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 safety

검색결과 4,520건 처리시간 0.033초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에 관한 효과적 교육 및 홍보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Educational and Promotional Strategies for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Management of Children's Dietary Life)

  • 홍진임;정희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76-189
    • /
    • 2012
  • 본 연구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홍보방법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자인 학부모는 특별법 주요 문항을 대부분 숙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안전한 어린이 기호식품 선택을 위해 가장 중요한 항목은 '어린이 기호식품의 기준 규격을 강화해야 한다'로 나타났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관련 문항은 어린이 식생활 안전분야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고, 전업주부와 핵가족은 어린이 식생활 안전분야를 (p<.01), 대가족은 어린이 식생활 영양분야를 더 중요하게 생각했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에 대한 정보취득 경로는 주로 대중매체와 가족 및 친구로 나타났고, 월수입이 높을수록 전문서적을, 30세 이상~50세미만은 대중매체를, 대졸의 경우 시민사회단체를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5). 어린이 식생활 안전교육을 받게 될 경우 위생적인 식생활 정보와 가공식품영양표시제정보를 주로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업 주부는 가공식품영양표시제정보에, 직장인은 위생적인 식생활 정보에 더 많은 관심을 보였다(p<.05).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을 학부모들에게 알리는 방법에 대해서는 TV, 라디오 등 방송매체를 통한 홍보와 학교 교육을 통한 홍보가 효과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연구결과 어린이 식생활 안전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경로와 학부모들이 생각하는 특별법에 대한 효율적 홍보방법으로 대중매체가 영향을 많이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앞으로 어린이 식생활 안전관리 특별법을 홍보하는데 있어서 유의해야 할 부분이라고 사료된다.

  • PDF

유아안전을 위한 부모교육의 경험 및 부모의 인식도 (The status of parents' education and their perception for young children's safety)

  • 홍명희;정영숙;장혜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741-749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parents' perception on young children's safety life, safety accident, and safety education and provided basic data of administrating par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s safety.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20 parents (310 fathers and 310 mothers) of young children attending at four public kindergartens and two day care centers located in C city and D coun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parents' perception on young children's safety life, parents thought that their perception and attitude would mostly affect young children' safety life. Second, with regard to parents' perception on safety accident, half of parents experienced such safety accident as accident during play, traffic accident, accident in dangerous places, accident from dangerous matters, accident in sport activities, fire, and electric shock. Third, most parents looked upon safety education as very important one, and fathers were more satisfied with the safety education administered by kindergartens. Fourth, with regard to parents' perception on par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s safety, most parents thought that parent education for safety would be necessary. They ranked traffic and play accidents as the most important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 PDF

영유아 부모의 아동안전 응급처치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Children Life Safety Support Education Program for Parent)

  • 이영아;고재문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26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educational program of Life Safety Support for parent. Methods: This study was used to develop children life safety support education program. The education program was utilized as multimedia, practice and discussions to increase understanding and effectiveness of learning. The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June to December, 2010. There were two forms of evaluations, pretest and posttest with an intervention of education program.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paired t-test using the SPSS 10.0 program. Results: 1. the experimental group, who was given an education program before the test, got higher marks on the Life Safety support knowledge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t=6.678, p=.000). 2. the experimental group got higher marks on the action evaluation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ertainty of action(t=8.546, p=.000)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how Life Safety support education program increased effectiveness in the knowledge and action of children Life Safety support.

CPTED와 지자체 안전교육이 지역 무질서 및 안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지역 무질서의 매개효과 (Effects of Local Governments Social Security Network on Safety life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 of regional disorder -)

  • 강현;김현호
    • 시큐리티연구
    • /
    • 제54호
    • /
    • pp.77-99
    • /
    • 2018
  • 본 연구는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CPTED'와 지자체 안전교육이 '안전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관계를 살펴보며, 무질서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7년 수도권지역에 거주자를 모집단으로 하였으며, 임의표집법(Random Sample)을 통하여 300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최종분석에는 24부를 제외한 총 276부를 통계처리 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CPTED'는 '무질서'와 '안전생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났으나, '지자체 안전교육'은 '안전생활 만족도'에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무질서'는 '안전생활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부트스트랩핑을 실시한 결과에서도 'CPTED'와 '안전생활 만족도'의 관계에서만 지역무질서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본 결과, 지역사회의 안전교육에 변화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며, 지역사회의 CPTED 지역주민의 안전생활을 위한 안전망으로써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국민의 안전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것은 국가의 가장 중요한 정책 중 하나이다. 지자체 또한 지역주민의 안전한 삶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하나, 사회 안전망으로써의 효과가 선행적으로 입증되어야만 지역사회에 보급하고 운영할 수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 안전망과 무질서 및 안전생활 만족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통합사령실의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안전성 라이프사이클 개선에 대한 연구 (A Study of Safety Life-cycle for Integrated Centralized Traffic Control(CTC))

  • 온정근;이종우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59-963
    • /
    • 2007
  • After the year of 2000, the need of safety increases in field of railroad. The project for developing Integrated Centralized Traffic Control(CTC) center started at 2002 to control the full domestic railroad network. A traffic control software was required the safety activity and assessment, according to 'KORAIL Instruction number 2001-49'. There were many trials and errors to perform safety activity because the technology and recognition of safety activity is in primary stage. However the safety activities are gradually stabilized. This paper describes the safety life-cycle and development life-cycle of Integrated CTC S/W and a suitable life-cycle of safety to develop S/W of Integrated CTC.

  • PDF

컨테이너 크레인의 피로수명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tigue Life Assessment Procedure for a Container Crane)

  • 정동관;윤기봉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1-18
    • /
    • 1999
  • Proper fatigue life prediction procedures are needed for mechanical structures which requires high durability and reliability. In this paper, a fatigue life prediction procedure has been developed for predicting fatigue life of moving structure under variable loadings. The developed procedure was efficiently applied for a fatigue life calculation of a container crane. Especially, the procedure is useful for safety assessment by computer simulation. A computer program was developed for fatigue life assessment by adopting the forementioned procedure.

  • PDF

생활 및 실험실 안전관리에 대한 대학생의 인지도 조사 (Research of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Living and Laboratory)

  • 홍영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89-96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및 실험실 안전관리에 대한 의식조사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보건계열, 공학계열, 식품조리계열, 그리고 소방계열 대학생 4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조사결과는 SPSS win 19.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등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질문의 신뢰도는 Cronbach'${\alpha}$ = 0.756~0.835이다. 조사결과에 의하면 Pearson's ${\chi}^2=296.456$, p < 0.001으로 일반생활안전에 대한 인식과 실험실안전에 관한 인식은 유사성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조사결과 전공의 유형에 따라 인식의 차이를 보여 식품조리계열 > 소방계열 >보건계열 >공학계열의 순으로 안전에 대한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가철도연구개발프로젝트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생명주기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fe Cycle Model to effectively conduct the National Railway R&D Project)

  • 최요철;이재천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4권1호
    • /
    • pp.11-18
    • /
    • 2008
  • As a government agency or the Government-donated Research Institute or industrial research institute is intended to develop a product or to construct a system such as a railway safety systems by research and development process, a life cycle model leading a product development or a research and development is essential to them to systematically and effectively progress it. In this paper, the refined life cycle model to effectively conduct the national railway safety project consists of the life cycle phases and their detail descriptions with reference to other life cycle model in the international standard and the other national guidance and other industrial domain such as ship-building, weapon system, and aerospace areas, the proposed life cycle model in the paper considerably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in railway safety domain. A guidance of a life cycle model which based on lots of the life cycle model in other domains proposes additionally.

  • PDF

한국형 인명안전기준 개발을 위한 국내외 화재사례 조사 (A Study on Domestic and Foreign Fire Case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ife Safety Standards)

  • 이병흔;진승현;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0년도 가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61-62
    • /
    • 2020
  • After the fire in Grenfell, a special fire safety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spirit of building fire safety is increasing. However, as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more than 80 people were injured in the Ulsan residential fire in 2020, there are no cases of making it a life safety standard for buildings, and there is an urgent need to investigate this. In this research, we will investigate the five fires that occurred in Grenfell, England, derive the problems, and use them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the safety standards for Korean-style human life in the future.

  • PDF

한국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의 평가 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a Children's Dietary Life Safety Index in Korea)

  • 정해랑;곽동경;최영선;김혜영;이정숙;최정화;이나영;권세혁;최윤주;이순규;강명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4권1호
    • /
    • pp.49-60
    • /
    • 2011
  • 본 연구는 특별법에 의한 어린이식생활 안전지수를 개발하여 지자체별로 비교 평가하기 위한 안전지수의 영역을 구성하고 영역별로 세부지표를 도출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식생활 안전지수 평가지표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 및 식생활 안전지수 평가지표 전문가 자문회의를 실시하여 평가지표를 개발하였으며, AHP 기법과 델파이 조사 기법을 활용하여 각 평가지표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린이 식생활 안전지수 평가지표는 수차에 걸친 식품, 영양 관련 분야 전문가 회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정책지표 3개, 전략지표 9개, 대표 평가지표 11개 및 세부 평가지표 20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세부 평가지표에 대해 AHP 기법과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각 세부지표별 가중치를 선정하였다. 정책지표별 가중치는 식생활 안전 0.4, 식생활 영양 0.4, 식생활 인지 실천수준 0.2이었고, 전략지표별 가중치는 식생활 안전관리 지원수준 0.12, 기호식품 안전관리수준 0.19, 단체급식 안전관리수준 0.19, 결식 및 비만관리 수준 0.13, 기호식품 영양관리수준 0.11, 단체급식 영양관리수준 0.16, 식생활 안전 및 영양제도 인지수준 0.04, 식생활 안전관리 인지 실천 수준 0.07, 식생활 영양관리 인지 실천 수준 0.09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