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riage immigration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3초

농촌지역 취약계층의 주거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dential using of Socially Vulnerable in Rural Areas)

  • 고인호;이동숙;윤충열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1-8
    • /
    • 2012
  • Due to difficulty of marriage with women in Korea, unmarried men in countryside tend to have an international marriage. A ratio of international marriage was 3.7% in 2004, but increased by over 10% in 2004 due to the change of population composition in countryside. Without social or national preparation on a multicultural family and an increase of elder who lives alone made problems such as changes of population composition in countryside, a high rate of divorce due to differences on culture and society. These problems are becoming critical problems in countryside, not only for a family. This Study has a purpose as below, Firstly, this study will examine living place of elder who live alone and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ly, characteristics of using each space will be analyzed and then surveyed efficiency and satisfaction. The result of survey will be provided to space planning for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ed households, the elderly ratio of 70 to 80 units high, and when the elderly become less than 10 years, 51.6%, 77.4% of women were overwhelmingly high.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in the middle or early 2000s when immigration is concentrated and national origin in Vietnam was 66.7 %. Housing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with elderly housing type, the ratio improved to 61.3% is Majority. Type strain and 29% in traditional houses, traditional housing type is 9.7%. And house of multicultural families improve housing type is 87.5% Majority. The main space of the housing for the elderly, most are usually satisfied. But generally low level of self-determined housing survey confers real. These results have lived a long time because of space adaptation and can be viewed as attachment. For the elderly passive use of space and simplify the Act and heating cooling at the expense of the use of housing space due to the reduction, but multicultural families is the space required for the growth of their children because there are more modifications required.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의 성공적인 결혼적응 (Successful Marriage Adaptation of Korean Husbands Who are Multicultural Families)

  • 정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337-35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들이 경험한 성공적인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7명의 남편들을 대상으로 2개월간의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편들은 '준비 안 된 결혼'으로 인해 '결혼생활 후회'까지 경험하지만 '자녀양육', '가사참여' 그리고 '친구 및 직장동료 인정'이 중재적 조건으로 성공적인 결혼적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사회복지 정책적으로는 예비배우자에 대한 정보제공 의무화, 근로기준법과 육아휴직제 준수, 방문지도사제도 확충, 남편을 위한 안내서 제작과 출입국관리사무소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그리고 각 주민자치센터 비치배포, 다문화가정에 대한 지속적 사회인식개선 제안과 사회복지 실천적 대안으로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국내결혼 부부와 함께 하는 프로그램, 시부모와 가족과 함께 하는 프로그램, 남편들의 가사참여증대를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 남편들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접촉 경험에 관한 연구 - 한국 전통명절을 중심으로 (A Study on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s Cultural Contact Experience - Based on Korean Traditional Holidays)

  • 융티탄프엉;김영순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861-87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의 원(原)문화와 이주국 문화 간에 일어나는 문화접촉 양상을 그들이 경험하는 한국 전통명절을 통해서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사례연구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자료수집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7명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베트남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은 자국 문화를 경험한 상태에서 한국문화와 접하게 되면서 한국문화에 대한 호감을 갖게 되는 반면에, 모국과 한국의 문화차이로 인한 갈등도 상당히 겪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자신이 처해 있는 가정적 그리고 사회적 환경에서 적극적으로 적응하려는 모습을 이들의 한국 전통명절 경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들의 성공적인 이주생활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베트남계 다문화가정에서의 화목한 가정생활을 위해서는 일방적으로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한국과 결혼이주여성 모국 문화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가정을 함께 꾸려나갈 수 있도록 상호문화교육이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결혼이주여성들이 명절자리에서 가족 간의 유대감이나 소통을 느끼지 못한 것이 발현되었는바, 전통명절과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행사 등의 진행이 전제되어 공동체의 유대감을 증진시키는 전통명절의 기능을 확보해야 한다.

사회적 지지가 결혼이주여성의 자존감, 우울,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on Married Immigrant Women's Self-esteem, Depression, Stress)

  • 조혜경;임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56-46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지지가 결혼이주 여성의 자존감과 우울,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결혼이주 여성들의 우울 및 일상생활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 및 중재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 여성 126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는 소득수준(p=.001<.01)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는 자존감(r=.569,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자존감, 일상생활 스트레스 그리고 우울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수의 자기상관과 독립변수 간 다중공선성을 검토한 결과 자존감은 2.452, 일상생활 스트레스는 2.418, 우울은 2.278로 자기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적 지지(p<.001)는 자존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β=.472) 자존감이 높아졌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결혼이주 여성들의 우울 및 일상생활 스트레스 감소를 통해 그들이 더욱 안정된 가정생활, 사회생활을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며, 결혼이주 여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다양한 형태의 사회적 지지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국내 베트남 결혼이민여성과 한국인 배우자의 식이섭취 및 식습관에 대한 상관관계 (Dietary Intakes and Eating Behaviors of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to Korea through Marriage and Korean Spouses and Correlations of Their Diets)

  • 김선혜;김화영;유지은;정혜원;황지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2-30
    • /
    • 2009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nutritional status and similarities of diets between Vietnamese female immigrants and Korean spouses and dietary changes of Vietnamese females after immigration. Subjects were 608 couples visiting 13 medical centers for the Cohort of Intermarried Women in Korea from November 2006 to November 2007. Anthropometric and biochemical measurements were obtained and dietary intakes were assessed using one-day 24-hour recall. Sixty-eight percent of wives answered there have been changes in their diets and consumptions of meats, fish, dairy products, vegetables, and fruits increased after immigration. Energy intakes of wives and spouses were 1491.7 kcal and 1788.8 kcal, respectively, showing most couples (80.1%) consumed less than the Korean estimated energy requirements. More than half of the couples were below the Korean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of zinc, vitamin $B_2$, and folat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couples ranged 0.15-0.38 for unadjusted, 0.22-0.35 for per 1000 kcal, and 0.21-0.40 for energy-adjusted, respectively. The proportions of couples in the same quartiles of each nutrient intake and in the same answers of each ques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were about 30% across nutrients and around 50% across questions. The length of residence is related to similarities of nutrient intakes between couples: similarities decreased after 3 years of residence in Korea. In conclusion, nutritional intakes of inter-married couples were inadequate although wives reported that their dietary intakes increased after immigration. Inadequate nutrient intakes of wives were partly explained by similar diets between couples because these wives without enough adjustment to Korean culture were more likely to follow what their spouses ate. Findings from this study may be helpful to improve the nutritional status of inter-married couples and make policies and programs for them. A follow-up study should identify factors affecting inadequate nutritional status of intermarried couples and similarities of their diets.

다문화사회의 관광정보 웹 콘텐츠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Tourism Information Web Contents in Multicultural Society)

  • 이용재;김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413-422
    • /
    • 2010
  • 1990년 이후 외국인 노동자의 이주를 시작으로 최근 우리 사회는 다문화사회에 직면하고 있다. 아울러 한국에서 결혼이민자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이주민과의 공존이 사회적 화두가 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사회적 서비스는 미비한 실정이다. 최근 문화체육관광부의 이주민 문화향수실태조사에 의하면, 이주민이 가장 희망하는 여가 활동은 '여행'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회적 추세를 고려하여 이 연구는 이주민의 한국 여행에 대한 정보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관광정보 웹 콘텐츠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존 관광 웹 콘텐츠의 현황을 분석하고 웹사이트 '부산 문화관광'을 주요 사례로 분석하였다. 특히, 여행관련 웹 콘텐츠 중 VOD영상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를 위하여 이주민들과의 인터뷰를 거침으로써 이주민의 눈높이에 맞춘 웹사이트 평가를 시도하였다. 평가결과, 콘텐츠품질에서 가장 불만족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서비스, 인터페이스 순으로 불만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혼이주여성의 종교성향과 결혼적응의 관계에서 종교적 문제해결의 매개효과 (Moderating Effect of Religious Problem Solv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us Orientation and the Marital Adjustment of Marriage Immigrant Women)

  • 석창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93-203
    • /
    • 2018
  •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종교성향과 결혼적응과의 관계에서 종교적 문제해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도시(서울), 농촌(경북) 지역 그리스도인 302명(개신교 185명, 천주교 117명)을 대상으로 종교성향, 종교적 문제해결, 결혼적응검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종교성향, 결혼적응, 종교적 문제해결 모두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교성향과 결혼적응과의 관계에서 종교적 문제해결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결혼이주여성의 종교성에 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상황에서 종교성향과 종교적 문제해결이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종교성 요인에 대하여 질적 분석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종교적 삶을 입체적으로 조망할 필요가 있겠다.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이용 결정 연구 : 개인차와 환경의 조절효과 중심 (Moderating Factors associated with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Needs and Social Service Utilization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 한지은;이계승
    • 사회복지연구
    • /
    • 제49권1호
    • /
    • pp.133-161
    • /
    • 2018
  • 여성결혼이민자와 그 가족을 위해 많은 예산과 자원이 사용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서비스가 실제 도움을 필요로 하는 개인에게 전달되어지는지에 대한 보다 기초적 확인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및 한국생활지원에 대한 욕구를 지닌 여성결혼이민자가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는데 있어서 영향을 미치는 조절 요인을 규명하고, 향후 다문화 가족지원센터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2015년에 실시한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 구사능력이 좋은 사람은 한국생활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으며, 한국어 구사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이민자는 욕구의 유무와 관계없이 센터를 이용할 가능성이 높았다. 둘째, 배우자와의 관계에 만족할수록 센터이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절효과는 검증되지 않았고, 반면 한국인 배우자의 가부장적 태도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서비스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제언을 제시하였다.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건강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Immigrant Women Married to Koreans)

  • 안양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0-210
    • /
    • 2008
  • Purpose: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n 8-session health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the health of married immigrant women. Method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as employed. The subjects included 36 female marriage immigrant women (1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9 in the control group)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intervention involved 8 sessions with a partnership strategy and was led by Public Health Nurses and the researcher. Our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Fisher's exact tes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terms of self-efficacy between the two groups. The mean of their self-efficacy was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whereas there no mean differences were detect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health knowledge and self-esteem. Additionally, the knowledge of the immigrant women was correlated with their self-efficacy. Conclusion: The 8-session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self-efficacy, even with the limitations to methodological rigors posed by the subject-specific conditions. In the future, health education materials written in the native language of such women will need to be develop. Additionally, repeated studies will be required that invol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characterized by better methodological strength and strategies to enhance participants’ interests and motives.

  • PDF

다문화 및 북한이탈주민 가정 자녀의 정신건강 (Children's Mental Health in Multicultural Family and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 이소희;이선혜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4권3호
    • /
    • pp.124-131
    • /
    • 2013
  • South Korea is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an increase in international marriage, foreign workers and transcultural immigration. In addition, the number of North Korean defectors entering South Korea has increased and now, there are approximately 25000. Therefore, this review have focused on a research that pertains to adaptation and mental health concerns of their children. Children who have immigrated themselves or whose parents have immigrated, might experience language barriers, difficulties in school adjustment, identity confusion and mental health problems. However, their academic performance and developmental status are known to be variable and be affected by socioeconomic status and their parents' educational level. Studies that evaluated the psychological problems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indicated the need for interests in both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The risk factors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mental health are suggested to be past traumatic experiences, long duration of defection and short period of adaptation. When mental health professionals provide assessment and treatment, they should consider the pre- and post-migration experiences & cultural background that affect the illness behaviors and attitudes toward mental illnesses. Lastly, the majority of children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 are still under an adolescent period and we should follow up with long-term perspec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