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Tool

검색결과 1,536건 처리시간 0.035초

집단지성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PBL-based Programming Instruction Model Using Collective Intelligence)

  • 김길모;김성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23-32
    • /
    • 2011
  • 인터넷은 '참여', '공유', '개방', '협력'의 웹 2.0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나타나고 있다. 웹 2.0은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이용자들의 참여가 확대되고, 전문가 한 사람의 의견보다 집단의 다양한 생각이 더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집단지성은 웹 2.0의 가치를 가장 잘 나타내는 기술로 교육적 활용을 위한 잠재력 또한 주목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문제해결력과 프로그래밍 태도 신장을 위하여 집단지성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적용 결과, 개발한 수업 모형은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력과 프로그래밍 태도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집단지성을 활용한 문제 중심학습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 모형이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력과 프로그래밍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다.

  • PDF

m-Bizmaker를 활용한 앱 프로그래밍 교육이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pp Programing Education Using m-Bizmaker on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 한순재;김성식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25-32
    • /
    • 2016
  • 본 연구는 m-Bizmaker를 활용한 앱 프로그래밍 교육이 특성화 고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봄으로써 앱 프로그래밍 교육에 대한 방안을 제시한다. 현재 정부에서는 SW 교육을 초 중등학교에서 실시하고자 준비하고 있다. SW 교육의 방안 중 학생들에게 친숙한 스마트폰 앱 개발은 매우 효과적인 도구로 볼 수 있다. 보통 앱 개발은 해당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법의 전문 교육을 받아야 가능하다. 이렇다 보니 앱 프로그래밍 언어 사용 방법에 대한 학습으로 이 미 많은 학생들이 앱을 만들어보기도 전에 지쳐 앱 프로그래밍을 어려운 분야로 생각할 수 있다. 앱 저작도구의 하나인 m-Bizmaker를 활용한 앱 프로그래밍 교육 내용을 수업에 적용해 본 결과 앱 프로그래밍 교육 방안으로 바람직하며 설문조사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증진에 유의미함이 입증되었다.

프리셉터쉽 경험이 프리셉터의 업무수행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receptorship on Nursing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the Preceptor)

  • 이정희;김동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45-35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eceptorship on nursing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the preceptor. This study was as a one group pretest-posttest study. The subjects were 33 nurses who was selected as preceptors in 1998.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16 April 1998 to 25 May 1998. Nursing performance was measured on a 6-D scale developed by Schwirian (1978) and job satisfaction was measured by a tool developed by Slavitt et al.(1978) and interpreted by Yoon (199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with SPSSWIN.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After the preceptorship, nursing performance of the preceptor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before the preceptorship. All of the score of subscales was increased. 2. After the preceptorship, job satisfaction of the preceptor was increased slightly compared with before the preceptorship,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cores of the subscales increased in job status, interaction, autonomy, and organization. However, the score of the task requirement was decreased.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rease in nursing performance, but only a slight increase in job satisfaction can be observed(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seems that the content of preceptor program, the principle of adult learning, scientific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feedback, and direct teaching experience affect the individual nursing performance of the preceptor. The preceptorship was useful with personnel development in terms of organization. To fully carry out the role of educating the preceptee, it is important to motivate the preceptor and to induce job satisfaction of the preceptor.

  • PDF

진단 Chart 작성의 표준화 (Standardization of drawing up diagnostic charts)

  • 권영규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06-320
    • /
    • 1994
  • An account book of medical treatment is a form of collection materials for diagnostic standardization, and it is a basis of standardization, standardization of medical records is a preconsideration of each standardization. But an account book of medical treatment is only a kind of form for recording medical treatment, therefore standardization of medical treatment eventually holds the key to the standardization of recording charts. However until now we have gradually reformed medical records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characters of medical treatment, and didn't have even standard sheme of medical records, also medical terms for medical records had an inconsistency of redescription and reiterative representation for an identical terms in all parts of the East learning, medical terms for medical records didn't unity. To make better this realities, standardization study used orginated system in the process of existing study, it can get ready the basis of discussion between O.M.D and O.M.D. it can make analysis of diagnostic course and can clearly understand usable information by diagnostic course. for that reason we hope that the basis of standardization is accomplished. And in advance of study for this standardization we have to analysis the course of medical treatment with demonstration of roof, first of all we have to study term definition by diagnostic course and prepare basis by diagnostic course. because this study have limits of indivisual study, it needs to long and synthetic investigation in Association levels. Although we cann't completely alternate with methods of measurement which relyed on individual mastery, if we exclude erroes of individual measurement through mechanization and verify results of diagnosis through keynotes, we can realize standardization of medical treatment with demonstration of proof and in this process we can use medical records as a tool collecting exact data, also we can realize standardization of drawing up medical records.

  • PDF

퍼지의사결정법에 기반한 대학의 컴퓨터교육 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satisfaction index on computer education of university based on Fuzzy Decision Making Method)

  • 류경현;황병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502-509
    • /
    • 2013
  • 정보화시대에 대학에서의 교양 컴퓨터교육과정은 컴퓨터에 대한 소양을 쌓고 정보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여 생산성 향상은 물론 국가 간의 경쟁력에서 뒤지지 않게 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컴퓨터교육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적인 변인의 발견 및 만족도를 분석한다. 전처리과정으로 자바 기반의 기계 학습 도구인 상관에의한 특성선택을 사용하여 최적의 변인을 선택한다. 그리고 퍼지의사결정법에 기반하여 각 변인의 가중치를 사용하여 최적의 변인을 생성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컴퓨터교육 만족도 자료의 분석에서 퍼지의사결정법을 제안하고, 재현율과 정밀도 분석에 의해 만족도 평가에 대한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웹2.0 기반 온라인 로봇교육 커뮤니티의 개발 (Development of an online robot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Web 2.0)

  • 성영훈;하석운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73-280
    • /
    • 2009
  • 인터넷은 지식정보화 사회의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도구가 되면서 사람들 간의 정보 교류와 의사소통의 장으로 확장되고 있다. 최근 로봇교육기관들도 인터넷을 이용한 각자의 홈페이지들을 구축, 운영하면서 다양한 로봇관련 자료들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로봇교육기관 홈페이지들은 대부분 제한적인 검색기능과 일반적인 자료만 제공하고 있어 사용자들을 위한 유용한 로봇교육정보들과 교육활동들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로봇교육교사들과 사용자들을 위한 로봇교육소식제공, 로봇학습기능, 다양한 로봇교육경험의 공유, 실시간 정보교류를 할 수 있는 온라인 로봇교육 커뮤니티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 PDF

온라인 게임 개발 프로젝트 학습을 통한 초등학생들의 게임 중독 개선 연구 (The Study on Relief of Elementary Students' Game Addiction through the Online Game Development Project Learning)

  • 백성현;김수환;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71-47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게임중독 문제를 가진 학생들에게 게임 프로그래밍 교육을 투입하여 게임중독증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우선 현재 학생들이 좋아하는 게임을 분석하고, 게임 프로그래밍 툴에서 정보교육과 관련된 요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요소들을 바탕으로 실제적인 교수학습지도안을 구성하였다. 게임 프로그래밍 개발 프로젝트를 학생들에게 1년간 적용 후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게임중독 척도검사를 사전 사후 T검정한 결과 학생들의 게임중독 성향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둘째, 근거이론에 따른 분석 결과, 게임 프로그래밍을 위한 노력이 게임이용 시간을 감소시키고 통제력을 형성하여 일상 기능을 회복하게 하는 긍정적 결과를 가져왔다. 결론적으로 게임 프로그래밍 개발 프로젝트는 학생들의 게임중독증을 개선시키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었다.

  • PDF

수학 교과에서의 교사 지식에 기초한 반성적 수업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lective teaching evaluation based on teacher knowledge in school mathematics)

  • 황혜정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123-14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수업 과정 내지 단계에서 교사의 반성 역할의 의미가 무엇인지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이에 기초하여 반성을 통한 교사 지식의 확장 과정을 탐색하여 이를 도식화하여 나타내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이러한 도식화된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교사가 자신의 수업 반성을 통해 수업 개선은 물론 교사 지식의 확장을 이끄는 수업 평가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평가틀은 반성에 초점을 둔 수업 평가틀로서, 교사 자신의 수업 평가를 통하여 교수 개선 및 교사 지식의 확장을 통한 전문성 신장을 이루고자 함이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평가틀에 기초하여 교사 자신이 활용 가능한 자기 평가지의 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다만, 교사 지식의 범위가 방대하므로 여기서는 교과 내용 지식(Subject matter knowledge)을 중심으로 해당 연구 내용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는데, 이는 교과 내용 지식이야말로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주요 요소로서 교수 활동 결정시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 PDF

심리전기적 심층면담(PII)이 부모의 통찰수준 및 부모-자녀 관계특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sychobiographical Intensive Interview on Parent's Insight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Characteristic)

  • 강상현;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495-50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전기적 심층면담(Psychobiograpical Intensive Interview: PII)이 부모의 통찰수준, 부모-자녀 관계특성 및 상담회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PII를 실시했다. PII는 심리전기적 정보탐색을 위한 심층면담과 이에 대한 해석상담이 포함되어 있는 반구조화된 형태이다. 연구결과 부모의 자녀 문제에 대한 통찰과 자신의 문제와의 관련성에 대한 통찰 수준이 의미 있게 높아졌다. 반면, 자녀와 의 관계특성에 대해 알아본, 부모효능감, 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평가에서는 양육스트레스 중 일부에서만 유의한 변화가 있었을 뿐이다. PII에 대한 상담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상담회기영향평가를 통해 알아본 결과 과제영향, 관계영향 및 유익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심층 컨볼루션 신경망을 사용한 초분광 영상의 공간 분광학적 분류 기법 (HyperConv: spatio-spectral classication of hyperspectral images with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 고세윤;전구;원중호
    • 응용통계연구
    • /
    • 제29권5호
    • /
    • pp.859-872
    • /
    • 2016
  • 초분광 영상 데이터는 픽셀마다 수백 개의 스펙트럼 밴드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는 고차원 데이터로, 농업, 식품처리, 광물학, 물리학, 환경학, 지리학 등 광범위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토지 피복의 분류 문제인데, 이는 자연 재해 예방, 자연 자원 감시, 환경에 대한 정보 수집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하지만 차원의 저주, 시공간적 변동성, 레이블된 데이터의 부족 때문에 토지 피복의 정확한 분류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컨볼루션 신경망에 기반한 새로운 심층 학습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구조는 원하는 지점 주변 픽셀의 정보를 컨볼루션 신경망을 통해 처리하고, 그 지점의 스펙트럼 정보를 강조하기 위해 컨볼루션 층의 출력과 스펙트럼 정보를 함께 소프트맥스 분류기의 입력으로 사용한다. 이 구조는 추가적인 특징 추출 과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그래픽 처리 장치 등을 이용한 병렬화가 간편하다는 점에서 기존 방법들보다 유리하다. 실험 결과, 제안된 구조는 기존에 가장 좋은 성능을 보인 분류기와 비슷하거나 더 좋은 분류 정확도를 보여 좋은 일반화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