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rning Questions

검색결과 975건 처리시간 0.023초

웹기반교육에서의 자동 문제 출제 시스템 (Automated Selection System of Examination Questions in Web-Based Instruction)

  • 김경아;최은만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9A권3호
    • /
    • pp.301-310
    • /
    • 2002
  • 인터넷이 교육분야에도 활발히 사용되면서 자료검색부터 동영상 강의 나아가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시험을 치르고 있다. 웹을 이용한 원격시험에 출제되는 문제들은 대부분 고정출제나 문제은행방식을 이용한 무작위 출제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의 문제은행시스템은 마크업 언어를 모르더라도 문제를 제작할 수 있으며, 웹 상에서 시험을 치르고난 후 정답률에 기초하여 난이도를 자동으로 재조정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는 시험이 끝난뒤 피드백 학습을 할 수 있으며, 학습 후에는 학습자가 스스로 난이도를 조정하여 재시험을 치를 수 있게 하였다. 자동난이도 출제 방식은 출제가 간편해지며 평가의 예상평균점수를 미리 예측하고 시험결과가 계속 문항마다 누적되어 이를 바탕으로 출제되는 문제가 너무 쉽게 또는 너무 어렵게 출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원격시험은 대리시험 등 부정의 소지가 많아 유형이 다른 문제를 출제하게 되는데 여기서 오는 형평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예비 화학교사 교육에서 클리커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Use of Clickers i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 Education)

  • 차정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499-506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경북 지역의 사범대학에 개설된 화학교육론 강좌에 클리커로 알려진 교실 응답 시스템을 적용한 뒤 이에 대한 예비 화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강의 첫 시간에 클리커의 교육적 활용 방법과 사용법에 대해 소개한 뒤, 수업 중 평균 4-5개의 질문을 제시하였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예비교사들에게 클리커로 입력하게 한 뒤, 응답 분포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예비교사들에게 제시된 질문은 학습 내용을 회상하는 질문, 관련 내용에 대한 이해정도를 점검하는 질문, 어떤 사안에 대한 견해를 확인하는 질문, 이해가 어려운 내용에 대한 질문이 다양하게 포함되었다. 학기 말에 클리커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리커트 형식과 에세이 형식으로 조사한 결과, 예비 화학교사들은 클리커 활용의 인지적 효과, 정의적 효과, 그리고 매체 특성 측면 모두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8가지 클리커 질문 유형 중 예비교사들이 선호하는 유형은 개념 이해 질문과 학습 점검 질문이었다. 클리커를 활용한 구체적인 사례와 연구 결과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도 포함되었다.

과학 수업에서의 학생 질문에 대한 연구(II) - 학생 질문의 유형별 분석 - (A Study on Students' Questioning Activity in Science Classes (II) - Analysis of the Patterns of Students' Questions -)

  • 김성근;여상인;우규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60-569
    • /
    • 1999
  • 본 연구는 서울 시내 여자 중학교 2학년 2개 반 7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화학 변화와 원소' 단원에 대하여 4주간 12차시 동안 실시되었다. 학생들은 12차시의 수업 처치 중 총 1,108개의 질문을 서면으로 적어 내었으며, 모든 질문은 6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분석 결과, 학습 내용과 직접 관련이 없는 '무관련' 수준의 질문은 7%, 질문 자체의 명제가 성립되지 않는 '모순' 수준의 질문은 3%였다. 교수 내용에 대한 반복 설명을 요구하는 '회상' 수준의 질문은 전체의 23%를 차지하였으며, 사례 제시를 요구하거나, 학습내용의 단순 적용, 용어 등에 대한 추가 설명을 요구하는 '재구성' 수준의 질문이 전체의 40% 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또한 학습 내용에 대한 응용 및 적용, 자신의 생각과의 이견 등을 나타낸 '적용' 수준의 질문은 18%, 상위 개념이나 타 개념등의 확장된 개념적 질문을 포함하는 '확장' 수준의 질문은 전체의 9%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질문의 유형별 특성에 대한 교육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예비초등교사들의 생식 및 유전에 관한 개념 분석 (A Conception Analysis on Reproduction and Inheritance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홍승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4호
    • /
    • pp.351-359
    • /
    • 2005
  • The aims of this research are to analyz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 and causes of their misconceptions on biological reproduction and inheritance. In future, it would be also to provide useful data for the effective teaching-teaming method in the elementary school as well as opportunities to correct their misconceptions, which help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the appropriate scientific conceptions. Thirty kinds of test questions were designed in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students and biology textbook for university students in order to develop reproduction and inheritance's concepts. The questionnaire was given to 166 junior students of university of education in a local city.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10.0 program.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30 test questions, 2 questions in plants, 5 questions in animals and 2 questions in gene were appeared as misconceptions over $50\%$. The major reason to hold the misconceptions was influenced by 'learning up to now' category. The selection reasons of respon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cientific conceptions and misconceptions in 10 questions by analysis of variance. The gender also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cientific conception and misconception in 3 questions by $\chi^2$ test. The selection reasons according to gend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5 questions. For the reasons in forming misconceptions, they may cause by stereotype, conscious priority, differences of experiences, interest or attention,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so on.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is research may help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to reconsider their conception for reproduction and inheritance and to be successful in science instructions fur elementary students.

  • PDF

GuessWhat?! 문제에 대한 분석과 파훼 (Analyzing and Solving GuessWhat?!)

  • 이상우;한철호;허유정;강우영;전재현;장병탁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5권1호
    • /
    • pp.30-35
    • /
    • 2018
  • GuessWhat?!은 질문자와 답변자로 구성된 두 플레이어가 이미지를 보고 질문자에게 비밀로 감추어진 정답 물체에 대해 예/아니오/잘 모르겠음 셋 중 하나로 묻고 답하며, 정답 물체를 추려 나가는 문제이다. GuessWhat?!은 최근 컴퓨터 비전과 인공지능 대화 시스템의 테스트베드로서 컴퓨터 비전과 인공지능 학계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GuessWhat?! 게임 프레임워크가 가지는 특성에 대해 논의한다. 더 나아가, 우리는 제안된 틀을 기반으로 GuessWhat?!의 간단한 solution을 제안한다. 사람이 평균 4~5개 정도의 질문을 통하여 맞추는 이 문제에 대하여, 우리가 제안한 방법은 2개의 질문만으로 기존 딥러닝 기반 기술의 성능을 상회하는 성능을 보이며, 5개의 질문이 허용되면 인간 수준의 성능을 능가한다.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Mathematical Encultur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 Kim, Soo-Hwan;Lee, Bu-Young;Park, Bae-H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권2호
    • /
    • pp.107-11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the mathematical enculturation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t is clear that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classroom is essential for the realization of global innovations in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questions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 (1) What can be learned from literatures reviews of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on mathematics education, and of ethnomathematics as a mathematics intrinsic to cultural activities? (2) What is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al enculturation? (3) What is the teaching /learning model for mathematical enculturation? (4) What is the instructional exemplification based on the developed model? This study promotes the establish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theory from the review of literatures on the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 development of a teaching/learning model, and the instructional exemplification based on the developed model.

  • PDF

The Impact of Students' Technology Knowledge on Academic Self-efficacy

  • HONG, Seongyou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3권2호
    • /
    • pp.233-255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that affect technology knowledge, learning strategies with technology,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Technology and its utilizing ability is a critical competency for the learners to acquire to live in the Digital Era of 21st century.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ow the competency involving technology affects academic self-efficacy. To address the aim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9 questions including technology knowledge, learning strategies with technology, and academic self-efficacy targeting 137 students in A university. The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s that the technology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indirectly influences the academic self-efficacy. The learning strategies with technology are mediating variable linking technology knowledge with academic self-efficacy. Technology knowledge explains 71% of variance in learning strategies with technology. Therefore, college students need to keep up with knowledge of technology and improve learning strategies with technology to activate academic self-efficacy.

성인학습자의 지각된 유용성과 태도가 학습몰입과 학습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and Attitude of Adult Learners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 유병민;박혜진;진현승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3권4호
    • /
    • pp.449-457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educational use of the Facebook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arners perceived usefulness, attitude and self-efficacy o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at university classes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55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a class at a 4-year university in Seoul, and certain questions verified in the existing studies were modified, complemented, and used as a tool for measurement. The details of the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in accordance with the levels of the usefulness that learners perceived. It can be said that the higher the perceived level of usefulness, the higher the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in accordance with the levels of learners' perceived attitudes. We can interpret such a result as suggesting that the higher a learner's perceived attitude, the higher the learning flow and learning presence.

대학교육에서의 CHANGE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수업모형 개발 -교육방법및교육공학교과를 중심으로- (The Development of CHANGE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Model in Higher Education - base on the 'educational method and technology')

  • 정주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8권6호
    • /
    • pp.1834-1847
    • /
    • 2016
  • Main objectives of the this study are: to develop a model of "Flipped Leaning" that is designed to enhance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and self-control,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in higher education. The verification process initially concentrated on the feasibility study of the model with a tho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es; then, its general and practical applicability were tested with a field study. As a result, first, the CHANGE Class Model, specifically designed for effective and efficient "Flipped Learning", was developed. It is thus named for the stages that the learning process takes place in the model-i.e., (1) Check ${\rightarrow}$ (2) Ask ${\rightarrow}$ (3) Notice ${\rightarrow}$ (4) Group presentation ${\rightarrow}$ (5) Evaluation, and it emphasizes the dynamic, questions centered (i.e. back and forth between the students and the instructor as well as between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Second, the Model was instrumental in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motivation and self-control; thus, as a result, it significantly improved the effectiveness, the level of concentration and the attractiveness of the learning process. The value of this study lies in pointing to a clear plan to allow a student in higher learning to set-up a self-directed learning plan, to be able to control it while being continuously motivated to complete it.

자연사관 관람에서 중학생 소집단의 대화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 (Interaction Patterns in Dialogic Inquir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mall Groups in the Natural History Gallery)

  • 정원영;이주연;박은지;김찬종;이선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7호
    • /
    • pp.909-927
    • /
    • 2009
  • 탐구는 과학교육의 본질을 설명해주는 결정적인 특징이다. 최근에는 스스로 문제를 제기하여 탐구하고 그것을 의사 소통하는 능력을 포함한 논증이 강조되고 있는데, 학교 탐구학습 맥락에서는 자율적이고 활발한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그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그래서 대안으로 비형식 맥락에서의 탐구학습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에 본 연구는 국립과천과학관 내 자연사관을 자유 관람하는 중학생 소집단의 대화적 탐구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 유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학생 13그룹의 탐구적 대화 42사례를 대상으로 탐구요소 및 상호작용 유형을 분석하였다. 탐구요소는 문제제기, 자료수집, 설명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상호작용은 대화의 흐름을 화살표로 도식화하여 나타내었다. 문제제기로부터 탐구가 시작된다고 보았으며, 문제제기 이후 후속적인 반응에 따라 유형이 구분되었는데, 총 7가지 유형이 발견되었다. 그 유형은 문제제기 공유, 문제제기-단순응답, 문제제기-단순설명, 문제제기-단순설명-(자료수집)-자료기반 설명, 문제제기-자료수집-자료기반 설명의 5가지로 크게 나누어지고,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인 유형 2는 다시 소극 회피적 응답, 부정확한 응답, 패턴의 반복으로 세분화되었다. 본 연구는 비형식 탐구학습에서 학교 탐구학습과 차별화되는 상호작용 패턴을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지며, 비형식 탐구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을 기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비형식 탐구학습 연구를 위한 기초를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