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G/c

검색결과 10,025건 처리시간 0.039초

간암 세포주에서의 Indole-3-Carbinol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주기 억제 기전 (Inhibitory Mechanisms of Cell Cycle Regulation Induced by Indole-3-carbinol in Hepatocellular Carci-noma HepG2 Cells.)

  • 김동우;이광수;김민경;조율희;이철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81-185
    • /
    • 2001
  • 유방암 세포주에서는 우수한 항암활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진 indole-3-carbinol을 HepG2세포주에 시간과 농도별로 처리한 결과 cell growth inhibition을 확인하였으며, $IC_{50}$ 값은 48시간배양에서 $446\mu$M 72시간 배양에서 444$\mu$M로 나타났다. $400\mu$M의 I3C을 투여하고, 24, 48, 72시간에 HePG2 세포주의 cell cycle pattern을 분석한 결과, G1 phase에서 P21의증가와 함께 Cdk 6와 cyclin D의 확연한 감소와 Pb protein의 hypo-phosphorylation을 확인하였다. 반면 G2 phase에서는 I3C의 직접적인 억제로 인해 24시간 후부터 Cdc2와 cyclin B1가 급격히 감소하는것을 확인하였다. Flow cytomery 분석결과 I3C 처리 24시간 뒤 G2 arrest (25%)가 발생하였으며, 72시간이 지난후 G1 arrest (53%)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I3C의 간암세포주인 HePG2 cell의 cell cycle arrest가 apoptosis를 유발하는지를 알고자 caspase 3 Bcl2 Bax protein의 발현양상을 확인한 결과 아무런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즉 I3C은 간암세포주인 HepG2 cell에서 apoptosis를 유도하지 못한다는것을 확인하였따. 결론적으로 I3C은 HepG2 세포주에서 G1와 G2 phase에서 cell cycle arrest는 발생시키나, 특이적으로 apoptosis 와는 연관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On the Basis Number of the Semi-Strong Product of Bipartite Graphs with Cycles

  • Jaradat, M.M.M.;Alzoubi, Maref Y.
    • Kyungpook Mathematical Journal
    • /
    • 제45권1호
    • /
    • pp.45-53
    • /
    • 2005
  • A basis of the cycle space C (G) is d-fold if each edge occurs in at most d cycles of C(G). The basis number, b(G), of a graph G is defined to be the least integer d such that G has a d-fold basis for its cycle space. MacLane proved that a graph G is planar if and only if $b(G)\;{\leq}\;2$. Schmeichel showed that for $n\;{\geq}\;5,\;b(K_{n}\;{\bullet}\;P_{2})\;{\leq}\;1\;+\;b(K_n)$. Ali proved that for n, $m\;{\geq}\;5,\;b(K_n\;{\bullet}\;K_m)\;{\leq}\;3\;+\;b(K_n)\;+\;b(K_m)$. In this paper, we give an upper bound for the basis number of the semi-strong product of a bipartite graph with a cycle.

  • PDF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DPC와 TTAB의 혼합마이셀화에 대한 열역학적 고찰 (Thermodynamic Study on the Mixed Micellization of Cationic Surfactants DPC and TTAB)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614-620
    • /
    • 1999
  •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Dodecylpyridinium chloride(DPC)와 Tetr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TTAB)로 구성된 혼합계면활성제의 임계마이셀농도(CMC)와 반대이온의 결합상수(${\beta}$)를 $4^{\circ}C$에서 $36^{\circ}C$까지 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다. CMC와 ${\beta}$값의 온도에 따른 변화로부터 DPC/TTAB 혼합계면활성제의 마이셀화에 대한 여러 가지 열역학 함수값(${\Delta}C_p$, ${\Delta}G^o_m$, ${\Delta}H^o_m$${\Delta}S^o_m$)을 계산하였다. ${\Delta}C_p$${\Delta}G^o_m$은 측정한 온도범위 내에서 모두 음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Delta}S^o_m$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Delta}H^o_m$은 낮은 온도에서는 양의 값을 그리고 높은 온도에서는 음의 값을 띠었다. 또한 이러한 열역학 함수값은 온도와 몰분율 조성 (${\alpha}_DPC$)에 따라 큰 변화를 보였다.

  • PDF

Oxolinic acid의 경구투여, 주사 및 약욕에 따른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체내 약물동태학적 특성 (Pharmacokinetics of oxolinic acid in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y oral administration, injection and dipping)

  • 정승희;최동림;김진우;조미라;지보영;서정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5-135
    • /
    • 2009
  • Oxolonic acid (OA)를 넙치(평균체중 90 g)에 1회 경구투여(15, 30 및 60 ㎎/㎏ body weight), 1회 복강주사(10 및 20 ㎎/㎏ body weight) 및 1시간동안 약욕(30 및 50 ppm)한 다음, 경시적(3시간-144시간)인 혈장내 OA의 잔류농도를 분석하였다. 15, 30 및 60 ㎎/㎏ 농도로 경구투여한 모든 시험구에서 투여 10~15시간째 각각 1.92, 2.45 및 3.72 $\mu{g}/m\ell$로 최대혈중농도를 나타내었다. 10 및 20 ㎎/㎏ 농도로 복강주사한 경우, 투여 10시간째 각각 4.1 및 4.8 $\mu{g}/m\ell$로 최대혈중농도를 나타내었다. 약욕한 시험구의 경우, 30 및 50 ppm 시험구는 각각 투여 5-30시간째 0.22 및 0.38 $\mu{g}/m\ell$로 최대혈중농도를 나타내었다. OA의 투여방법에 따른 넙치 체내 약물 혈중농도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one- compartment model로 WinNonlin program을 이용하여 OA의 흡수, 배설, 반감기 등 약물동태학적 매개변수 (parameter)를 조사하였다. 15, 30 및 60 ㎎/㎏을 경구투여한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 (AUC)은 각각 70.93, 120.0 및 141.86 $\mu{g}$ $h/m\ell$, 혈중최고농도의 도달시간($T_{max}$)은 16.22, 20.39 및 17.33 h, 혈중최고농도 ($C_{max}$)는 1.61, 2.40 및 3.01 $\mu{g}/m\ell$로 계산되었다. 10 및 20 ㎎/㎏을 복강주사한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은 각 각 184.7 및 315.92 $\mu{g}$ $h/m\ell$, 혈중최고농도의 도달시간($T_{max}$)은 5.91 및 6.26 h, 혈중최고농도($C_{max}$)는 4.19 및 4.45 $\mu{g}/m\ell$로 계산되었다. 30 및 50ppm으로 약욕한 경우, 혈장농도-시간곡선하 면적 (AUC)은 각각 17.58 및 21.69 $\mu{g}$ $h/m\ell$, 혈중 최고농도의 도달시간($T_{max}$)은 19.08 및 31.43 h, 혈중최고농도($C_{max}$)는 0.22 및 0.25 $\mu{g}/m\ell$로 계산되었다.

PLLA-block-PMMA 공중합수지의 합성 및 이를 포함하는 PLA 이축연신 필름의 특성 (Synthesis of PLLA-block-PMMA Copolymer and Characteristics of Biaxially Oriented PLA Film Including the Same)

  • 김문선;이상은
    • 공업화학
    • /
    • 제26권3호
    • /
    • pp.251-25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L-lactide를 이용하여 수평균분자량(Mn)과 중량평균분자량($M_w$)이 각각 12,000, 14,000 g/mol인 PLLA (Poly L-lactic acid) 수지를 합성하였으며, 이 PLLA를 이용하여 PLLA-Br 중간체를 합성하였다. PLLA-Br 중간체를 이용하여 수평균분자량($M_n$)과 중량평균분자량($M_w$)이 각각 84,000, 126,000 g/mol인 PLLA-block-PMMA (Poly L-lactic acid-block-Polymethyl methacrylate) 공중합체를 최종적으로 합성하였으며 PLLA-block-PMMA 공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T_g$)는 $95.5^{\circ}C$, 열분해 개시온도는 $289^{\circ}C$이었다. PLA에 PLLA-block-PMMA를 9 phr 혼용하고 $95^{\circ}C$에서 3배 이축연신한 다음 $120^{\circ}C$에서 2 min 동안 저온열처리하여 두께가 $50{\pm}3{\mu}m$인 PLA 필름을 제조하였다. 550 nm 파장에서 측정한 PLA 필름의 빛투과율은 88.5%, 인장강도는 44.5 MPa이었으며 PLA 필름의 인장강도를 현 수준보다 개선하기 위해서는 이축연신후 $120^{\circ}C$의 온도조건에서 2 min보다 긴 저온열처리시간이 필요하였다.

강황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C2C12 Myoblasts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Protective Effects of Hot Water Extract from Curcuma longa L. on Oxidative Stress-Induced C2C12 Myoblasts)

  • 정혜진;김신태;박정진;김기홍;김경미;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408-1413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강황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기 위해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강황 열수 추출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474.4{\pm}31.9mg$ GAE/100 g 및 $892.1{\pm}21.2mg$ CE/100 g으로 나타났다. 강황 열수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은 DPPH 및 ABTS 라디칼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을 $SC_{50}$ 값으로 계산하였을 때 각각 $188.5{\pm}3.0{\mu}g/mL$$92.0{\pm}0.9{\mu}g/mL$로 나타났다. 이러한 라디칼 소거능에는 강황 열수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총 페놀성 화합물 및 플라보노이드가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C2C12 myoblast에 강황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1,000{\mu}g/mL$ 농도까지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안전성이 확인된 $500{\mu}g/mL$ 농도까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강황 열수 추출물의 $H_2O_2$에 대한 보호 효과를 측정한 결과 강황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농도 의존적으로 보호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_2O_2$ 처리 후 DCF-DA 방법을 이용하여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 수준을 측정한 결과 강황 열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 내 ROS 수준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강황 열수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으며, C2C12 myoblast에 $H_2O_2$로 유도된 산화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저서식물의 군집구조와 생산성(죽도, 동해안) III. 알쏭이오자반(갈조류)의 생장과 생산성 (Community Structure and Productivity of Phytobenthos in Juckdo (Eastern Coast of Korea) III. Growth Pattern and Productivity of Sargassum confusum (Phaeophyta))

  • 고철환;안인영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2호
    • /
    • pp.119-126
    • /
    • 1985
  • Sargassum confusum을 대상으로 동해안 오호리 지역에서 1983년 3월 부더 1984년 4월까지 이 종의 생장 및 일차생산력을 조사하였다. S. confusum은 2월에 생장하기 시작하여 여름에 최대생장을 나타낸 후 빠른 속도로 쇠퇴하는 생육주기를 가진다. 생식활동은 6월에 주로 이루어 진다. 이러한 생장양상은 수온과 밀접한 관제를 갖는다. 최대성장율은 5월의 1.3cm/day이며 최대길이는 8월의 120cm이다. 산소명암병법으로 측정된 S. confusum의 일순생산력은 6월에 11.2 gC/dry wt/day이며 이를 기초로 추정한 연생산력은 745 gC/$m^2$/yr이다. 한편 현존량의 변화에만 의존하여 추정된 연생산력은 745 gC/$m^2$/yr로서 탈락에 의한 손실이 약 60%에 달하고 있다.

  • PDF

순수 물에서 Sodium Dodecylsulfate(SDS)와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DBS)의 혼합미셀화에 대한 열역학적 고찰 (Thermodynamics on the Mixed Micellization of Sodium Dodecylsulfate(SDS) with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DBS) in Pure Water)

  • 이병환
    • 대한화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420-426
    • /
    • 1996
  • 순수 물에서 Sodium dodecylsulfate(SDS)와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DBS)로 구성된 혼합계면활성제의 임계미셀농도(CMC) 및 반대이온의 결합상수(${\beta}$)값을 15$^{\circ}C$에서 35$^{\circ}C$까지의 온도범위에서 전도도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CMC 및 ${\beta}$값의 온도에 따른 변화로부터 SDS/DBS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에 대한 여러가지 열역학 함수값(${\Delta}C_p,\;{\Delta}G_m^{\circ},\;{\Delta}H_m^{\circ}$${\Delta}S_m^{\circ}$)들을 계산하였다. 측정한 온도범위 내에서 SDS/DBS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로 인한 ${\Delta}G_m^{\circ}$${\Delta}C_p$의 값들은 모두 음의 값을 그리고 ${\Delta}S_m^{\circ}$값은 모두 양의 값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열역학 함수값들의 온도 및 몰분율조성(${\alpha}_{SDS}$)에 따른 변화를 이용하여 SDS/DBS 혼합계면활성제의 미셀화를 분석하였다.

  • PDF

추출 온도에 따른 산수유의 항산화 활성 및 항유전독성 효과 비교 (Antioxidant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Sansuyu Fruit (Corni fructus) Extracted with Water at Different Temperatures)

  • 이민희;김정미;박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9-155
    • /
    • 2011
  • 산수유 5 g에 100 mL의 증류수를 가하고 항온수조를 이용하여 $25^{\circ}C$, $50^{\circ}C$, $90^{\circ}C$에서 추출한 다음 농축하여 각각 온도별 추출물을 얻었다. 각 온도별 추출물을 이용하여 산수유의 항산화 활성 조사 결과, 총 페놀함량은 가장 높은 온도($90^{\circ}C$)에서 추출한 추출물이 5.5 g/100 g GAE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50^{\circ}C$, $25^{\circ}C$ 추출물 순으로 페놀 함량이 많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에서는 각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라디칼의 50%를 저해하는 농도인 $SC_{50}$은 추출 온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SOD 유사활성에서도 역시 각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활성이 높았으며, $SC_{50}$은 다른 온도에 비해 $25^{\circ}C$에서 유의하게 낮았는데 이는 $25^{\circ}C$에서 SOD 유사활성이 가장 좋음을 나타낸다. 또한 ORAC assay를 이용한 peroxyl 라디칼 소거능은 저농도에서는 각 온도에 따라 유의적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고농도에서는 $50^{\circ}C$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한편 산수유 추출물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 억제 효과를 보기 위해 1, 10, $50\;{\mu}g$/mL의 농도로 백혈구에 처리한 후 $200\;{\mu}M$ $H_2O_2$로 DNA 손상을 유도한 결과, $50\;{\mu}g$/mL 농도에서 손상된 DNA tail 부분의 DNA 함량을 측정한 % tail DNA inhibition이 $25^{\circ}C$에서 28.5%, $50^{\circ}C$에서 37.5% 그리고 $90^{\circ}C$에서는 38.5%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산수유를 물로 추출할 경우 추출 온도가 높을수록 총 페놀함량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항산화 활성과 항유전독성 효과는 추출 온도와는 상관 없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산수유가 일반적으로 고온에서 열수 추출하는 한약재로서 뿐만 아니라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우려내는 식용 음료로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제시한다.

Time gap between oocyst shedding and antibody responses in mice infected with Cryptosporidium parvum

  • Yu, Jae-Ran;Lee, Soo-U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5권3호
    • /
    • pp.225-228
    • /
    • 2007
  • We observed the time gap between oocyst shedding and antibody responses in mice (3-week-old C57BL/6J females) infected with Cryptosporidium parvum. Oocyst shedding was verified by modified acid-fast staining. The individually collected mouse sera were assessed for C. parvum IgM and IgG antibodies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rom 5 to 25 weeks after infe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 parvum oocysts were shed from day 5 to 51 post-infection (PI). The IgM antibody titers to C. parvum peaked at week 5 PI, whereas the IgG antibody titers achieved maximum levels at week 25 PI. The results revealed that IgM responses to C. parvum infection occurred during the early stage of infection and overlapped with the oocyst shedding period, whereas IgG responses occurred during the late stage and was not correlated with oocyst shedding. Hence, IgM antibody detection may prove helpful for the diagnosis of acute cryptosporidiosis, and IgG antibody detection may prove effective for the detection of past infection and endemi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