여자가 39명이 포함되었다. 당뇨병 자가간호행위는 경제적 상태(r=.245, p=.029), 당뇨병 임파워먼트(r=.406,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건강인식(r=.127, p=.263)과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당뇨병 노인의 당뇨병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요인으로 당뇨병 노인의 당뇨병 임파워먼트와 경제적 상태가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수정된 모형의 설명력은 19.6%(F=10.623, p<.001)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사회 당뇨병 노인의 당뇨병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지역사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공중보건 차원에서 경제적 지원 정책도 함께 제공된다면 지역사회 당뇨병 노인의 자가간호행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중년여성의 자아탄력성, 부부의사소통, 정신건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go-resiliency, Marital communication, and Mental health on Happiness in middle aged women)

  • 신매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78-388
    • /
    • 2021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자아탄력성, 부부의사소통, 정신건강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자는 239명으로, 평균연령은 54.15±6.38세 이었다. 연구분석 방법은 SPSS 21.0을 사용하여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제 변수간의 차이, 자아탄력성, 부부의사소통, 정신건강, 행복감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중년여성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아탄력성 평균 3.46점((1-5점), 부부의사소통 평균 2.44점(1-5점), 정신건강 평균 1.82점(0-4점), 행복감 3,21점(1-5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서 행복감의 차이는 교육수준(F=3.406, p=.035), 주관적 건강상태(F=7.385,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제 변수들간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행복감은 자아탄력성(r=.393, p=<.001)은 정적상관관계를 보였고 신체화(r=-.134, p=.039), 우울(r=-.356, p<.001), 불안(r=-.269, p<.001)과는 부적상관 관계를 보였다. 중년여성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은 우울(β=-.437, p<.001)자아탄력성(β=.350, p<.001), 신체화(β=.239 p=.009), 건강상태: 보통(β=-.150, p=.009), 나쁨(β=-.147, p=.015)로 30.4%의 설명력을 보였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14.02, p<.001).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의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자아탄력성을 증진시키고 정신건강을 강화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생들의 긍정심리자본과 교수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Professor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 임성우;정헌식;송민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86-395
    • /
    • 2021
  • 본 연구 목적은 대학생들의 긍정심리자본, 교수지지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고,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20년 8월 30일부터 10월 30일까지 편의 표집한 대학생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긍정심리자본과 교수지지는 성별, 진로결정, 경제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진로준비행동은 성별(t=3.52, p<.001), 전공(F=10.85, p<.001), 진로결정(t=4.98,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긍정심리자본(r=.45, p<.001)과 교수지지(r=.40, p<.001)는 진로준비행동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전공, 진로결정유무, 긍정심리자본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요인에 의한 설명력은 32.5%였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전공별로 대학생들의 긍정심리자본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진로 및 상담지도를 계획하여야 한다. 또한, 대학생 시기에 자신에게 맞는 진로나 직업을 탐색하고 목표를 세우기 위해 다양한 진로탐색의 기회를 제공하고, 긍정적인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야 한다.

타공판에 따른 전기집진기 내의 유동분포 (Flow Distribution in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a Perforated Plate)

  • 김동욱;정상현;심성훈;김진태;이상섭
    • 청정기술
    • /
    • 제25권2호
    • /
    • pp.147-152
    • /
    • 2019
  • 각종 산업시설과 발전시설에서 배출되는 입자상 물질의 문제로 인하여, 입자상 물질의 제거 효율이 뛰어난 전기집진기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전기집진기의 효율은 전기집진기 내부의 유동분포에 매우 큰 영향을 받으므로, 전기집진기 내부의 유동 균일화를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입부, 디퓨저, 본체, 수축부로 구성된 길이 3.5 m, 높이 0.875 m 전기집진기를 제작하였다. 디퓨저에는 3개의 타공판을 설치하였다. 5개의 피토관을 높이 방향으로 부착하여 전기집진기 단면 55지점의 유속을 측정하였다. 디퓨저에 타공판이 설치되었을 때, 전기집진기 내부의 유동분포는 RM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타공판의 타공률 변화에 따른 유속분포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타공판이 전기집진기 내부의 유동분포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큼을 확인하였고, 디퓨저 입구에서부터 40%, 50%, 50% 타공률을 가진 타공판을 설치하였을 때, 가장 균일한 유동분포를 나타내었다.

신장이식 환자의 치료지시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reatment Adherence of Kidney Transplantation Recipients)

  • 이정아;김영아;정향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19-628
    • /
    • 2019
  • 본 연구는 신장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지시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설명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 대학병원 외래를 방문하는 신장이식 환자 132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7년 7월 17일부터 2017년 8월 22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4.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분산분석, 상관관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연령, 종교의 유무, 이식 후 경과기간에 따라 치료지시이행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또한 총 사회적 지지(r=.54, p<.001), 가족의 지지(r=.43, p<.001), 의료인의 지지(r=.57, p<.001) 및 자가 간호지식(r=.21, p=.015) 역시 치료지시이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회귀분석의 결과, 치료지시이행의 영향요인은 의료인의 지지, 신장이식 후 경과기간, 배우자 유무, 종교의 유무였고, 최종 설명력은 41.9%였다. 결론적으로, 신장이식 환자들의 치료지시이행을 높이기 위해 의료인의 지지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중재방안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재가노인의 청력장애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aring Handicap on Depression and Self-efficacy in the Elderly at Home)

  • 이영미;하은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71-57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재가노인의 청력장애 정도를 살펴보고, 청력장애가 우울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8월 21일부터 9월 7일까지로 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3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재가노인 278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4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와 ANOVA, S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청력장애와 우울, 자기효능감 평균 점수는 각각 10.91(${\pm}19.83$), 4.75(${\pm}3.90$), 46.87(${\pm}6.75$) 등으로 나타났다. 청력장애와 우울은 양의 상관관계(r=.228, p<.001)가 있었고 자기효능감과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284, p<.001), 우울과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526, p<.001)가 있었다. 청력장애는 자기효능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beta}=-.161$, p=.008)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27.2%로 측정되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력장애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다학제적 중재 및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