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concept

검색결과 1,415건 처리시간 0.03초

Topology on Semi-Well Ordered Sets

  • Angela Sunny;P. Sini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64권1호
    • /
    • pp.161-169
    • /
    • 2024
  • A semi-well ordered set is a partially ordered set in which every non-empty subset of it contains a least element or a greatest element. It is defined as an extension of the concept of well ordered sets. An attempt is made to identify the properties of a semi-well ordered set equipped with the order topology.

THE COINCIDENCE OF HYBRID HYPERIDEALS AND HYBRID INTERIOR HYPERIDEALS IN ORDERED HYPERSEMIGROUPS

  • NAREUPANAT LEKKOKSUNG;NUCHANAT TIPRACHOT;SOMSAK LEKKOKSUNG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42권1호
    • /
    • pp.31-47
    • /
    • 2024
  • The concept of hybrid structures integrates two powerful mathematical tools: soft sets and fuzzy sets. This paper extends the application of hybrid structures to ordered hypersemigroups. We introduce the notions of hybrid interior hyperideals in ordered hypersemigroups and demonstrate their equivalence with hybrid hyperideals in certain classes, including regular, intra-regular, and semisimple ordered hypersemigroups. Furthermore, we provide a characterization of semisimple ordered hypersemigroups in terms of hybrid interior hyperideals.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비례 추론 능력 분석 -'비교' 상황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Proportional Reasoning Understanding of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focusing to 'comparison' situations-)

  • 박지연;김성준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5-129
    • /
    • 2016
  •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학적 과정은 수학적 추론, 수학적 문제 해결, 수학적 의사소통의 형태로 강조되고 있으며, 수학적 추론의 한 형태인 비례 추론은 비와 비율 개념과 관련된 추론이다. 비례 추론은 초등학교 수학에서 규칙성 영역의 핵심이면서 중등수학에서 학습하는 함수 개념의 기본이 된다. 본 연구는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사이에 놓인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례와 관련된 형식적인 알고리즘을 배우기 전 단계에서 비례 추론의 특징과 유형을 분석해봄으로써 비례 추론을 사용하는 학생들의 문제해결전략과 오류를 살펴본다. 이를 위해 먼저 비례 추론 문항을 개발하고,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비와 비율을 학습하기 전후에 비례 추론 관련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또 어떠한 오류가 나타나는지를 분석한다. 그 결과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은 문제의 조건과 유형에 따라 다양한 비례 추론 전략을 활용한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곱셈적 추론 수준에 있으며, 비례 추론 검사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전략으로는 분수 전략과 간비교, 내비교 전략 등이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상대적인 비교를 필요로 하는 문제의 경우 문제의 이해 단계에서부터 어려움을 나타냈다. 따라서 절대적 상대적 변화를 비교하는 수준에 이를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비례 추론 문항 개발이 요구되며, 이와 함께 비례 추론 상황을 포함하여 지도할 수 있는 교수 방안의 개발이 요구된다.

삼각형의 외심, 내심의 정의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a Circumcenter and an Incenter of Triangle)

  • 전영배;강정기;노은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55-375
    • /
    • 2011
  • 본 연구는 삼각형의 외심, 내심의 기능적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그들 의 정의에 대한 교수 학습 상황에 대한 도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삼각형의 외심, 내심의 정의는 현 교과서에서 3가지로 분류될 수 있으며, 이들을 각각 구성에 초점을 맞춘 정의, 의미에 초점을 맞춘 정의, 구성과 의미 모두에 초점을 맞춘 정의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들 각 정의가 갖는 맥락, 의도, 목적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삼각형의 외심, 내심의 각 정의 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였다. 구성에 초점을 맞춘 정의는 개념의 실체와 무모순성을 강조한 정의로 학습자가 이 개념이 무모순임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라는 것을 분석 해 내었다. 한편, 이 정의는 다각형의 외심, 내심의 의미를 고려하여 정의를 하였으며,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삼각형의 외심, 내심은 다각형의 외심, 내심과 연계된 지도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 정의는 용어와 정의의 괴리로부터 발생하는 개념 혼란으로 인해 정의에 대한 숙지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의미에 초점을 맞춘 정의는 개념 정의와 개념 이미지는 일치하여 정의를 숙지하는 것이 용이하지만, 개념의 실체를 발견하고자 할 때 구성이 어려운 상황을 연출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결과적 지식이지만 발생적 맥락 을 간직한 정의이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정의에 대한 지도는 개념 발생 맥락 및 과정이 분리되어 지도되어서는 안 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구성과 의미 모두에 초점을 맞춘 정의는 시작점이 모호할 뿐 만 아니라 기존에 제시된 정의와는 다른 형태이기 때문에 개념 정의에 대한 인식이 어려울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수학 교육 현장에서 삼 각형의 외심, 내심의 정의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 PDF

통계적 개념 발달에 관한 인식론적 고찰 (An Epistemological Inquiry on the Development of Statistical Concepts)

  • 이영하;남주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3호
    • /
    • pp.457-475
    • /
    • 2005
  • We have inquired on what the statistical classes of the secondary schools had been aiming to, say the epistermlogical objects. And we now appreciate that the main obstacle to the systematic articulation is the lack of anticipation on what the statistical concepts are. This study focuses on the ingredients of the statistical concepts. Those are to be the ground of the systematic articulation of statistic courses, especially of the one for the school kids. Thus we required that those ingredients must satisfy the followings. i) directly related to the contents of statistics ii) psychologically developing iii) mutually exclusive each other as much as possible iv) exhaustive enough to cover all statistical concepts We examined what and how statisticians had been doing and the various previous views on these. After all we suggest the following three concepts are the core of conceptual developments of statistic, say the concept of distributions, the summarizing ability and the concept of samples. By the concepts of distributions we mean the frequency views on each random categories and that is developing from the count through the probability along ages. Summarizing ability is another important resources to embed his probe with the data set. It is not only viewed as a number but also to be anticipated as one reflecting a random phenomena. Inductive generalization is one of the most hazardous thing. Statistical induction is a scientific way of challenging this and this starts from distinguishing the chance with the inevitable consequences. One's inductive logic grows up along with one's deductive arguments, nevertheless they are different. The concept of samples reflects' one's view on the sample data and the way of compounding one's logic with the data within one's hypothesis. With these three in mind we observed Korean Statistic Curriculum from K to 12. Distributional concepts are dealt with throughout but not sequenced well. The way of summarization has been introduced in the 1 st, 5th, 7th and the 10th grade as a numerical value only. One activity on the concept of sample is given at the 6th grade. And it jumps into the statistical reasoning at the selective courses of ' Mathematics I ' or of ' Probability and Statistics ' in the grades of 11-12. We want to suggest further studies on the developing stages of these three conceptual features so as to obtain a firm basis of successive statistical articulation.

  • PDF

GROUPOID AS A COVERING SPACE

  • Park, Jong-Suh;Lee, Keon-Hee
    • 대한수학회보
    • /
    • 제21권2호
    • /
    • pp.67-75
    • /
    • 1984
  • Let X be a topological space. We consider a groupoid G over X and the quotient groupoid G/N for any normal subgroupoid N of G. The concept of groupoid (topological groupoid) is a natural generalization of the group(topological group). An useful example of a groupoid over X is the foundamental groupoid .pi.X whose object group at x.mem.X is the fundamental group .pi.(X, x). It is known [5] that if X is locally simply connected, then the topology of X determines a topology on .pi.X so that is becomes a topological groupoid over X, and a covering space of the product space X*X.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the locally simple connectivity of a topological space X is applied to the groupoid G over X. That concept is defined as a term '1-connected local subgroupoid' of G. Using this concept we topologize the groupoid G so that it becomes a topological groupoid over X. With this topology the connected groupoid G is a covering space of the product space X*X. Further-more, if ob(.overbar.G)=.overbar.X is a covering space of X, then the groupoid .overbar.G is also a covering space of the groupoid G. Since the fundamental groupoid .pi.X of X satisfying a certain condition has an 1-connected local subgroupoid, .pi.X can always be topologized. In this case the topology on .pi.X is the same as that of [5]. In section 4 the results on the groupoid G are generalized to the quotient groupoid G/N. For any topological groupoid G over X and normal subgroupoid N of G, the abstract quotient groupoid G/N can be given the identification topology, but with this topology G/N need not be a topological groupoid over X [4]. However the induced topology (H) on G makes G/N (with the identification topology) a topological groupoid over X. A final section is related to the covering morphism. Let G$_{1}$ and G$_{2}$ be groupoids over the sets X$_{1}$ and X$_{2}$, respectively, and .phi.:G$_{1}$.rarw.G$_{2}$ be a covering spimorphism. If X$_{2}$ is a topological space and G$_{2}$ has an 1-connected local subgroupoid, then we can topologize X$_{1}$ so that ob(.phi.):X$_{1}$.rarw.X$_{2}$ is a covering map and .phi.: G$_{1}$.rarw.G$_{2}$ is a topological covering morphism.

  • PDF

라디안 개념의 역사적 분석과 수학적 분석 (A Historical and Mathematical Analysis on the Radian)

  • 유재근;이경화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4호
    • /
    • pp.833-855
    • /
    • 2017
  • 본 연구는 삼각함수 각의 크기를 표현하기 위해 라디안 단위를 새로 도입하는 이유로서 호의 길이를 이용한 각의 측도라는 호도법의 의미와, 삼각함수의 정의역이 일반각을 나타내는 실수로 확장된 이유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라디안 개념의 다각적인 교수학적 분석을 하고자, 역사적, 수학적, 응용수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호도법은 각도에 내재된 본질이고, 라디안은 원주율(${\pi}$)과 밀접한 이론적이고 절대적인 단위이며, 삼각함수를 실함수로 함을 밝혔다. 둘째, 라디안은 동심원에서 비와 비례 관계의 공변성을 거쳐 불변성을 인식하도록 할 것, 라디안으로 표현한 코사인과 사인의 직교성이 임의의 함수의 급수 표현을 가능하게 함, 라디안은 호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측도하는 가장 단순화한 표준임을 인식하도록 할 것, 분할 전략을 통해 육십분법과의 연결성을 찾을 수 있음을 밝혔다. 셋째, 각과 각도의 구별로, 라디안 단위의 생략 여부에 대한 정당화와, 호와 반지름 사이의 곱셈 관계 전략이 필요함을 밝혔다. 이로써 도출한 교수학적 시사점은 라디안 개념의 유용성과 가치를 드러내고, 호도법의 실질적인 지도에 기여할 수 있다.

수학원리와 특성 진단을 기반으로 한 공개키 RSA 알고리즘의 현장 적용 프로세스 (A Study of Field Application Process of Public Key Algorithm RSA Based on Mathematical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through a Diagnostic)

  • 노시춘;송은지;문송철
    • 서비스연구
    • /
    • 제5권2호
    • /
    • pp.71-81
    • /
    • 2015
  • RSA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에서는 소수, 키 생성, 소인수분해, 오일러 함수, 키 셋업, 합동식과 법, 지수 처리가 응용된다. 이와같은 알고리즘의 토대는 수학원리이다. 수학원리 중에서 첫 번째 개념은 소수를 구하여 응용하는 방법에서 출발한다. 두 개의 매우 큰 소수의 곱을 구하는 것은 용이 하지만 그 곱에서 원래의 두 개의 소수를 역 추적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원리를 이용한다. p와 q를 매우 큰 소수라 하면 이 두 개의 곱 $n=p{\times}q$를 구하는 것은 쉽지만 역으로, 합성수인 n에서 p와 q를 추적하는 방법은 거의 불가능하다. RSA 암호화 알고리즘에서는 수학적으로 역함수 계산이 어려운 일방향 함수를 구현하기 위해 자리수가 많은 양의 정수의 소인수 분해 문제를 사용하고 있다. 역 방향으로의 계산을 어렵게 하기 위해 mod의 개념을 소인수 분해 문제에 더해서 사용한다. 암호화에 대한 관심분야는 대개 알고리즘 구현과 사용에 집중되고 있지만 막상 암호 알고리즘을 처음 도입하는 경우에는 어떤 프로세스를 거쳐야 현장 업무에 적용되는지를 알 수 없다. 본 연구는 공개키 알고리즘 속성 진단을 기반으로 한 현장 업무 암호화 적용 프로세스 방안을 제시한다.

초등학생의 수학 일기 쓰기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the Writing Typ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sented in Mathematics Journal)

  • 고상숙;박만구;김정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85-10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수학 일기 유형들을 분석하고 학년이 올라가면서 수학 일기에서 어떤 변화를 보이는지를 파악하여 수학교육에서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학 일기 경진대회'에 제출한 교구수학부문 222편의 자료 중 미성년자 학생과 그 학생의 학부모 동의를 모두 받은 170편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학 일기 유형 분석을 위한 틀은 3명의 연구자 간의 독립적인 분석을 통해 12개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생들이 쓴 수학 일기 쓰기의 유형으로 관찰 일기, 문제 만들기, 개념 정리 일기, 복습 일기 등 다양한 일기를 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 영역으로는 수와 연산 영역과 도형 영역에서 두드러지게 일기 쓰기를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학 일기 쓰기에서 나타난 유형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실험에 의한 관찰일기, 문제만들기, 개념정리일기 등이 눈에 띄게 증가하였고, 소수이지만 아이디어 일기와 설명 일기가 새롭게 나타났으며, 반면 게임을 통한 (승리) 전략 세우기와 같은 유형은 하락하였다. 이는 활동중심 또는 단순한 묘사를 필요로 하는 유형에서 수학적 개념을 적극적으로 적용하는 유형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수학 일기의 유형은 12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지만 학교 현장에서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글쓰기에 교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겠다.

수학영재교육 대상자의 수학용어에 대한 오개념 실태 조사 (An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thematical Misconceptions Held by the Gifted Education Learners)

  • 남승인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79-198
    • /
    • 2011
  • 수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 중의 하나인 문제해결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그 기저가 되는 수학적 개념에 대한 이해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 대상자들이 갖고 있는 수학 용어에 대한 오개념의 실태 및 형성 배경을 추정해 봄으로써 수학 오개념 예방 및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지도에서 고려해야 할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측면에서 오개념의 의미 및 형성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오개념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생을 대상으로 수와 도형 영역의 수학 개념을 진술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으로 올바르게 진술한 학생은 35% 정도이며, 개념형성 수준을 4수준으로 나눌 경우 관점에 따라 예(例)와 비례(非例)의 구별할 수 있는 2수준과 개념의 공통적 속성을 인식하고, 자신의 표현으로 기술할 수 있는 3수준인 학생이 대부분이다. 그 배경을 추정해 보면 제한된 범례 제시, 잘못된 선개념, 개념 정의와 개념 이미지 사이의 불균형 등에서 찾을 수 있겠다. 이러한 추정을 바탕으로 수학적 용어에 대한 오개념을 해소 방안을 개괄적으로 정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