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ccessful Marriage Adaptation of Korean Husbands Who are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의 성공적인 결혼적응

  • 정혜원 (배재대학교 실버보건학과)
  • Received : 2017.03.20
  • Accepted : 2017.04.12
  • Published : 2017.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plore the main cause and effect of successful marriage that Korean husbands, who are multicultural families had. To do the research, the experiment has been done with 7 husbands for 2 months. The 7 husbands took depths interview and analyzed the result by grounded theory approach. As a result, the husband experienced 'repentance of marriage' because of 'unready marriage', but 'Raising children', 'Helping housework' and 'recognition from friends and colleague' have affected the husbands to have a successful marriage adaptation. Based on the result, a political and practical proposal has been proposed to the Korean husbands who are multi-cultural family. Here are the examples of the proposal. As a social welfare policy, 'obligation of information offering for prospective spouse', 'following the Labor Standards and parental leave', 'expansion of visiting supervise system' and 'making guidance for husbands and distribute map of Immigration Offic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Community Center' have proposed. And as an alternative plan for a practical social welfare policy and continuous social awareness improvement, 'various education program', 'a program with domestic married couple', 'a program with parents-in-law', 'a specific program to increase the housework participation for husbands' and necessity of development and practice of group program for husband have been emphasized.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들이 경험한 성공적인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해 7명의 남편들을 대상으로 2개월간의 심층면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근거이론 접근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남편들은 '준비 안 된 결혼'으로 인해 '결혼생활 후회'까지 경험하지만 '자녀양육', '가사참여' 그리고 '친구 및 직장동료 인정'이 중재적 조건으로 성공적인 결혼적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을 대상으로 하는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사회복지 정책적으로는 예비배우자에 대한 정보제공 의무화, 근로기준법과 육아휴직제 준수, 방문지도사제도 확충, 남편을 위한 안내서 제작과 출입국관리사무소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그리고 각 주민자치센터 비치배포, 다문화가정에 대한 지속적 사회인식개선 제안과 사회복지 실천적 대안으로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국내결혼 부부와 함께 하는 프로그램, 시부모와 가족과 함께 하는 프로그램, 남편들의 가사참여증대를 위한 구체적 프로그램, 남편들을 위한 집단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계청, 국제결혼통계자료, 통계청, 2015.
  2. 김상임, 상담사례를 통해 본 한국남성과 결혼한 이주여성의 삶, 이주여성인권센터 창립 3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이주여성센터, 2004.
  3. 양순미, 정현숙,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에 대한 영향요인," 한국가족학회지, 제11권, 제3호, pp.223-252, 2006.
  4. 최정혜, "국제 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와 가족건강성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16권, 제4호, pp.29-46, 2011.
  5. 김오남,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6. 박재규, 이윤애, 전라북도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 정착 지원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전북발전연구원, 2005.
  7. 최금해, "조선족 여성들의 한국결혼생활 적응유형에 관한 질적 연구," 여성연구, 제72권, 제1호, pp.143-188, 2007.
  8. 남인숙, 장흔성, "결혼이민여성 가족의 출신국 문화이해," 사회이론, 제35권, pp.7-31, 2009.
  9. 장온정, 박정윤, "결혼이민자 가정 한국인 남편의 가족관련 가치관 및 문화 적응태도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제21권, 제2호, pp.1-27, 2009.
  10. 김기문, 대전 다문화가족 생활실태 및 욕구조사, 대전외국인노동자 종합지원센터, 2008.
  11. 남인숙, 안숙희, "도시와 농촌 거주 결혼이주여성의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결혼만족도 비교," 여성건강간호학회지, 제17권, 제2호, pp.99-108, 2011. https://doi.org/10.4069/kjwhn.2011.17.2.99
  12. 류한수, "결혼이주여성의 차별경험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8호, pp.345-356,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8.345
  13. 김순옥, 임현숙, 정구철,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 응도와 삶의 질의 관계에서 배우자지지와 가족지지의 조절효과:도시와 농촌 지역의 차이,"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0호, pp.253-266,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0.253
  14. 김순옥, 임현숙, 정구철, "결혼이주여성의 배우자 지지, 가족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1호, pp.221-23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221
  15. 김오남, 결혼이민자 가족의 이해, 경기도, 집문당, 2008.
  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5 전국다문화가족실태 조사 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17. 김민경, "국제결혼 남성의 '부부되기'에 대한 문화기술지,"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4권, 제3호, pp.179-211, 2009.
  18. 이근무, 김진숙, "국제결혼한 남성들의 생애사 연구: 7인의 새로운 디아스포라 이야기,"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1호, pp.135-162, 2009.
  19. 이호준, "다문화가정 한국인 남편의 결혼적응과정," 아시아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pp.119-143, 2010.
  20. 김인선, 배화옥, "결혼이주여성 한국인 남편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3호, pp.1-21, 2012.
  21. 임춘희, "다문화가족의 한국인 남성이 지각하는 재혼의 의미," 인간발달연구, 제21권, 제1호, pp.89-113, 2014.
  22. 정의정, 하규수, "다문화가족 남성배우자의 이중 문화스트레스, 의사소통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222-23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222
  23. 엄명용, "결혼이민여성의 한국인 남편에 대한 생애사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4권, 제4호, pp.261-298, 2010.
  24. 최지영,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남편으로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제26권, pp.225-254, 2009.
  25. 구정화, 박윤경, 설규주,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 서울 동문사, 2010.
  26. 설동훈, 김윤태, 김현미, 윤흥식, 이혜경, 임경택, 정기선, 주영수, 한건수,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정책 방안,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2005.
  27. 박주희, 정진경,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제12권, 제4호, pp.395-432, 2007.
  28. 양순미, "농촌 여성결혼이민자 부부의 적응지원 정책개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pp.78-84, 2006.
  29. 우은희,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지원 요구,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30. 서정아, 다문화 가정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유아의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우울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31. 안영미, 다문화가족 한국 남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협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32. 송지현, 다문화가정 부부의 결혼적응 요인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3. 안진경, 다문화가정 부부의 적응역량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34. Spanier, "The measurement of Marital Quality," Journal of Sex & Maritak Therapy, Vol.5, No.3, pp.288-300, 1979. https://doi.org/10.1080/00926237908403734
  35. 김봉주, 다문화가정의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6. 이영숙, 박경란, "기혼남성의 성격유형, 갈등대처방법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학회지, 제18권, 제2호, pp.275-286, 2009.
  37. 박재규, "결혼 이주여성의 농촌생활 적응관련 요인 분석," 농촌경제, 제16권, 제2호, pp.427-442, 2006.
  38. 공수연, 양성은, "다문화가족의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01-117. 2011. https://doi.org/10.5934/KJHE.2011.20.1.101
  39. 구차순, 박순자, "국제결혼 남성의 결혼해체 과정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8권, 제3호, pp.45-74, 2012.
  40.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1, 서울 문음사, 2008.
  41. 조용환, 질적 연구방법과 사례, 경기도 교육과학사, 2008.
  42. A. Strauss and J. Co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신경림 역, 서울: 현문사, 2001.
  43. E. Sherman and W. J. Reid,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ork,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4.
  44. 이승민, 다문화 여성의 초등학생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상생과 행복을 위한 감인대의 삶, 위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45. A. Strauss and J. Co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2nd ed.), Thousand Oaks, CA: Sage, 1998.
  46. E. G. Guba and Y. S. Lincoln,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1981.
  47. J. F. Gilbun, G. Daly, and G. Handel, Eds.. Qualitative method in family research, Newbury Park, Calif,: Sage, 1992.
  48. 김민정, 현명호,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자아존중감과 남성 화병 증상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9-33, 2010.
  49. 구차순,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50. 김인철,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51. 장온정, 국제결혼한 한국 남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