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underachievers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초

서술 및 면담 평가를 통한 수학학습부진아의 인지적.정의적 특성 분석 (Analyses on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Mathematically Underachievers by Descriptive tests and Interviews)

  • 남미선;박만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229-25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make fair assessment methods which took into account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ly underachievers. The researchers devised an descriptive tests and interviews and applied them to the mathematics underachievers who could not reveal their achievements in the traditional assessment and then analyzed their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alternative assessments. After selecting three students by the normal assessment made of simple subjective and multiple choice questions, th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found in the general assessment were reflected to the descriptive tests and interviews. The descriptive tests and interviews are comprised of descriptive narrations and informal interview questions. After the assessment, the teacher and students gave feedbacks one another. All the assessment activities were recorded by a camcorder to analyze cognitive and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Throughout the research,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The mathematics underachievers showed the characteristics which didn't appeared in the normal assessment. They showed normal abilities of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In the cognitive area. Also they brought in positive result in most parts in the affective area. However, the student B displayed considerable ability of mathematical thinking that is over the average level of mathematical underachievers. This implies that we can definite the mathematical underachievers differently when we use the detailed and relief assessment method instead of the traditional assessment. On the other hand, one student tended to depend on the teacher and another student overheard what the others talk during the study. This defect should be complemented by the further studies about assessment method for the mathematical underachievers. Also appropriate assessment methods should be made for applying to the various mathematical underachievers. Many studies have been concentrated on the learning for mathematical underachievers but there is little concern about the assessment for the mathematical underachievers. However it is the fundamental way to reduce the number of mathematics underachievers that we construct consistent learning methods and assessments for the mathematical underachievers.

  • PDF

초등수학 학습부진아의 수학불안요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of Mathematics Anxiety of Mathematical Underachievers in the Elementary School)

  • 정지연;김성준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315-335
    • /
    • 2008
  • 본 연구는 초등수학 학습부진아들의 수학불안요인을 분석해봄으로써 이들의 수학불안요인 처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가, 나, 다 급지별로 2개 학교씩 6개 초등학교 4, 5, 6학년 수학학습부진아 308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느끼는 수학불안요인과 학년별, 성별 차이에서 비롯되는 불안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학학습부진아들의 경우 수학불안요인에서 수학교과 요인, 학습자 태도 요인, 환경 요인, 교사 요인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수학불안에서는 4, 5학년에 비해 6학년의 수학불안이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수학불안요인에서는 전반적으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수학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수학의 추상성, 수학교육과정, 시간부족 요인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나, 교사 권위 요인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초등수학 학습부진아들의 수학불안은 학년 및 성별에 따라 그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일반초등학생들과 비교했을 때 학습부진아들이 느끼는 수학불안이 높다는 사실로부터 수학불안이 초등수학에서 학습부진의 원인 가운데 하나임을 확인할 수 있다.

  • PDF

학습 부진아의 수학적 성향 제고를 위한 수학캠프 (A Study on the Math. Camp to Improve Underachiever's Mathematical Disposition)

  • 박혜숙;박기양;김영국;박규홍;박윤범;임재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8권2호
    • /
    • pp.129-144
    • /
    • 1999
  • The purpose of our work is to developing the program of math. camp to improve underachiever's mathematical disposition. To do this, the following research were taken; (1)Analysis of current status of programs for underachievers (2)Analysis of inclination to mathematics(We collected the data from 2 classes of middle schools) (3)Prepare and apply the program of math. camp for the students including underachievers, and then analysis the effect of the math. camp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Only 40% of investigated schools have their own programs for underachievers. But almost all general high schools do not have such programs because students do not want. More than half of the investigated teachers suggeste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underachievers is the induction of motivation for mathematics. (2)Many students dislike mathematics from 5∼6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more than 50% of students think that 'measure' and 'equations' items are difficult. (3) After attending the math. camp based on the games and activities in small groups, the students in the middle-ranking group showed more positive reactions against the items of mathematical disposition and attitude tests. The students in the row-ranking group were improved in the 'self-confidence' and 'will' items of mathematical disposition test and in the 'superiority' and 'interest' items of mathematical attitude test.

  • PDF

수학 학습 부진아의 개별화 교수 방법 (A Study on the Individualized Teaching method for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 류성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3권2호
    • /
    • pp.115-13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eaning, factors, and diagnostic method of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and to propose the idea of the individualized teaching method for underachievers. For the first purpose, previous literatures on underachievers are reviewed. For the second purpose, this study described the procedure of developing the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program, and the method of diagnosing and prescribing errors in mathematics. In the future, individualized instructional program need to be developed based on correct diagnosis of factors effecting under achievement for the effective teaching of underachievers.

  • PDF

인지적으로 안내된 교수 원리를 적용한 수학학습부진아 지도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eaching Mathematics Underachievers by the Principles of Cognitively Guided Instruction)

  • 김지혜;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789-806
    • /
    • 2010
  • 최근 우리사회에서 소외계층에 대한 관심과 배려의 목소리가 더욱 높아지면서, 수학교육에서도 수학학습부진아 지도에 대한 교육계의 관심이 더욱 증대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를 위해서 학생들의 인지적 특성을 고려한 교수원리가 수학학습부진아의 문제해결력과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서울특별시 소재의 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 가운데서 수학학습부진아로 판명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발적 지원자 10명을 선정하여 '인지적으로 안내된 교수 원리'를 적용하였다. 이 결과 이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문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풀 수 있는 능력과 함께 풀이 과정을 말이나 글, 그림으로 설명하는 능력이 신장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사고를 존중하는 학습 환경으로 인해서 학생들이 수학 학습에 임하는 태도 및 수학적 성향 측면에서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그리고, 이 연구를 통해서 수학학습부진아들은 대체로 자신의 수학적 생각을 표현하는데 언어적 어려움을 드러내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수학학습부진아에 대한 효과적인 지도를 위해서는 학생 개개인의 특성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갖고 있는 수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기본개념과 귀인송환을 활용한 학습 부진아의 자기효능감과 수학 학습 능력 향상 방안 (Effects of Abstraction offer of basic concept and Attributional Feedback of Self-efficacy and Mathematical study ability of Math Underachievers)

  • 안종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9권3호
    • /
    • pp.299-31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bstraction offer of basic concept principle and feedback of self-efficacy attributional and mathematical study ability of math underachievers in high school based on the attribution theory and self-efficacy theory. The hypothesis were posed as below : Hypothesis 1: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akes the abstraction offer of concept principle and attributional feedback training would be better at most self-efficac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oesn't. Hypothesis 2: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akes the abstraction offer of concept principle and attributional feedback training would have better math achievement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oesn't.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attribution dispositi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children were measured by pretest and posttest. For data analysis, SPSS/PC+ program was employed and t-test was conduct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 First, the abstraction offer of concept principle and attributional feedback training was effective for enhancing the math self-efficacy in high school underachievers. Second, the abstraction offer of concept principle and attributional feedback training was effective for increasing the math achievement in high school underachievers.

중학교 3학년 수학학습부진아가 함수 분야에서 겪는 어려움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Difficulties in the Area of Function Suffered by the 3rd Grade Middle School Mathematics Underachievers)

  • 진선미;송영무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187-20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수학학습부진아가 함수 분야에서 나타나는 어려움과 이에 대한 지도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좀 더 심층적인 학습 부진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 인터뷰, 녹음과 관찰 등을 통한 사례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수학학습부진아는 일반 학생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유사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다음으로 수학학습부진아는 일반 학생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차이를 보이는 어려움으로 문제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 선수 학습 결손으로 인한 어려움, 형식화하여 답을 찾으려고 하는 어려움, 대수 기호의 구분을 정확히 하지 못함으로써 겪는 어려움 그리고 두 점을 지나는 직선의 기울기를 구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함수 학습에 나타난 수학 학습부진아의 오류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Error of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in Function Learning)

  • 심상길;최재용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275-288
    • /
    • 2008
  • 본 연구는 수학 학습부진아들이 중학교 함수를 재학습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사례별로 분석하여 그 원인을 수학과 특성, 함수학습에서의 오류 유형 등과 결부시켜 논의를 하였다. 수학 학습부진아들은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다 알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가장 기본적인 내용에서 학습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주어진 문제에서 요구하는 풀이나 답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인식하지 못하여 자신에 옳다고 생각하는 부분까지만 풀거나 주어진 문제를 해석하는 데에 있어 자신이 생각하기 편리한대로 해석하여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교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학생들에게 질문하고, 문제를 이해하고 계획을 세우는 단계에서 무엇을 구해야하는지 학생 스스로 알 수 있도록 돕고,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상황이나 현실적인 문제에서 시작하여 그 내용을 이해시킨 후 특수한 예를 통해 일반화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방법 등 수학 학습 개선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 PDF

문제중심보완수업이 수학과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vised problem based instruction on raising achievement of mathematics underachievers)

  • 이혁재;임문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8권2호
    • /
    • pp.115-128
    • /
    • 2004
  • This study i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preceded research that problem based instruction is effective in acquiring advanced mathematical knowledge but is not effective for raising mathematical achievement. The treatment of this experimental research is named 'revised problem based instruction' because it adds an expository session to the original problem based instruction. T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re that revised problem based instruction is effective in raising mathematical achievement of underachievers.

  • PDF

빈도 분석 및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수학 교과에서 기초학력 관련 연구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Basic Academic Abilities in Mathematics with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 조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4호
    • /
    • pp.615-633
    • /
    • 2023
  • 본 연구는 수학 교과에서 기초학력 및 학습부진에 관련한 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고자 2023년 8월까지의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연구 197편의 국문 초록을 자료로 수집하여 빈도 분석 및 LDA 기반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TF 및 TF-IDF 기준으로 '학업성취', '영향', '효과', '변인'은 모두 상위권에 위치하였다. 둘째, LDA 기반 토픽모델링을 실시한 결과, 기초학력 미달 발생 원인,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학습 실태, 수학 학습부진학생 지도 교사의 전문성, 수학 학습부진학생 지원 프로그램,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로 5개 토픽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수학 교과의 기초학력 및 학습부진에 관한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학습부진학생의 성장에 초점을 둔 연구, 수학 교과에서 학습지원을 필요로 하는 학생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체계화하는 연구, 수학 교과에서 학습지원대상학생을 지도하기 위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관한 연구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