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ALGAE

검색결과 869건 처리시간 0.033초

실험 배합사료 및 미역 공급시 참전복 치패의 적정 사육밀도 (Optimum Stocking Density of Juvenile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Fed the formulated Diet or Macroalgae (Undaria))

  • 김병학;이상민;고창순;김재우;명정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69-874
    • /
    • 1998
  • 사료종류에 따른 참전복의 적정 사육밀도를 조사하기 위해 평균 각장 8.41 mm의 치패를 $m^2$당 1430, 2860, 4290 및 5720마리로 설정하여 배합사료 및 미역을 실험구마다 3반복으로 15주간 공급하면서 사육 실험하였다. 전중, 패각 및 가식부의 성장은 사육밀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4290마리/$m^2$ 이상인 밀도구에서는 1430마리 /$m^2$ 밀도구와 유의차를 보였다(P<0.05). 또한 이러한 성장효과는 배합사료 공급구가 미역 공급구보다 밀도에 관계없이 양호한 성적을 보였으며, 동일 밀도구에서는 유의하게 (P<0.05) 배합사료 공급구가 높았다. 생존율도 성장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실험 종료시 가식부의 일반성분의 변화는 사육밀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사료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경향을 보여 미역 공급구에 비해 배합사료 공급구의 수분과 단백질 함량은 낮고, 지질과 회분 함량은 높은 경향을 보였다 (P<0.05). 성장과 생존율 등을 고려하여 보면 각장 9$\~$17mm일 때 참전복의 적정 사육밀도는 사료의 종류에 관계없이 1 $m^2$당 2860마리 이하가 적절하다고 여겨진다.

  • PDF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생성된 농축수의 환경적 영향 (Environmental Impacts of Brine from the Seawater Desalination Plants)

  • 박선영;서진성;김태윤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1호
    • /
    • pp.17-32
    • /
    • 2018
  • 다양한 수자원 확보 측면에서 해수담수화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배출되는 농축수에 대한 환경적 영향에 대한 고찰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외 사례 조사를 통하여 고염분 농축수로 인한 환경적 영향 및 배출 규제를 고찰하였다. 국내에서는 독성평가 중심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식물플랑크톤, 동물플랑크톤 유생, 녹조구멍갈파래가 고염농축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또한 넙치 치사율이 염분 증가에 따라 선형관계를 보였으며 송사리는 60 psu 이상의 농도에서 100% 사망하였다. 국외에서는 독성평가뿐만 아니라 모니터링 사례도 있었으며 이들 사례를 저서생물군집, 연체동물, 극피동물, 어류, 해조 해초류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전반적으로 농축수가 배출되는 인근지역에서는 종풍부도가 저하되었으며 고염분의 농축수가 해양생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동성이 강한 성어의 경우는 염분에 노출되면 회피하고 염분에 대한 내성을 가진 해양생물들은 고염분의 해수환경에도 생존하였다. 농축수에 대한 규제기준은 염분 한계와 배출구에서의 거리로 표현되는 준수지점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국가별, 해수담수화 시설별로 규제기준에 차이가 있었으며 최근의 경향은 규제기준을 강화하는 추세이다. 특히 california water boards에서는 일일 최대 염분농도가 배출구 주변 100 m 이내에서 주변 염분농도보다 2 psu를 초과하지 못하도록 규정개정을 실시하였다.

해양 미세조류 Amphidinium carterae 추출물의 기능성 평가 (Functional evaluation of marine micro-algae Amphidinium carterae extract)

  • 김해미;오현화;정종훈;이상천;문혜정;정용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673-67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해양미세조류 A. carterae의 기능성 평가를 위해 에탄올 추출을 하였고, 기존의 건강기능성식품인 클로렐라를 에탄올 추출하여 기능성을 비교하였다. 클로렐라 에탄올 추출물(CE)과 A. carterae 에탄올 추출물(AE)의 총페놀성 화합물은 각각 47.39 mg/g과 8.88 mg/g 으로 CE가 5.33배 높았으나, DPPH 라디컬소거능은 22.42%와 20.16%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반면에 CE와 AE의 ABTS 라디컬 소거능은 각각 28.58%와 17.69%로 CE가 높아 CE의 항산화능은 페놀성 화합물의 효과로 판단된다. AE(10 mg/mL)의 항균활성은 그람음성균 6종과 그람양성균 10종에서 확인하였다. 그리고 CE(10 mg/mL)의 항균활성은 그람음성균 3종과 그람양성균 3종에서 확인되었다. ${\alpha}$-glucosidase의 억제활성은 AE($500{\mu}g/mL$)에서 82.07%이었고, CE는 효소활성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암세포 생장억제활성은 $125{\mu}g/mL$ 농도의 AE를 첨가했을 때, HepG2와 HT-29의 생존율이 각각 38%와 11.27%이었다. $31.25-125{\mu}g/mL$의 농도범위에서 CE 첨가가 HepG2와 HT-29의 생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A. carterae 에탄올 추출물은 페놀성 화합물 이외의 항산화 물질을 보유하고, 항균활성, 항당뇨효과와 암세포 억제활성이 우수한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기능성 소재로써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오동도의 해조 군락 (PHYTOSOCIOLOGICAL STUDY OF MARINE ALGAE AT ODONG-DO)

  • 송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권3_4호
    • /
    • pp.105-112
    • /
    • 1971
  • 1970넌 6월부터 1971넌 5월까지 여수 오동도의 2개 조사지점에서 월 2회 조사한 해조 군락은 아래와 같다. 1. 총출현종은 69종으로 녹조류 12종, 갈조류 17종 및 홍조류 40종이며, 조사 장소에 따른 출현종의 뚜렷한 차이는 없었다. 2. 계절별 해조 군락은 대부분 주년 출현종으로 층위가 형성되어 출현종의 변화가 적으나 Ulva pertusa, Enteromorpha sp., Sphacelaria sp., Scytosiphon iomentaria, Colpomenia sinuosa, Sargassum thunber gii, Pterocladia tenuis, Amphiroa ephedrea, Carpopeltis affinis, Gigartina tenera, Polysiphonia yendoi, Chondria crassicaulis, Symphyocladia atiuscula등은 피도의 증감이 많았다. 3. 층위의 출현종은 대체로 변화가 적어, $200\~150cm$층은 Gloiopeltis complanata, G. furcata, Enteromorpha sp.등이고 $150\~100cm$층은 Ulva pertusa, Chondria crassicaulis, Sargassum thunbergii등이며, $100\~50cm$층은 Gigartina tenera, Pterocladia tenuis, Scytosiphcn lomentaria, Polysiphonia yendoi 등이고, 제일 아래층인 50cm 이하에는 Sargassum sagamianum, Cystophyllum sisymbrioides, Gelidium amansii, Acresorium yendoi, Microcladia elegance등으로 층위가 형성되었다. 4. A, B 두 조사지점은 100cm층을 중심으로 아래층에는 차이가 적으나 위층에는 차이가 있어, A지점에는 Gloiopeltis complanata, Corallina pilulifera, Chondria crassicaulis, Sargassum thunbergii, Polysiphonia yendoi 및 Ulva pertusa등으로 층위가 형성되나, B지점에는 Gloiopeltis complanata, G. furcata, Enteromurpha sp. 및 Ulva pertusa등으로 층위가 간단하였다. 5. Taniguti의 해조 군락 분류에 의하면 Myelophycus caespitosus 군단의 Gigartina intermedia-Sargassum sagaminnum군집 (Sargasseto-Gigartinetum Taniguti)에 속한다.

  • PDF

해조단백질(海藻蛋白質) 추출(抽出)에 관(關)한 연구(硏究) -5. 적이용(赤利用) 해조(海藻)의 수용성(水溶性) 단백질(蛋白質) 추출조건(抽出條件)- (Studies on the Extraction of Seaweed Proteins Extraction of Water Soluble Proteins in Unexploited Seaweeds)

  • 전룡희;이강호;류홍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5-22
    • /
    • 1980
  • 자원(資源)이 풍부한 적이용해조(赤利用海藻)를 단백질(蛋白質) 자원(資源)으로 이용(利用)하기 위(爲)하여 지충이, 잘피 및 잘피 등(等) 2종(種)의 해조(海藻)와 1종(種)의 해산식물(海産植物)을 선정(選定)하여 이의 수용성(水溶性) 단백질(蛋白質) 추출조건(抽出條件)을 검토(檢討)하였다. 1) 첨가수량(添加水量)은 곰피는 1:150(W/V)의 비(比)로 가(加)했을 때 추출효과(抽出效果)가 좋았고, 잘피와 지충이는 1:100(W/V)일 때가 좋았다. 2) 추출시간(抽出時間)은 총질소(總窒素)의 경우 2시간(時間) 이상(以上)에서, TCA 불용성(不溶性) 단백질(蛋白質)은 1시간(時間) 정도(程度)가 효과적(效果的)이었다. 3) 추출온도(抽出溫度)는 $40-50^{\circ}C$에서 추출성적(抽出成績)이 좋았으며 $70^{\circ}C$ 이상에서 약간 높아지나 TCA 불용성(不溶性) 질소(窒素)는 증가하지 않으므로 고온추출(高溫抽出)은 불리(不利)하였다. 4) pH의 영향(影響)은 전시료(全試料)가 pH 9 이상(以上)에서 높은 추출율(抽出率)을 보였으나 TCA 불용성(不溶性) 질소(窒素)는 pH 7 이상(以上)에서는 증가(增加)하지 않는 관계로 pH $6{\sim}7$에서 추출(抽出)함이 유리(有利)하였다. 5) 순단백질(純蛋白質) 침전(沈澱) 분리(分離)는 pH 조절법(調節法)에 의(依)한 처리(處理)가 질소(窒素) 함량(含量)이 가장 높았다. 6) 추출단백질(抽出蛋白質)을 정제(精製)함으로써 아미노태질소(態窒素)의 함량(含量) 및 총질소(總窒素)에 대(對)한 백분율(百分率)도 높일 수 있는 효과(效果)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한국 동해안 독도의 해조상 및 대황(Eisenia bicyclis) 부착기의 생물상 (Marine Algal Flora and Ecological Role of Eisenia bicyclis in Dokdo, East Sea, Korea)

  • 박서경;이정록;허진석;안대성;이행필;최한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13-626
    • /
    • 2014
  • 독도 해역의 해조류는 2013년 5월과 7월에 14개 정점에서 정성채집 하였으며, 대황의 생태학적 역할을 확인하기 위하여 7월과 11월에 23개체를 채집하여 부착기에 서식하는 해조류와 동물을 동정하였다. 대황의 줄기길이와 무게의 회귀식으로 생물량을 측정하였다. 해조류는 녹조류 18종, 갈조류 35종과 홍조류 75종을 포함하여 총 128종이 관찰되었으며, 성긴분기형이 47.66%로 가장 우점하였고 안정된 환경에 서식하는 ESG I그룹에 속하는 종이 91종(71.09%)이었다. 또한, R/P, C/P, (R+C)/P는 2.14, 0.51과 2.66으로 온대성과 혼합성 해조상을 보였다. 대황의 생물량은 $23.74kg\;m^{-2}$이고 밀도는 64 fronds $m^{-2}$로 확인되었다. 한편, 대황의 부착기에서 해조류 12종과 동물 83종(환형 15종, 연체 25종, 절지 34종, 극피 3종, 기타 6종)의 1,248개체가 동정되어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핵심종으로 확인되었으며, 넓은마디육질꼬리옆새우붙이가 538개체(43.11%)로 가장 우점하였다. 본 연구 결과 독도의 해조류 출현종수는 이전 연구에 비해 증가하였고 성긴분기형과 ESG I 해조류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나 현재까지 독도 연안의 환경은 매우 안정된 상태라고 판단된다.

단색광이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 사상체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onochromatic Light on Conchocelis Growth and Maturation in Pyropia yezoensis (Rhodophyta))

  • 정상목;강슬기;손지수;전재혁;이한주;전지영;박태희;이광수;신현웅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8-92
    • /
    • 2017
  • 본 연구는 방사무늬김(Pyropia yezoensis) 사상체의 생장에 대한 단색광의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blue light(480 nm), green light(550 nm), yellow light(600 nm) and red light(730 nm)에서 방사무늬김(P. yezonesis)의 유리 사상체를 배양한 후 colony 직경, chlorphyll a 함량, 각포자낭 형성률을 측정하여 생장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colony 직경과 chlorophyll a 함량이 480(blue light) nm에서 각각 $2,472.6{\pm}27.0{\mu}m$ and $1.55{\pm}0.03mg\;g.dw^{-1}$로 최대값이 나타났고 각포자낭 형성률 역시 $37.87{\pm}1.08%$로 blue light에서 최대값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blue light는 다른 단색광(green, yellow, red light)에 비해 김 사상체의 성장 및 성숙을 촉진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며, 본 연구결과는 향후 김의 실내 양식 기술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신화학물질 HS-1580 유도체(HS-1580 HS-1581 HS-1582)의 항염증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New Chemical Compounds, HS-1580 Series (HS-1580, HS-1581, HS-1582))

  • 김지영;김균하;서홍석;최원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181-1187
    • /
    • 2006
  • 본 연구는 염증 형성과정에 있어서, 해조류로부터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분리하여 그 유도체인 HS-1580 series (HS-1580, HS-1581, HS-1582)를 합성하였다. Nitiric oxide (NO) 생성에 있어 Raw 264.7 cells에서 lipopolysaccharide(LPS)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는 대조군에서보다 4배 이상 NO 생성이 증가하였지만, HS-1580 series를 처리하고 LPS를 처리한 군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성이 억제되었다. HS-1580 series가 NO 생성 자체를 억제함으로서 NO 함량이 감소되었는지, inducible NOS (iNOS) 단백질 발현을 억제에 기인한 것인지 알아보기 위해서 Western blot으로 조사하였다. iNOS protein 발현이 HS-1580 series에 의해서 억제되었고 HS-1580 series가 cyclooxygenase-2 (COX-2), tumor necrosis factor-a $TNF-{\alpha}$$interluekin-1{\beta}\;(IL-1{\beta})$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HS-1580 series가 iNOS 단백질 발현 억제에 기인한 NO 생성억제, COX-2 발현 억제 및 pro-inflammatory cytokines인 $TNF-{\alpha}$$IL-1{\beta}$ 생성을 억제하는 항염증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알긴산 분해 Methylobacterium sp. HJM27 균주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Alginate-Degrading Methylobacterium sp. HJM27)

  • 김옥주;이동근;이성목;이석준;도형주;박혜진;김안드레;이재화;하종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44-150
    • /
    • 2010
  • 본 연구는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이 뛰어난 세균을 확보하고 선정된 균주의 효소생산과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알긴산과 NaCl의 농도, 질소원 종류, 온도, pH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해조류 섭식 동물인 전복, 소라, 해삼, 멍게, 개불 등에서 유래한 총 5만여 콜로니 중 알긴산 분해효소 활성이 우수한 27개 균주를 분리하였고 최종적으로 전복 유래의 균주를 선정하였다.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으로 선정된 균주를 Methylobacterium sp. HJM27으로 명명하였고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은 1.0% sodium alginate, 0.5% peptone, 0.3% yeast extract, 1.5% NaCl, $25^{\circ}C$, 48시간 배양에서 가장 높았다. 알긴산 분해효소의 활성은 $25^{\circ}C$, pH 9에서 최대로 0.8%(w/v) sodium alginate 용액에서 30분만에 1.217 g/L의 환원당을 생성하였다. 분리된 균주와 이 균주의 알긴산 분해효소를 이용하여 해조류를 바이오에너지와 식 의약 소재로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ED가 결합된 야간풍력발전 활용을 포함한 해상환경 바이오매스 생산시스템의 최적 설계 (Design and Optimization of a Biomass Production System Combined with Wind Power Generation and LED on Marine Environment)

  • 홍기훈;조성현;강훈;박정필;김태옥;신동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4-82
    • /
    • 2015
  • 최근 화석연료의 사용증가에 따라 대량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지구 온난화 현상을 일으키는 온실가스 중 하나로 지정되어 국제협약을 통하여 온실가스의 배출을 저감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탄소를 저감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3세대 바이오매스 생산시스템인 해조류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신 개념의 FPSO로서 해상환경 바이오매스 생산시스템의 최적구조를 설계하였다. 이를 위해 격자로 구조물을 설치한 후 해조류의 주변에 LED 조명을 비추어 성장을 최대화 시키는 시스템을 구상하였다. 그리고 기존 해조류의 성장자료를 통하여 해조류의 성장 모델을 만든 후 풍력발전기와 LED 조명을 포함하는 바이오매스 생산시스템을 모델링하여 최적화 도구인 GAM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본 시스템이 환경적 관점뿐만 아니라 경제성 측면에서도 타당성을 가질 수 있는 최적구조를 설계하였다. 또한 기존의 해상환경 바이오매스 생산시스템과 비교하여 최적구조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