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gament Injury

검색결과 290건 처리시간 0.019초

관절경을 이용한 경골 과부 골절의 치료 (The Treatment of Tibial Condylar Fractures Using Arthroscopy)

  • 신동민;이상홍;유재원;이병호;하상호;나태진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2-37
    • /
    • 2000
  • 목적 : 경골 과부 골절 환자 전례를 대상으로 관절경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골절 뿐만 아니라 동반된 연부 조직 병변에 대해 진단과 치료를 시행하여 관절경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1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경골 과부 골절 환자 31례를 대상으로 하여 전 례에서 관절경을 시행하여 동반된 연부 조직 손상을 확인하였으며 이중 보존적 요법 9례, 수술적 치료는 22례에서 시행 하였다. 저자들은 사고 원인, 분류, 동반된 연부 조직 손상, 치료 및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 Schatzker골절 분류상 제 1형이 15례$(18\%)$로 가장 많았으며, 동반된 관절내 병변 및 인대 손상은 총 21례$(67\%)$에서 관찰되었다. 반월상 연골 파열이 16례로 가장 많았고, 파열 형태로는 변연부 박리가 7례$(44\%)$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Schatzker I, II형에서 가장 많은 연부 조직 손상이 동반 되었으며 특히, 내측 측부 인대 및 반월상 연골 손상의 빈도가 가장 높았다. 결론 : 경골 과부 골절시 관절경 검사는 골절의 치료뿐만 아니라 관절내 병변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관절경적 후방 십자 인대 봉합술 (Arthroscopic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pair)

  • 김경택;손성근;김철홍;강민수;이철원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17-121
    • /
    • 2007
  • 목적: 후방 십자 인대의 골편을 포함하지 않은 대퇴 부착 부 견열 손상에 대한 관절경적 일차 봉합술의 추시 결과를 보고한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본원에서 관절경적 후방 십자 인대 봉합술을 시행한 13례 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10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38.7{\pm}11$개월이었다. 평균 나이는 $28.2{\pm}6$세로 남자 8례, 여자 2례였다. 모든 예에서 최종 추시 시 Lysholm and Gillquist 점수 및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IKDC) criteria를 이용하여 평가 하였으며, 후방 전위 검사로 후방 불안정성을 평가하였으며, 후방 부하 측면 방사선 사진으로 경골의 후방 전위를 측정하였다. 결과: Lysholm and Gillquist 점수는 평균 $94.5{\pm}2.6$,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criteria에 따른 결과는 4례에서 A(normal), 6례에서 B(nearly normal)이었다. 후방 전위 검사 상 5례에서 grade I의 후방 불안정성을 보였으며, 5례에서 grade II의 후방 불안정성을 보였다. 후방 부하 측면 방사선 사진에서 경골의 후방 전위는 평균 $3{\pm}2.3mm$ 이었다. 결론: 후방 십자 인대의 골편을 포함하지 않은 대퇴 부착 부 견열 손상에 대한 관절경적 일차 봉합술은 후방 불안정성을 줄이고 기능적 회복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용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반월상 연골의 관절경적 봉합시 관절안정성에 따른 결과 (Clinical results of arthroscopic meniscal repair according to joint stability)

  • 경희수;인주철;백승훈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7-42
    • /
    • 2002
  • 목적 : 관절경적 반월상 연골 봉합술시 인대 손상 동반 여부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 추시 기간은 59.7개월이었다. 환자의 연령은 평균 32.3세였다. 동반 인대 손상이 없는 경우와 동반 손상인대를 치료한 17례를 안정 관절군으로, 동반 손상을 치료하지 않은 3례를 불안정 관절군으로 비교하였다. 안정 관절군은 급성기와 만성기로 분류하였다. 결과는 Lysholm 및 IKDC 평가법으로 판정하였다. 정상 및 아정상군은 만족으로, 비정상 및 장애군은 불만족으로 구분하였다. 통계적인 방법은 Wilcoxon rank sum test, fisher's exact test(p<0.05)를 이용하였다. 결과 : 동반 손상인대를 동시에 치료한 8례는 만족 $87.5\%$, Lysholm score는 평균 90.9을 보였고, 동반 손상을 치료하지 않은 3례는 만족 $66.7\%$, Lysholm score는 평균 77.7을 보였다 동반 인대 손상이 없는 9례는 만족 $88.9\%$, Lysholm score는 평균 91.4을 보였다. 급성기에 치료한 12례는 만족 $91.7\%$, Lysholm score는 평균 92.5를 보인 반면, 만성기의 5례는 만족 $80\%$, Lysholm score는 평균 88.6을 보였다. 결론 : 수상 후 급성기에 파열된 반월상 연골 및 동반 손상인대의 관절경적 복원술을 동시에 시행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조기 재건군과 지연 재건군의 결과 비교 (A Comparison of Outcomes after Early and Delayed Reconstruction in the Acute Anterior Cruciate Ligament Injuries)

  • 이수원;김성환;김윤기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4-39
    • /
    • 2012
  • 목적: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조기 재건술과 지연 재건술 간의 관절 강직 발생 정도와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3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 중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34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상 후 1주 이내에 재건술을 시행한 조기 재건군과 수상 후 3주에서 6주 사이에 재건술을 시행한 지연 재건군으로 나누어 수술 전까지 적극적인 관절 운동을 시행하고 술 후에 환자 스스로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적극적인 재활 치료를 시행한 후 관절 운동 범위,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Lysholm 점수,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IKDC) 점수, Tegner 활동도 점수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최종 추시에서 Lysholm 점수는 조기 재건군 91.82점, 지연 재건군 94.83점이었고 IKDC 점수는 전례에서 B (거의 정상) 이상으로 회복되었다(P=0.217, P=0.845). Tegner 활동도 점수는 조기 재건군 6.7점, 지연 재건군 7.1점이었고 (P=0.840) 관절 운동 범위는 양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P=0.873, P=0.873) 심부 정맥 혈전증이나 감염은 전례에서 발생하지 않았다. Lachman 검사, pivot shift 검사 결과도 양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606, P=0.118). 결론: 급성 전방십자인대 손상 환자에서 조기 및 지연 재건군 모두에서 만족할만한 임상적 결과를 얻었다. 따라서 수상 후 1주 이내에 시행하는 조기 재건술도 좋은 치료 방법의 하나로 선택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PDF

정상 개의 관절액에서 TRAP(Tartrate resistant acid phosphatase)농도 측정 (The Concentration of Tartrate Resistant Acid Phosphatase in Synovial Fluid of Canine Stifle Joint)

  • 이해범;알람;최성진;박상렬;이영훈;전승기;최익혁;김남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0-19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십자인대 손상견의 무릎관절액의 TRAP의 농도와 비교 할 수 있는 정상 관절액의 TRAP 농도의 지표를 제시 하기 위하여, 정상 무릎 관절액의 TRAP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십자인대 손상이 없는 23두 건강한 잡종견(14두 노령견과 9두 성견)을 실험견으로 선택하고 성별, 나이, 몸무게로 구별하였다. 무릎 관절액을 채취 한뒤, Lang method로 관절액의 TRAP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TRAP의 농도를 성별, 나이, 몸무게 등으로 구별하여 $Mean{\pm}SD$로 표시 하였으며, 유의성 차이를 T-test로 구별하였다. 노령견(14두, 2년이상) TRAP의 농도는 $0.083{\pm}0.039\;IU/ml(mean{\pm}SD$, 성견(9두, 2년 이하) $0.064{\pm}0.023\;IU/ml$, 대형견(15두, >22 kg) $0.075{\pm}0.028\;IU/ml$, 소형견(8두, <22 kg) $0.076{\pm}0.046\;IU/ml$, 중성화견(15두) $0.085{\pm}0.036\;IU/ml$, 중성화 되지 않은견(8두) $0.056{\pm}0.022\;IU/ml\;(Mean{\pm}SD)$로 나타났으며, 중성화 견과 중성화 되지 않은 견에서만 유의성 있는 차이 (P<0.05)가 보였다. 본 연구의 정상견에서 TRAP 농도는 십자인대의 손상견과 비교할수 있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공단 근로자의 수부 손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and Injury in Industrial Complex Workers)

  • 김수민;구경숙;이근희;강호현;형인한;성광준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905-913
    • /
    • 1999
  • The hand is a part of the body which has various functions and a sophisticated structures bone, Joint, tendon, ligament and logical nerve organ are aggregated densely in the hand of anatomy its functions are delicate. The hand's functions are very important for doing ADL and a worker's As the hand is structure which is used often and commonly it is a site that can be easily damaged by a accident on work. This study was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the results from 238 workers who had hand injury and physical therapy from January, 1997 to June, 1998 at Shin-Pung, Jang-Lim industrial complex which is located in Pusan. 1. A hand injury most frequertly happened in worker in their 30's and 20's(66 case, 28%), second was 57 case(24%) their 40's. 2. Among workers suffering from injury, who had one or less than 2 years on the job, a injury most frequently occurred. 3. Scale of workers, A injury most frequently happend in a place where had workers from 10 to 50. 99 workers from that place were 42% of total. 4. Month of occurrence rate in March were the highest compared to other months 40 injury workers in march were 17% of the total. Second was July, and the least was April that injury appeared with 10 workers. (4.2% of the total) 1. Frocture was the most common lesion 82 workers had that lesion(34%) soft tissue rupture was 71 workers who were 30% of total in type of lesion. 2. Of the site of lesion multiple case was the most common in which 57 workers had that lesion it were 24% of the total. The next was the index finger site in which 44 workers were 19% of the total. The index finger was the most common mono-site that can be lesion 36 workers were the middle finger lesion workers who were 15% of the total. Of the joint lesion, PIP was the most in which 76 workers were 44% and in MC 27 workers were 15% of the total. 3. Interval of physical therapy 79 workers from one month to 2 months, was 33% of the total and 174 workers who had therapy below 3 months were 71% 4. Post injury of disablity of the site, phalangeous disability was the most in which 148 workers had that injury and they were 62% of the total of the grade of disability 110 workers who were 46% of the total state from less than 25% disability in hand-function and 59 patients who were 25% had no disability. There were 6 workers (3% of the total) who had over -75%-dibability in the hand-function.

  • PDF

주니어 투수들의 팔꿈치 안쪽 곁인대 손상이 상지 근육의 최대등척성수축력 차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bow Ulnar Collateral Ligament Injury on Differences in Maximal Isometric Strength of Upper body in Young Baseball Pitchers)

  • 장세홍;김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628-634
    • /
    • 2016
  • 투수들의 경기력은 야구경기에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많은 투수들은 염좌 인대손상 등 많은 상해에 시달린다. 이러한 이유는 한 관절을 움직일 때 사용되는 주요한 두 가지 근육의 근력 차이가 클수록 부상의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야구선수들을 대상으로 팔꿈치 안쪽 곁인대 통증이 있는 선수들과 통증이 없는 선수들의 투구 동작에 관련된 최대 등척성 수축력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기간은 2주간으로 모든 실험참가자들의 측정이 실시되었다. 실험참가자들(n=36)은 통증이 있는 통증군 (n=18)과 통증이 없는 정상군 (n=18)으로 나뉘어 최대 등척성 수축력을 어깨관절 안쪽과 바깥돌림근, 팔꿉굽힘근과 폄근, 손목굽힘근과 폄근에서 측정하였고 그후 근육그룹간 근력의 차이를 계산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SPSS 18.0을 이용하여서 독립 t-test를 이용하여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통증군의 바깥돌림근 (p = 0.035), 팔꿉굽힘근 (p=0.031), 팔꿉폄근 (p=0.041)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낮았고 손목폄근(p=0.047)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통증군의 어깨관절 안쪽과 바깥돌림근(p = 0.008), 팔꿉관절 굽힘근과 폄근(p = 0.002), 손목관절의 굽힘근과 폄근의 (p = 0.032) 최대등척성수축력의 차이가 정상군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 통증군의 최대등척성수축력의 차이가 높게 나타나서 부상이 발생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근력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한다면 부상에서 회복하고 더불어 경기력 향상을 이룰 수 있게 된다고 사료된다.

외상성 intrusion 치아의 교정적 견인시기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ONSET OF ANKYLOSIS FOLLOWING INTRUSIVE LUXATION INJURIES)

  • 정규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9-272
    • /
    • 1991
  • Orthodontic traction has been suggested as the treatment of choice for intrusive luxation injuries. Prior research has shown orthodontic forces to be ineffective in the presence of ankylosis or in cases with zero mobility following the injury. If orthodontic traction is to be effective, it must be initiated prior to the onset of ankylo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ffects of intrusive luxation at various times following the injury, and to determine the time of the onset of ankylosis, and to examine what effect immediate partial luxation has on the onset of ankylosis. Eight young mongrel dogs were utilized for this study. Intrusive luxation was produced with an axial impact using a gravity hammer and a specially designed holding device on 4 teeth (2 max. and 2 man. first premolars) in each dog. The teeth were intruded approximately 3-4mm in an axial direction. One maxillary and one mandibular premolars were partially luxated with the other two teeth being untouched. Pre and posttrauma tooth position was documented with plaster models and radiographs taken with an individualized X-ray jig. Dogs were sacrificed immediately following the injury and at 1, 2, 4, 7, 10, 14 and 21 days respectively. Tetracycline was administered as a vital bone marker 24 hours before sacrifice. Block sections of the tooth and alveolus were prepared for decalcified and non decalcified histologic sections. The effects of traumatic intrusion were analyzed by means of model casts, radiographs, tetracycline bone marking and histologic preparation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animal sacrificed immediately following the injury displayed alveolar fractures, torn periodontal ligaments, and areas of direct tooth-bone contact. 2. The odontoblastic layer of the pulp was disorganized as early as 24 hours after the injury. 3. Bony remodeling was noted at 4 days along with active surface resorption. 4. Ankylosis was first seen 7 days after the injury. 5. Osteogenesis in the dentin (thick tetracycline bands) was observed 7 days after the injury. 6. There was no progressive root resorption and ankylosis where the periodontal ligament has been healed. 7. The Luxated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root resolution and ankylosis than the Nonluxated group with increased observation periods. The results suggest that ankylosis may occur within the first week following the injury, and hence orthodontic traction should be initiated as soon after the injury as possible.

  • PDF

저장용액의 온도에 따른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 (A COMPARATIVE STUDY OF PRESERVING ABILITY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STORED IN DIFFERENT TEMPERATURED STORAGE MEDI)

  • 조재현;김성오;최형준;이제호;손흥규;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6-42
    • /
    • 2007
  • 외상성 손상 후 치아 탈구 시 치아를 저장하는 저장용액의 종류와 온도가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기 위하여 치주인대세포를 10% fetus bovine serum(FBS) 함유 ${\alpha}-minimal$ essential medium$({\alpha}-MEM)$에서 $37^{\circ}C$ 5% $CO_2$ 공기 혼합 배양기에서 배양하고 4 25, $37^{\circ}C$의 Hank's balanced salt solution(HBSS) 과 ${\alpha}-MEM$, 우유(S회사, P회사), tap water에 저장하고 60분이 지난 후 각 군에 대해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circ}C$ 저장용액의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은 ${\alpha}-MEM$과 P회사우유에서 가장 높았고 HBSS, S회사우유, tap water 순으로 낮았다. 2. $25^{\circ}C$ 저장용액의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은 ${\alpha}-MEM$에서 가장 높았고 P회사우유, HBSS, S회사우유, tap water 순으로 낮았다. 3. $37^{\circ}C$ 저장용액의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은 ${\alpha}-MEM$과 P회사우유, HBSS, S회사우유에서 높았고 tap water에서 가장 낮았다. 4. ${\alpha}-MEM$의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은 $4^{\circ}C$에서 가장 높았고 $25^{\circ}C$$37^{\circ}C$순으로 낮았으며 HBSS에서는 $4^{\circ}C$에서 높았고 $25^{\circ}C$$37^{\circ}C$에서 낮았다. 5. S회사와 P회사우유에서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은 $4^{\circ}C$$25^{\circ}C$에서 높았고 $37^{\circ}C$에서 낮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외상으로 인해 치아가 탈구되었을 때 탈구된 치아의 저장용액으로 HBSS용액이 추천되고 있으나 이 연구에서 $4^{\circ}C$$25^{\circ}C$ 우유에서 치주인대세포의 생존율이 높았으므로 사고 현장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치주인대세포의 생활력 보존에도 유리한 낮은 온도의 우유에 탈구된 치아를 보존하는 방법도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 analysis of missed injuries in patients with severe trauma

  • EunGyu, Ju;Sun Young, Baek;Sung Soo, Hong;Younghwan, Kim;Seok Hwa, Youn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5권4호
    • /
    • pp.248-254
    • /
    • 2022
  • Purpose: To analyze the data of trauma patients with undetected injuries at the time of initial resuscitation dur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surveys.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807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at the National Trauma Center, Seoul, Korea from June 1, 2019 to June 30, 2021. Results: In trauma patients with an Injury Severity Score ≥16 accounted for 27.5% in the non-missed injury group (non-MIG), but this rate was considerably higher at 71.2% in MIG. The mean hospitalization longer in MIG (50.90±39.56) than in non-MIG (24.74±26.11).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missed injuries detected through tertiary trauma survey (TTS) was 28 patients (23.5%) within 24 hours, 90 patients (75.6%) after 24 hours to before discharge. The majority of missed injuries were fractures (82.4%) and ligament tears (8.4%), which required consultation with the orthopedic department. The final diagnoses of missed injuries were confirmed by computed tomography (44.5%), magnetic resonance imaging (19.3%), X-ray (19.3%), bone scan (11.8%), and physical examination (5.0%). Conclusions: TTS is considered a useful process for detecting missed injuries that were not identified at the time of initial resuscitation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surveys. In the future, to detect missed injuries quick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itable TTS program for each trauma center. In addition,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tocolized TTS and survey chart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