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Satisfaction Factors

검색결과 516건 처리시간 0.03초

An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ir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 Lee, Sin-Suk;Kim, Yong-seob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67-174
    • /
    • 2016
  •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influence of prais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ir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First, it conducted theoretical study and reviewed the preceding studies and assumed that verbal and physical praise which are sub-factors of praise effect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fected their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It was also assumed that there was a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between praise effect and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study on praise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found that verbal praise had an influence on their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and physical praise affected their learning attitude.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an influence on their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Verbal prais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ir learning attitude. This study proposed policy suggestions of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resilience as an alterna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 김선옥;심문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24-437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to conducted to search for factors influencing the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CC)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y (P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L) and CC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questionnaires (208) given to senior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the t-test, ANNOVA and Scheffe's test. Moreover,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tems. Results: Proving Solving ability differed significantly in SC. In addition, satisfaction with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SL) differed significantly by gender, academic performance of last semester, support for nursing, and SC. Moreover, PS was found to have a normal relationship with SL and CC, and SL was found to have a normal relationship with CC. Conclusion: Education strategy should include methods of increasing the PS of student to improve CC in nursing education. Moreover, SL education should be used to increase nursing tasks and effective adaptation to their circumstances as a clinical nurse after graduation.

성공적인 학습의 역할수행을 위한 의복의 적합성에 관한 연구 -교사/교수의 의복행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lothing Appropriateness for the Role Behavior af Achieving a Successful Learning and Teaching Efficiency)

  • 한명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9-54
    • /
    • 1987
  • One's Clothing Satisfaction, has a great influence on his role behavior in a society. Especially, as for the teacher's and the professors whose role is teaching, it can not be too emphaszed. Above all, high school girls and college women are the most likely to be influenced by their teachers' clothing behavior, to whom they pay their respect in every way.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was aimed at expla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professors' clothing behaviors and the learning efficiency. On clothing behaviors assessed 30 items related with the learning efficiency, selected from the instruments of preceding studies, and modified by the factors dealing with modesty, color, and design. The questionnaires were composed of two major categories: those for students and for teachers/progess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included students and teachers/professors of high school and universities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statically by mean, standard Deviation, and F-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The clothing behaviors of the teachers/professors influenced on the learning efficiency. Namely teachers' clothing satisfaction is in direct proportion to them teaching efficiency and students' learning efficiency. 2. Among the clothing behavior variables, modest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learning efficiency, especially as for that of teachers more than professors. 3. The influence of the teachers'/professors' clothing behaviors on the learning efficiency showed no significance between high school girls and college women, but some significance between the grades of collegians. 4. As for the teachers'/professors' clothing behavior, male teachers/professors gave priority to design and female teachers/professors to modesty, color showed no significance between them irrespective of age. 5. As for the clothing behavior variabels, both the teachers/professors and the students showed some significance. In class the teachers/professors highly responded to their own clothing behaviors than the students. 6. According to priority the most favorable clothing colors for male teachers/professors are navy blue, gray, indigo blue, and black, and the most disgusting ones red, mud yellow, violet, pink, and green. The most favorable clothing colors for female teachers/professors are beign, white, pale yellow, and black, and the most disgusting ones red, mud yellow, and yellow and yellow according to priority. It is that teachers/professors should wear modestly and in color harmony to invite the desirable students' will to study. Teachers'/professors' colorful appearance and heavy toilet bring about a drop in the students' will to study.

  • PDF

비대면 교육 운영에 따른 온라인수업에 대한 치과대학생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Dental Student's about Online Classes Based on Non-face-to-face Education Course)

  • 황재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289-297
    • /
    • 2022
  • 이 연구는 2020학년도 전 학기 비대면 교육 이후 온라인수업을 경험한 치과대학생의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A대학교 치과대학생 16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문항은 비대면 수업 만족도, 학습시스템, 교수요인, 평가방법과 온라인수업 요구조사이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치과대학생이 경험한 비대면 교육만족도는 4.2이상이며, 세부항목별로 보면, 출결처리 방식의 적절성, 녹화영상 강의에 대한 만족, 수업성적 평가 방식에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습시스템과 평가방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 연구는 A대학의 비대면 교육 운영 상황만을 연구한 것으로 모든 대학에 일반화 할 수 없지만, 대면 및 비대면 수업의 양립을 위한 교육과정 설계 및 지원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H 대학에서 개발한 교수법을 적용한 방사선과 수업의 활용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the use of Radiology Classes applying Teaching Methods developed at University H)

  • 류찬주;한용수;백부길;박철수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45-151
    • /
    • 2024
  • 방사선과에 전공과목을 이수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H대학에서 개발한 Shift+N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진행을 통해 수강생들의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교수법이 전공과목에 대한 학습성과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분석 결과를 기술하였다. 기존의 전공수업 방식과 비교하였을 때 사전 비대면 강의를 통해 예습을 진행하고 본 수업에 대면 강의를 실시하였으며, 강의가 끝난 후 주차에 해당되는 관련 키워드를 제시하고 키워드와 관련하여 수업 내용을 적용시킬 수 있는 문제를 제시하였다. 그 다음 주차에는 문제풀이를 통해 학생들의 복습과 관련하여 어렵거나 부족한 부분을 다시 설명해주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결과적으로 Shift+N 교수법은 기존의 이론 전공수업과는 다른 방식의 새로운 수업 진행에 따라 학생들의 참여도와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공역량 강화를 위한 학습 내용의 효율적인 전달을 위해서는 기존의 전공 수업에 대한 개선과 더불어 전공 과목에 맞는 교수법을 개발하여 보다 효과적이며 혁신적인 수업방식을 통해 학생들의 지식 향상과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초등학교 6학년 때 바느질실습 수업 경험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과 요구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Needs about the Experience of Sewing Practice Class in 6th Grade at Elementary School)

  • 김상미;권영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1-77
    • /
    • 2016
  • 본 연구는 중학교 1, 2학년 남녀 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6학년 때 경험한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인식과 현재의 요구를 알아보고, 중학교 바느질실습 수업 개선을 위한 정보를 수집하거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실습내용이나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만족도는 중간값(3.00)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수업 평가의 하위 영역 중 참여도가 평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는 흥미도, 난이도, 필요도, 중요도, 활용도 순이었으며 모두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여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바느질실습 수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가정교사는 이를 염두에 두고 수업을 설계하거나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의 원인이나 요구를 파악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바느질실습 수업 평가에 성별, 실습내용, 교수 학습 방법 등이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가정교사는 성별이나 학년에 상관없이 실습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학생들이 실습내용을 자유롭게 선정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실습내용으로 실습하기 위해서는 학생 중심 활동이나 모둠 중심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은 생활용품과 장식품을 만들거나 자신이 만들고 싶은 것을 자유롭게 만들기를 희망하였다. 구상한 것을 자유롭게 만들거나 모둠 활동을 통해 모둠 작품을 만드는 새로운 교수 학습 방법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는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요구나 도출한 시사점을 가정교사가 수업을 설계하는데 반영한다면 바느질실습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될 것이다.

메타버스의 가상환경과 텍스트 강화기법을 활용한 외국어 학습 효과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in Virtual Environments and with Textual Enhancement Techniques in the Metaverse)

  • 강정현;권슬희;정동훈
    • 지식경영연구
    • /
    • 제25권1호
    • /
    • pp.155-172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환경에서의 다양한 환경 변화를 통한 외국어 학습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가상환경 공간을 교실과 식료품점으로 구분한 후, 여기에 각각 세 종류의 자막으로 구성된 텍스트 강화기법을 적용한 몰입형 가상현실 영어학습 콘텐츠를 직접 제작한 후 학습 효과를 비교했다. 실험은 2 × 3 혼합요인설계로 구성됐으며, 가상환경 공간은 실험자 내 요인으로 실험참여자는 학습 공간에 따라 처치 수준이 다른 두 개의 영상에 노출됐고, 텍스트 강화기법은 실험자 간 요인으로 실험참여자는 텍스트 강화기법에 따라 처치 수준이 다른 세 개의 자막 중 무작위로 한 개의 자막에 노출됐다. 가상환경 공간과 텍스트 강화기법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 분석 결과, 프레즌스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공간의 주효과를 살펴본 결과, 플로우와 학습 전-후 가상현실 교육 태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텍스트 강화기법의 주효과를 분석한 결과, 플로우, 가상현실 학습 이용의도, 학습 만족도와 학습 자신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가상현실 공간의 제공 환경에 따라 학습자의 교육에 대한 몰입과 태도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고, 자막 제공 방식에 따라 다양한 교육 효과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가상환경에서 외국어 교육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확인한 것인데, 학교와 학원 등에서 가상환경을 활용한 영어학습 서비스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다양한 가상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육 효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KMS의 전략 적합성 요인이 정보기술 특성 및 이용자 특성과 비재무적 성과 간에 미치는 조절적 영향 (Moderating Roles of Strategy Suitability Factors between IT Factor and User Factors on Non-financial Performance)

  • 이선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489-498
    • /
    • 2017
  • 본 연구는 전략의 적합성이 정보기술 특성 및 이용자 특성과 비재무적 성과 간에 조절적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정보기술 특성과 이용자 특성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성과변수로는 비재무적 성과로 설정하였으며, 기업의 경영 전략과 정보화 전략의 적합성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하였다. 정보기술 특성의 세부요인은 정보기술 성숙도와 IT/IS 기반구조로 정의하였고, 이용자 특성의 세부요인은 인지된 이익, 학습의 조직화, 사용자 전문성으로 정의하였다. 비재무적 성과는 조직원 만족, KMS 이용도로 정의하였다. 분석 결과 전략의 적합성 요인은 정보기술 특성으로 정의된 정보기술 성숙도와 IT/IS 기반구조, 이용자 특성으로 정의된 인지된 이익, 학습의 조직화, 사용자 전문성 등과 같은 변수와 비재무적성과 간에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특성화고 고졸청년층의 진로준비 및 진로성숙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연구 (Study of the effect of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maturity on employment among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 이만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8호
    • /
    • pp.4961-4971
    • /
    • 2014
  • 특성화고 졸업자들이 취업을 하는데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특히 특성화고의 각종 취업지원정책과 더불어 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각종 시설 및 교과지원, 직업능력지원, 진로지도, 취업지원 등의 프로그램과 개인이 하는 진로준비행동, 직업탐색행동, 이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증가는 취업에 과연 영향을 미치는 것인가? 이를 위해 먼저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프로그램 등의 학교지원만족도, 가정에서 실시한 진로준비행동, 취업 전의 예비적 직업탐색행동, 이에 따른 진로성숙도 등을 주요변수로 하여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교지원만족도는 진로성숙도,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 등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보여주고 있고 직접적으로 취업에 영향을 미치거나 간접적으로 취업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다음으로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은 직접적으로 취업에 영향을 주며 예비적 직업탐색행동과 진로성숙도를 높이게 된다. 특히,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은 예비적 직업탐색행동을 통해 취업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성별에 따른 변인간의 영향관계를 본 결과, 학교지원만족도는 취업을 직접적으로 높이고 여성의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나, 양질의 학교지원프로그램을 강화하되 특히 여성에 맞는 취업지원프로그램도 개발, 지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지원만족도가 높으면 여성은 가정에서의 진로준비행동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여성이 가정에서 갖는 진로에 대한 대화 등 진로준비활동은 남성과 달리 취업에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어 여성의 경우 학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지원프로그램들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이 제기되었다.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earning Style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Communication Skill in Nursing Students)

  • 정계선;김경아;성지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13-422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influencing factors on communication skill of nursing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tyl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skill, Methods: The study sample was composed of 559 nursing students. Data was collected from 1st to 30th, May 2012 used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Kolb's learning style inventor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communication skill inventory. The SPSS 18.0 Window program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Learning styles of subjects were diverging 39.5%, accommodating 32.6%, assimilating 22.7%, and converging 5.2%. The total mean scor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skill was 3.58 and 3.39 respectively. The score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t=3.06, p=.002) and Communication skill(t=3.25, p=.002)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Communication skill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and accounted for 41.3% of the varia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nursing students. Conclusion: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use all four learning styles rather than to rely on one style. There should be more emphasis placed on the development of positiv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skill of nursing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