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dibular primary molars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4초

CT를 이용한 유구치 근관 형태에 관한 평가 (A Study of Root Canals Morphology in Primary Molars using Computerized Tomography)

  • 심도희;마연주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00-408
    • /
    • 2019
  • 이 연구는 3세부터 7세사이의 소아를 대상으로 촬영하여 획득한 Computed tomography (CT) 영상을 이용하여 유구치 근관의 개수, 위치를 평가하고 유구치 근관들의 관계 및 치근과 근관의 관계를 분석하여 유치 근관 치료시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남아 81명, 여아 33명, 총 114명의 CT 시상면, 수평면 영상에서 유구치 근관의 개수와 위치, 치근의 개수와 위치에 대해 평가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통계분석 하여 한 환자에게서 양측에 같은 위치의 치아에 나타나는 근관의 대칭성을 평가하였다. 상악 제 1유구치와 제 2유구치에 가장 많이 관찰 되었던 근관의 개수는 3개로 위치는 근심 협측, 원심 협측, 구개 근관이었다. 하악제 1유구치 제 2유구치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던 근관의 개수는 4개로 위치는 근심 협측, 근심 설측, 원심 협측, 원심 설측 근관이었다. 상악의 치근은 근심 협측 근관을 제외하고 1개의 근관을 가지려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고, 하악의 치근은 2개의 근관을 가지려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하악 제 2유구치의 근심 치근은 100%으로 2개의 근관을 가졌다. 상악 유구치의 구개측 치근과 하악 유구치의 원심 치근이 2개의 치근으로 나누어져 있는 경우, 그 치근들은 각각 1개의 근관을 가지려는 경향을 보였다. 상악 유구치에서 원심 협측 치근과 구개측 치근이 융합되어 있더라도, 치근은 각각의 근관을 가지려는 경향을 보였다. 같은 환자의 같은 위치의 반대편 치아의 근관의 대칭성은 하악 유구치부에서 상악 유구치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소아 환자의 유구치 근관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유구치 근관 치료 시 근관의 위치에 대해 미리 예측함으로 술식 시간을 줄이고 치료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CBCT를 이용한 유구치의 치근 및 근관의 형태학적 평가 (Assessment of Root and Root Canal Morphology of Human Primary Molars using CBCT)

  • 최유민;김선미;최남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5-35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CBCT를 사용하여 유구치 치근 및 근관의 형태학적 특징을 평가하는 것이다. 과잉치 발거를 위해 전남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CBCT를 촬영한 만 4 - 5세 환자 총 68명의 영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치근 흡수가 되지 않은 상악 제1유구치, 상악 제2유구치, 하악 제1유구치, 하악 제2유구치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치근 및 근관의 수, 치근 및 근관의 길이와 각도 등의 다양한 변수들이 분석되었다. 상악 유구치는 모두 3개의 치근을 가졌고 원심 협측 치근과 구개 치근은 단일 근관을 가졌다. 한 치근에 2개의 근관이 있는 경우는 오직 상악 제2유구치의 근심 협측 치근에서 발견되었다. 하악 유구치는 대부분 근심과 원심 2개의 치근을 가졌다. 하악의 근심 치근은 대부분 2개의 근관을 가졌다. 치근의 길이와 관련하여, 상악의 구개 치근의 길이가 가장 긴 반면, 원심 협측 치근의 길이는 가장 짧은 것으로 밝혀졌다. 하악 유구치는 근심의 치근이 더 길었다. 상악 유구치에서는 구개 치근의 각도가 가장 컸으나 하악은 근심의 각도가 더 작았다. 상악 유구치의 치근 및 근관이 곡선형이 많은 반면 하악 유구치는 직선형을 더 많이 볼 수 있었다.

Anesthetic efficacy of single buccal infiltration of 4% articaine compared to routine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with 2% lidocaine during bilateral extraction of mandibular primary molar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Bahrololoomi, Zahra;Rezaei, Maedeh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1권1호
    • /
    • pp.61-69
    • /
    • 2021
  • Background: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IANB) using lidocaine 2% is commonly used for anesthetizing primary mandibular molars; however, this technique has the highest level of patient discomfort compared to other local anesthesia techniques. Therefore, alternative anesthesia techniques are necessa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 single buccal infiltration of 4% articaine with IANB using 2% lidocaine, for the bilateral extraction of primary mandibular molars. Method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on 30 patients aged between 6 and 9 years, who required the extraction of bilateral primary mandibular molars. The patien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as follows: In the first session, Group A received IANB with lidocaine 2% and group B received infiltration with articaine 4%. In the second session, another injection method was performed on the opposite side. The Wong-Baker Facial Pain scale (WBFPS), Face Leg Activity Cry, and Consolability (FLACC), and physiologic parameters were used to assess pain perception. Results: The independent t-test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before and after extraction (P > 0.05). The mean FLACC index in the lidocaine and articaine groups was 0.89 and 1.36, respectively;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P > 0.0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chi-square te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for WBFPS (P > 0.05). Conclusion: The articaine infiltration technique may be an alternative to the IANB for the extraction of primary mandibular molars.

3개의 치근을 가진 하악 유구치 : 증례보고 (MANDIBULAR PRIMARY MOLARS WITH 3 ROOTS : CASE REPORT)

  • 송제선;최병재;최형준;이제호;손흥규;김성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67-174
    • /
    • 2008
  • 하악 유구치와 제1대구치는 보통 근심과 원심에 하나씩 2개의 치근을 가지나 원심설측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부가치근을 갖는 경우가 발견된다. 발생 빈도는 하악 제1대구치의 경우 백인에서는 3% 정도로 드물게 나타나지만 중국이나 일본, 에스키모, 북미 인디언 등 황인종에서는 20% 내외로 비교적 높다. 유구치의 경우는 제1대구치보다는 적게 발생되고 제1유구치보다는 제2유구치에서 더 많이 발생한다. 하악 유구치에 부가치근이 관찰되면 후방에 있는 유구치와 제1대구치에서도 부가치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부가 치근을 가지는 하악 제1유구치의 치관의 형태는 원심설측에 존재하는 부가치근의 영향으로 삼각형 모양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증례는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5명의 환아에게서 발생된 하악 유구치와 제1대구치의 부가 치근에 관한 보고로서 부가치근을 가진 유구치는 치근의 수와 치관의 형태 등에 문제가 있으므로 치수치료나 기성금관 수복, 발치 시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제1유구치의 조기 상실로 인한 공간 변화에 대한 3차원적 분석 (THREE-DIMENSIONAL SPACE CHANGES AFTER PREMATURE LOSS OF THE PRIMARY FIRST MOLAR: A LONGITUDINAL STUDY)

  • 김지연;정다운;곽소연;유승은;박기태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97-304
    • /
    • 2008
  • 본 연구는 제1유구치의 조기 상실 시공간 변화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3-Dimensional Laser Scanner를 이용하여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는 예비논문이다. 6세-8세 사이의 제1대구치가 맹출하여 확실한 교합 관계를 이루는 혼합치 열기 어린이 중 편측 제1유구치의 조기 발치가 필요한 6명의 발치 전 후의 모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유구치 공간변화는 상악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현저한 감소를 보이지 않았고, 하악은 실험군에서 3명 중 2명에서 공간감소가 관찰되었다. 2. 치열궁 너비, 치열궁 둘레는 초기모형과 최종모형에서 비슷한 값을 보였다. 3. 협설측 경사도 변화는 유견치에서는 상하악 모두 특별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으며, 제2유구치는 상악은 실험군과 대조군이 유사하였고, 하악에서는 3명중 2명에서 실험군이 더 큰 설측경사도 변화를 보였다. 제1대구치는 하악에서 실험군이 더 큰 설측경사도 변화가 관찰되었다. 4. 근원심 경사도 변화 측정에서 유견치는 상하악 모두 특별한 경향이 관찰되지 않았고 제2 유구치의 경우 하악에서 실험군이 더 큰 근심경사도 증가가 보였다. 제1대구치는 상악에서 실험군, 대조군 모두 원심 경사도가 증가되었다.

  • PDF

New prediction equations for the estimation of maxillary mandibular canine and premolar widths from mandibular incisors and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widths: A digital model study

  • Shahid, Fazal;Alam, Mohammad Khursheed;Khamis, Mohd Fadhli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71-179
    • /
    • 2016
  • Objective: The primary aim of the study was to generate new prediction equations for the estimation of maxillary and mandibular canine and premolar widths based on mandibular incisors and first permanent molar widths. Methods: A total of 2,340 calculations (768 based on the sum of mandibular incisor and first permanent molar widths, and 1,572 based on the maxillary and mandibular canine and premolar widths) were performed, and a digital stereomicroscope was used to derive the the digital models and measurements. Mesiodistal widths of maxillary and mandibular teeth were measured via scanned digital models. Results: There wa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stimation of maxillary (r = 0.85994, $r^2=0.7395$) and mandibular (r = 0.8708, $r^2=0.7582$) canine and premolar widths.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coefficients were in the strong correlation range, with an average of 0.9.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stablish prediction equations. Prediction equations were developed to estimate maxillary arches based on $Y=15.746+0.602{\times}sum$ of mandibular incisors and mandibular first permanent molar widths (sum of mandibular incisors [SMI] + molars), $Y=18.224+0.540{\times}(SMI+molars)$, and $Y=16.186+0.586{\times}(SMI+molars)$ for both genders, and to estimate mandibular arches the parameters used were $Y=16.391+0.564{\times}(SMI+molars)$, $Y=14.444+0.609{\times}(SMI+molars)$, and $Y=19.915+0.481{\times}(SMI+molars)$. Conclusions: These formulas will be helpful for orthodontic diagnosis and clinical treatment planning during the mixed dentition stage.

Anesthetic efficacy of primary and supplemental buccal/lingual infiltration in patients with irreversible pulpitis in human mandibular mola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Gupta, Alpa;Sahai, Aarushi;Aggarwal, Vivek;Mehta, Namrata;Abraham, Dax;Jala, Sucheta;Singh, Arundeep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1권4호
    • /
    • pp.283-309
    • /
    • 2021
  • Achieving profound anesthesia in mandibular molars with irreversible pulpitis is a tedious task. This review aimed at evaluating the success of buccal/lingual infiltrations administered with a primary inferior alveolar nerve block (IANB) injection or as a supplemental injection after the failure of the primary injection in symptomatic and asymptomatic patients with irreversible pulpitis in human mandibular molars. The review question was "What will be the success of primary and supplemental infiltration injection in the endodontic treatment of patients with irreversible pulpitis in human mandibular molars?" We searched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Pubmed, Scopus, and Ebsco host and we did a comprehensive manual search. The review protocol was framed according to the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PRISMA) checklist. We included clinical studies that evaluated and compared the anesthetic outcomes of primary IANB with primary and/or supplementary infiltration injections. Standard evaluation of the included studies was performed and suitable data and inferences were assessed. Twenty-six studies were included, of which 13 were selected for the meta-analysis. In the forest plot representation of the studies evaluating infiltrations, the combined risk ratio (RR) was 1.88 (95% CI: 1.49, 2.37), in favor of the secondary infiltrations with a statistical heterogeneity of 77%. The forest plot analysis for studies comparing primary IANB + infiltration versus primary IANB alone showed a low heterogeneity (0%). The included studies had similar RRs and the combined RR was 1.84 (95% CI: 1.44, 2.34).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upplemental infiltrations given along with a primary IANB provide a better success rate. L'Abbe plots were generated to measure the statistical heterogeneity among the studies. Trial sequential analysis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patients included in the analysis was adequate. Based on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es, we concluded that the infiltration technique, either as a primary injection or as a supplementary injection, given after the failure of primary IANB, increases the overall anesthetic efficacy.

Comparison of micro-computerized tomography and cone-beam computerized tomography in the detection of accessory canals in primary molars

  • Acar, Buket;Kamburoglu, Kivanc;Tatar, Ilkan;Arikan, Volkan;Celik, Hakan Hamdi;Yuksel, Selcen;Ozen, Tuncer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5권4호
    • /
    • pp.205-211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accuracy of micro-computed tomography (CT)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in detecting accessory canals in primary molars. Materials and Methods: Forty-one extracted human primary first and second molars were embedded in wax blocks and scanned using micro-CT and CBCT. After the images were taken, the samples were processed using a clearing technique and examined under a stereomicroscope in order to establish the gold standard for this study. The specimen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maxillary molars, mandibular molars with three canals, and mandibular molars with four canals. Differences between the gold standard and the observations made using the imaging methods were calculated using Spearman's rho correlation coefficient test. Results: The presence of accessory canals in micro-CT images of maxillary and mandibular root canal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tereomicroscopic images used as a gold standar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BCT findings and the stereomicroscopic images. Conclusion: Although micro-CT is not suitable for clinical use, it provides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minor anatomical structures. However, CBCT is convenient for clinical use but may not be capable of adequately analyzing the internal anatomy of primary teeth.

한국인 소아에서 제2유구치에 대한 러버댐 클램프의 적합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ADAPTABILITY OF RUBBER DAM CLAMPS ON PRIMARY SECOND MOLARS IN KOREAN CHILDREN)

  • 박미래;마연주;안병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8-105
    • /
    • 2013
  • 질 높은 치료를 제공하고 안전한 치료환경을 만들기 위한 러버댐 사용의 중요성은 소아치과에서 더욱 강조된다. 한편 잘못된 클램프의 장착으로 발생하는 통증과 불완전한 방습은 협조도를 떨어뜨리고 진정 치료 중 방해가 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혼합치열기 아동 110명의 경석고 모형을 통해 제2유구치의 치경부 근원심 폭경을 측정하고 이를 #203/204, #10/11, #205 클램프(Dentech, Japan)의 근원심 폭경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제2유구치의 치경부 근원심 폭경은 하악이 상악보다 크고, 협측이 설측 보다 컸다. 모든 위치의 계측값이 클램프 폭경과 비교 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차이값이 상악 제2유구치에서는 작은 반면 하악 제2유구치에서는 1 mm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상악 제2유구치는 #203/204 및 #10/11 클램프와 비교적 잘 맞는 반면 하악 제2유구치를 위해서는 보다 적절한 크기의 클램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탄성의치를 이용한 유구치 조기 상실의 치료 (Management of Premature Loss of Primary Molars with Flexible Denture)

  • 송기언;남옥형;김미선;이효설;최성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87-191
    • /
    • 2016
  • 제2유구치의 조기상실은 제1대구치의 근심이동이나 근심경사를 야기할 수 있다. 5세 여아에서 다수의 하악 유구치 조기상실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아는 계승 영구치의 소포염으로 인해 하악 좌측 제1유구치와 제2유구치의 발거가 필요하였다. 탄성의치를 이용하여 저작 기능을 회복하는 동시에 제1대구치의 맹출을 유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