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fe Ability

검색결과 2,756건 처리시간 0.025초

코로나19 두려움과 아동의 생활역량 간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 연구 (The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ears of COVID-19 and Life Competencies of Children)

  • 김웅수;김재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827-832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두려움이 아동의 생활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폰 과의존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연구수행을 위해 K지역에 살고 있는 아동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아동 250명을 연구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 코로나19 두려움이 높을수록 아동의 생활역량은 낮아져 아동의 생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코로나19 두려움은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의 코로나19 두려움과 생활역량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과의존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코로나19와 같은 사회적 재난 위기에서 아동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기 위해 아동의 스마트폰 과의존을 조절하고 생활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융복합적 개입 및 실천 전략을 제시하였다.

The impact of peripheral neuropathy symptoms, self-care ability, and disturbances to daily life on quality of life among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a cross-sectional survey

  • Sohee Mun;Hyojung Park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96-306
    • /
    • 2022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ipheral neuropathy symptoms, self-care ability, and disturbances to daily life on quality of life (QoL) among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144 patients with gynecological cancer undergoing anticancer chemotherapy at a tertiary hospital in Seoul, South Korea, from December 1, 2021 to January 28, 2022.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to recruit patients who had received 4 or more cycles of chemotherapy using a paclitaxel-platinum regimen, an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data.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analysis of variance,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Most of the participants had ovarian cancer (70.1%) or endometrial cancer (14.6%), and the most common number of treatment cycles was 6 to 10 (29.2%). The mean QoL (60.83±19.89) was greater than the midpoint. The regression model analyzing the patients' Q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15.38, p<.001)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56.7%. Self-care ability (β=.39, p<.001), disturbances to daily life (β=-.38, p<.001), the duration of peripheral neuropathy symptoms (β=2.14, p=.034), and regular exercise (β=-2.12, p=.036)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ffect QoL. Conclusion: Efforts to improve the self-care ability of gynecological cancer patients who have experienced peripheral neuropathy after receiving chemotherapy and mitigate disturbances to their daily life can improve their QoL. Healthcare professionals should identify peripheral neuropathy symptoms and examine the effects of the symptoms on patients' daily lives. Improving the self-care ability of patients and alleviating their limitations in daily life may improve QoL.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과 삶의 만족감 관계 분석 (An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Older Adults' Online Information Activities and their Life Satisfaction)

  • 강보라;김희섭;이미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59-17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동이 삶의 만족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온라인 정보활동은 크게 '정보활용수준', '정보활용시간', '정보기기활용수준'으로 범주화하고, 삶의 만족감은 행복감, 건강상태, 경제상태를 포함하여 측정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490부의 응답지 중 불성실한 응답지를 제외한 총 341부를 SPSS 19(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와 Amos 통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고령층의 온라인 정보활용 수준과 온라인 정보활용 시간은 각각 정보기기활용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보기기를 활용하는 수준이 높을수록 자신의 삶의 만족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온라인 정보활용 수준과 온라인 정보활용 시간은 그들의 삶의 만족감에는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적 학습력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Life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 심정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17-25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K광역시에 소재한 일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340명이었으며, 연구기간은 2017년 10월 10일부터 10월 17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 Multiple linear regression 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삶의 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주도적 학습력(${\beta}=.143$, p=.029)과 수업집중도(${\beta}=.099$, p=.048)이며 설명력($R^2$)은 37.0% 이었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수업집중도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전략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 of Ego-Resilience and Peer Attachment upon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In Early Adolescence: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 이현주;권수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347-355
    • /
    • 2013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이 삶의 만족도를 매개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전략적인 접근방법으로 학습에 있어 자기조절을 의미한다. 이러한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변인에 청소년의 내적 힘인 자아탄력성과 외적지지체계 중 하나인 또래애착의 영향력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매개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조사 대상자는 총 2,351명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첫째,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 또래애착(의사소통, 신뢰, 소외) 그리고 자기조절학습능력(성취가치, 숙달목적지향, 행동통제, 학업시간관리)의 잠재변수와 하위변수 모두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은 삶의 만족도를 매개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삶의 만족도도 직접적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넷째,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은 삶의 만족도를 매개하여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졸중 환자 및 보호자의 건강신념이 재활치료 이행 및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Health beliefs of patients and caregivers of stroke rehabilitation in the implementation and impact the ability to perform everyday actions)

  • 이연섭;문병무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1-18
    • /
    • 2011
  • Purpose : This study attempts to assist stroke patients lead independent daily life movements by providing basic data for stroke patients' successful rehabilitation program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s of stroke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and patients' rehabilitation performance level and daily life movement fulfillment ability. Methods : 23 stroke patients receiving treatments at rehabilitation specializing hospital after getting diagnosed with a stroke, along with 23 guardians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health belief was measured by modifying supplementing Byun Young-Hee(2002)'s health belief measurement tool for leg movement disorder patients.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e following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s of stroke patients and their guardians, and patients' rehabilitation performance and daily life movement fulfillment ability. Results : The patients group's initial MBI score was $33.13{\pm}3.46$, and measurement after four weeks was $38.43{\pm}3.47$. As health beliefs got stronger, MBI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p<.05). Correlation analyses of factors that affect rehabilitation attendance rate showed that perceived susceptibility, seriousness and usefulnes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erceived disabil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Guardians' health belief index(susceptibility, seriousness, usefulness, disability) had no correlation with rehabilitation attendance rate. Conclusion : In order to increase daily life movement fulfillment ability of patients who are being treated with stroke, health beliefs must be raised to increase changes in daily life movement fulfillment ability.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managing programs that can increase health beliefs of stroke patients can allow patients obtain positive health beliefs, further increase rehabilitation performance rate of stroke patients as well as independent daily life ability.

  • PDF

치매노인 가족의 부담감, 대처능력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 (A Study about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Burden and Coping Ability for Family Caregivers caring for Dementia Elderly)

  • 유문숙;김용순;김기숙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117-1127
    • /
    • 2010
  • 본 연구는 치매노인 가족의 부담감, 대처능력과 삶의 질을 파악하고 그 관계를 확인하기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치매주간보호센터에 등록되어 서비스를 받고 있는 65세 이상 치매 진단자의 가족으로 경기도 일개 시 주간보호센터 8곳을 임의 표출하여 2010년 4월부터 6월까지 조사하였고 최종 연구대상자는 탈락자를 제외한 93명이었다. 연구결과 치매노인 가족의 부담감과 대처능력,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를 확인하였고 부담감은 연령, 학력, 직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대처능력은 학력과 월소득에 따라, 건강관련 삶의 질은 연령과 결혼형태, 치매노인과의 관계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건강관련 삶의 질과 대처능력, 부담감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개발에 기초자료를 제시한 것이며 앞으로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구체적 연구와 치매노인 가족의 대처능력이 스트레스와 부담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확대될 것을 제언한다.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이 성인학습자의 생애능력에 미치는 영향: 성인학습자 지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Core Competencies of Lifelong Educators on the Lifetime Ability of Adult Learner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Adult Learners' Wisdom)

  • 김은임;송선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711-720
    • /
    • 2018
  • 본 연구는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이 성인학습자의 지혜를 매개효과로 하여 생애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평생교육기관에서 평생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어졌으며, 최종적으로 총 520부가 분석에 사용 되었으며, 분석방법으로는 SPSS 23.0과 AMOS 23.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과 성인학습자의 생애능력 및 성인학습자 지혜 간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모든 변인 간 상관계수는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과 지혜가 성인학습자의 생애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전체적으로는 66.8%의 영향력이 있었고, 성인학습자의 생애능력에 가장 많이 미치는 변인은 성인학습자 지혜의 창의적 문제해결 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타인배려, 변화수용, 성별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이 성인학습자의 생애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인학습자 지혜의 매개효과를 살펴 본 결과,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이 성인학습자의 생애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성인학습자 지혜를 통해서는 영향력이 검증되어 지혜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성인학습자의 생애능력에는 평생교육자의 핵심역량과 성인학습자 지혜가 중요한 변인임이 증명되었으며, 이러한 지혜는 성인학습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생애능력의 향상을 위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치과보철물의 평균수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fe Expectancy of the Dental Prosthetic Restorations)

  • Young-Ku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0권2호
    • /
    • pp.317-325
    • /
    • 199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ean life expectancy of dental prosthetic restorations. The author has examined 352 dental prosthesis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and decided the success(survival) and failure(mortality) of the dental prosthesis. The dental prosthesis which had been treated in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two private clinics in Seoul, one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two private clinics in local provinc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urvival analysis using product limit estimator was used and the mean life expectancy of each type of dental prosthesis was calcul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life expectancies were 10.5 years in gold crown and bridge, 8.5 years in porcelain fused to metal crown and bridge, 8.3 years in nonprecious metal crown and bridge, 8.1 years in removal partial denture, and 7.7 years in full denture. 2. The causes of mortality were in the order of dental caries(24.6%), fracture of dental prosthesis(19.2%), periodontal problems(18.6%), chronic chewing difficulty and dysfunction due to dental prosthesis(15.0%), excessive exposure of abutments due to the marginal defect of dental prosthesis(14.4%), abnormal occlusion due to severe attrition of artificial teeth in dentures(3.0%), periapical problems(2.4%), perforation of dental prosthesis(1.8%), and loose contacts with neighboring tooth(1.2%). 3. Among survival cases, 66.5% showed normal chewing ability and 31.9% showed partial chewing ability. However, 1.6% of them complained loss of chewing ability. 4. Among failure cases, 6.6% showed normal chewing ability and 38.9% showed partial chewing ability. However, 54.5% of them complained loss of chewing ability.

  • PDF

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경향과 관련된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Influential Factors Related to the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of Some Dental Hygiene Students)

  • 정미경;이지영;문경희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308-1317
    • /
    • 2019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actual uses of a smartphone and tendencies for smartphone addict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examine the effects of life stress, self-esteem, communication abil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considered to have correlations with addiction, and is provided basic data to solve the problems. Methods: The investigator analyzed data collected from 332 students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at J University in Gyeongnam Province with SPSS 18.0. Results: The students scored mean 2.34±0.40 points on the four-point scale of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1.70±0.43 on the life stress scale, 2.99±0.32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cale, 2.80±0.42 on the self-esteem scale, and 2.83±0.39 on the Communication ability scale.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ir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according to such general characteristics as the grade(p<.05), perceptions of a smartphone(p<.001), and hours of using a smartphone(p<.001). They had differences in life stress according to the grade(p<.01). Their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increased according to higher percentage of a smartphone(β=.360, p<.001), longer hours of using a smartphone(β=.225, p<.001), and greater life stress(β=.297, p<.001). The higher their smartphone addiction tendencies were, the lower their self-esteem was(β=.-210, p<.001). Conclusions: The study provides data needed for dental hygiene students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smartphone addiction, find improvement measures, and make effective use of a smartph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