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UO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8초

신체활동과 좌식생활에 따른 비만남성과 여성의 건강상태의 차이 비교 (Comparison of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Life on Health in Obesity Men and Women)

  • 박인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619-62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적으로 비만한 건강인과 비건강강인의 신체활동과 좌식생활의 행태를 비교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중 158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인(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MHO)와 대사적으로 비건강한 비만인(metabolically unhealthy obesity; MUO)의 분류는 NCEP-ATP III(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의 기준을 근거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남자대상자의 경우 MHO와 MUO 간의 신체활동 수준 및 규칙적인 운동 참여 수준은 차이가 없었다. 여자대상자의 경우 MHO와 MUO 간에 총 신체활동량과 근력운동 참여에서 MHO 집단이 더 많은 신체활동량과 근력운동 참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성의 경우, 신체활동과 운동참여 수준은 동일한 수준의 비만인에서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하나의 중요한 요인이라 사료된다.

Heart Rate Recovery in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and Metabolically Unhealthy Obesity Korean Adults

  • Shin, Kyung-A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45-252
    • /
    • 2018
  • Heart rate recovery (HRR) is simply an indicator of autonomic balance and is a useful physiological indicator to predict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t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HRR between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group and metabolically unhealthy obesity and to ascertain whether heart rate recovery is a predictor of metabolic syndrome.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the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 Adult Care Panel III. Obesity was assessed according to WHO Asian criteria.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f metabolically healthy non-obesity group (MHNO, n=113),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group (MHO, n=66), metabolically unhealthy obesity (MUO, n=18). Exercise test was performed with Bruce protocol using a treadmill instrum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HRR between MHO and MUO ($32.71{\pm}12.25$ vs $25.53{\pm}8.13$), but there was late HRR in MUO than MHNO ($25.53{\pm}8.13$ vs $34.51{\pm}11.80$). HRR in obes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MI (r=-0.342, P=0.004), waist circumference (r=-0.246, P=0.043), triglyceride (r=-0.350, P=0.003), HbA1c (r=-0.315, P=0.009), insulin (r=-0.290, P=0.017) and uric acid (r=-0.303, P=0.012). HRR showed a lower prevalence of abdominal obesity, hypertriglyceridemia, and low HDL-cholesterol in the third tertile than in the first tertile. In conclusion, MHO had no difference in vagal activity compared with MHNO, but MUO had low vagal activity. HRR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parameters and is a useful predictor of abdominal obesity, hypertriglyceridemia, and low HDL-cholesterolemia.

원발미상의 경부 전이암에서 발견된 양측 편도암 1예 (A Case of Bilateral Tonsillar Cancer Discovered in Metastatic Carcinoma of Unknown Origin)

  • 최정석;임재열;한창덕;김영모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18
    • /
    • 2012
  • 원발미상의 경부 전이암의 경우에 있어 동시성 양측 편도암은 드물며, 일부에서는 일측 편도 절제술을 선호하나, 본 증례와 같이 양측 편도암이 발견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양측 편도절제술이 일측 편도절제술보다 이환율이 크지 않기 때문에 양측 편도 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원발부위미상암에서 F-18 FDG PET (PET/CT)의 임상 이용 (Clinical Application of F-18 FDG PET(PET/CT) in Malignancy of Unknown Origin)

  • 김병일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sup1호
    • /
    • pp.162-165
    • /
    • 2008
  • Diagnosis of primary origin site in the management of malignancy of unknown origin (MUO) is the most important issue. According to the histopathologic subtype of primary lesion, specialized treatment can be given and survival gain is expected. F-18 FOG PET (PET/CT) has been estimated as useful in detection of primary lesion with high sensitivity and moderate specificity. F-18 FDG PET (PET/CT) study before conventional studies is also recommended because it has high diagnostic performance compared to conventional studies. Although there has few data, F-18 FDG PET (PET/CT) is expected to be useful in diagnosis of recurrence, restaging, evaluation of treatment effect, considering that PET (PET/CT) has been reported as useful in other malignancies.

Effects of Health Behavior Factors and Mental Health Factors in Korean Obese Adults on Their Metabolic State: Utiliz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 Song, Jeonghee;Han, Jeong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3권3호
    • /
    • pp.49-58
    • /
    • 2017
  • This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classified Korean adults with obesity into those with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and those with Metabolically Unhealthy Obesity based on the data from the fifth and sixth South Korea'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designed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to examine the impacts of obese adults' health behavior factors and mental health factors on their metabolic state. With respect to data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complex sample statist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Men who were smoking at the time of the survey had a 1.29 times higher probability of inclusion in the MUO group than in the MHO group. Women who had a high stress cognition rate had a 1.02 times higher probability of inclusion in the MUO group than in the MHO group.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strategies of nursing intervention for the promotion of obese adults' health, and i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obese adults' health based on these results.

광릉 전나무 식재기록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Planting Records of Needle Fir in Gwangneung)

  • 김은경;이해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19
    • /
    • 2019
  • 본 연구는 고문헌을 통하여 광릉 전나무 식재의 사적 근거를 밝히고자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일성록(日省錄)" 등의 식재기록을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와 산림생태조사 및 도복된 전나무 연륜을 통하여 현재 광릉 전나무의 수령을 추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능제는 가장 보수적인 체제로 광릉 조성 과정 중 식재는 전례에 따라 이루어졌을 것이다. 건원릉을 시작으로 능침수목 식재기록을 통하여 소나무, 잣나무, 버드나무가 식재되었던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조선후기 능침 작벌 문제가 심각해지자 정조 22년 무오년 수교가 반포되었으며, 이후 봄 가을로 정기 식재가 이루어졌다. 정조 23년 기록을 통하여 조성 및 관리 연한이 오래된 9개 능을 대상으로 식재 주수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광릉에는 잣나무와 잡목이 식재되었다. 셋째, 무오년 수교가 고종 치세 31년간 지켜지고 있으며, 예조별단을 통해 구체적인 식재 수종, 식재 장소, 식재 주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고종 22년부터 25년까지 4년간 광릉에는 지속적으로 전나무가 식재되었으며 잣나무를 식재한 곳은 광릉이 유일하였다. 넷째, 도복된 전나무 연륜을 통하여 수령 파악이 가능했으며, 현존 광릉 전나무 식재 시기는 철종 10년 이후부터 고종 연간으로 판단하였다.

대사적 건강 및 비만상태에 따른 신체활동과 좌식생활의 차이 비교 (Comparisons of Physical Activity and Sedentary Life according to Health and Obesity Level)

  • 사석은;김원현;조규권;이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477-488
    • /
    • 2017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기반으로 대사적 건강상태와 비만 표현 형태에 따라 인구학적 특성 및 신체활동과 좌식생활을 비롯한 생활습관형태를 분석하여, 건강상태에 따른 대사적 건강에 있어 신체활동과 좌식생활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기 조사대상자 중 본 연구내용에 적합한 4,783명(남 2,075명, 여 2,70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사증후군 지표 및 비만도에 근거하여 네 집단(Metabolically Healthy Normal Weight; MHNW, Metabolically Unhealthy Normal Weight; MUNW, 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MHO, Metabolically Unhealthy Obesity; MUO) 으로 분류하였다. 집단 분류 후, 집단 간 임상적 특성, 신체활동 및 좌식시간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MHO는 MUNW에 비해 체중과 허리둘레는 높았지만, 혈압, 혈당, 당화혈색소, 인슐린저항성 지표가 낮았으며,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은 높았다. 그리고 MHO는 MHNW 및 MUNW와 비교하여 신체활동량과 좌식시간에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은 정상체중 집단과 비교하여 신체활동수준에서 차이가 없었다. 이는 건강한 비만인의 경우 상대적으로 신체활동 수준이 높았다는 것으로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고분자물질과 접촉한 자기조립단분자막 전극 물질의 기계화학 현상 분광학적 연구 (Mechanochemistry on Self-Assembled Monolayer(SAM) /Electrodes after Contacting with Polymeric Stamp)

  • 윤창석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265-270
    • /
    • 2020
  • We investigated mechanochemical radical, which is concomitant with chemical lift-off lithography(CLL), on the self-assembled monolayer(SAM)/electrodes and a polydimethylsiloxane(PDMS) using a colorimetric and a spectroscopic method. The 11-mercaptoundecanol(MUO)/Au or the 11-hydroxyundecylphosphonic acid (HUPA)/ITO were contacted with bare or activated PDMS. After contact, the each of SAM/substrates and the PDMS were immersed in a 2,2 Diphenyl-1-picrylhydrazyl(DPPH) radical scavenger. The color of the DPPH exposed to the PDMS was changed from purple to yellow and the absorbance decreased definitely at 515 nm wavelength. The SAM/substrates, however, have caused small changes in spectroscopic property, indicating no existence of radical species. We concluded that mechanochemical radicals were formed by homolytic cleavage of PDMS molecules upon external force and hardly transferred on the SAM/substrates.

원발병소 블명의 경부림프절 전이의 치료결과 (Treatment Outcome of Metastatic Carcinoma of Cervical Lymph Node from an Unknown Primary)

  • 김규보;지의규;우홍균;김광현;성명훈;허대석;박찬일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3호
    • /
    • pp.137-142
    • /
    • 2005
  • 목적: 원발병소 불명의 경부림프절 전이의 치료는 각 기관들의 치료원칙에 따라 경부림프절청소술, 림프절 절제술, 방사선치료 및 항암화학치료 등 다양한 조합의 치료가 적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원발병소 불명의 경부림프절 전이의 치료성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1년 7월부터 1999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근치적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39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방사선치료가 12명에서, 선행항암화학요법 및 방사선치료가 8명에서, 수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18명에서 시행되었고, 1명은 선행항암화학요법, 경부림프절청소청술 및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성별은 남자가 31명, 여자가 8명이었고, 연령의 중앙값은 55세였다. 결과: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55\%$였다. 치료방법에 따라 분석해보았을 때, 수술+방사선치료가 방사선 치료 단독 혹은 항암화학요법+방사선치료에 비해 우월한 5년 무병생존율을 보고하였다 ($78\%\;vs.\;48\%\;vs.\;19\%$). 그 외에 원발병소 발현여부가 무병생존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원발병소 불명의 경부림프절 전이의 치료에 있어서 수술적 절제술 및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이 방사선치료$\pm$항암화학요법에 비해 우월한 무병생존율을 보여주었다. 항암화학요법의 효과에 대해서는 추가 연구가 요망된다.

청주 사뇌사 유물 퇴장(退藏) 시기에 대한 검토 (A Review of the Time Cheongju Sanesa Buddhist Temple Relics Were Hoarded)

  • 윤용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1호
    • /
    • pp.22-36
    • /
    • 2024
  • 30년 전인 1993년에 발견된 청주 사뇌사 유물은 유물의 양이 방대하고, 고려 청동 기물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것인데, 특히 제작 시기에 대한 여러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유물의 퇴장 시기에 대해서는 13세기 중반, 13세기 말, 14세기 초 등 여러 견해가 엇갈린 상태에서 견해가 정리되어 있지 않다. 본고는 논란이 많은 청주 사뇌사 유물의 퇴장 시기를 원(元) 카단(哈丹)의 고려 침입이 진행중이었던 1291년 4월의 일로 추정하였다. 카단 군은 고려에 침입하여 1291년 1월에 양평과 원주, 4월 충주를 거쳤으며, 5월 1일 연기현에 출현하였다. 본고에서는 충주에서 연기현(세종시)에 이르는 중도에 이들이 청주를 거치게 되었다는 점을 기록을 통하여 확인하였고, 이것이 바로 사뇌사의 폐사 또는 유물의 퇴장 배경이 된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사뇌사 유물의 퇴장 시점을 카단 침입이 진행중이던 1291년으로 설정하게 되면, 그동안 논란이 많았던 무오년, 경신년, 기유년 등 간지(干支)가 적힌 유물의 연대를 합리적으로 정리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유년 금고(金鼓) 1249년, 무오년 향로 1258년, 경신년 향완 1260년 등이 그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