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nt means analysi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9초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직무요구 및 조직문화가 종사자의 코로나19 관련 업무수행, 직무소진, 직무만족에 미친 영향 (The Impact of Job Demands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Work Performanc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Healthy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 고선강;박정윤;진미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2호
    • /
    • pp.185-197
    • /
    • 2021
  •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job demand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new task difficulties,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using a survey data of 145 family specialists in Healthy Family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e used the job demand-resources model and the competing values model to categorize the four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culture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mean of work overload was higher than the means of job conflict and job ambiguity. Our latent profile analysis proposed four profiles of organizational culture: cultural absence type, authoritative culture type, middle cultural balance type, and high cultural balance typ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work overload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difficulties in new task performance and burnout, job ambigu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burnout, and job conflict and ambiguity were nega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higher the job demands reported by family specialists, the higher the level of burnout and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organizational culture was a unique predictor of burnout and lower level of job satisfaction. Family specialists in the groups with a high cultural balance were Family specialists in the groups with a high cultural balance were more likely to have lower levels of burnout than those in the culture absence and in the middle culture balance, and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the other groups. The results suggest that management strategies to build a creative workplace culture can prevent burnout and improve job satisfaction.

토픽모델을 활용한 명문대 재학생의 학벌에 관한 인식 분석 (A Prestigious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Educational Attainment by a Topic model)

  • 정영선;이승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503-512
    • /
    • 2024
  •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명문대로 분류되는 한 대학의 학생이 작성한 학벌에 대한 글쓰기 과제를 분석하여 이들이 가진 학벌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 내재한 의미를 분류한 연구이다. 분석에서 활용한 방법은 토픽 모델 중 잠재 디리클레 할당 방법으로 총 172편의 문서를 분석한 후 각 토픽에서 빈출한 키워드가 자주 등장하는 문서를 중심으로 학생의 인식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도출한 토픽은 학벌의 순기능(토픽 1), 양날의 검(토픽 2), 권력공동체(토픽 3), 승리의 징표(토픽 4), 학벌의 역기능(토픽 5)의 다섯 가지이다. 각 토픽에서 가장 빈번하게 제시되는 단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토픽 1에서는 '개인', '지위', '수단'이, 토픽 2는 '정의(定義)', '학교', '의미'가, 토픽 3은 '사람', '출신', '권력'이, 토픽 4는 '대학(교)', '능력', '노력'이, 토픽 5는 '학력', '우리나라', '출신'이었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우리는 명문대 학생이 학벌을 논할 때 계급과 학벌 공동체, 사회와의 관련성을 통하여 계급재생산을 고려하지만 인종 및 민족와 같이 학벌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에 대하여는 크게 관심을 두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의 관련 강의에서 보다 다양한 요인과 학벌의 관련성을 다룰 필요가 있다.

테러인식 척도의 확인적요인분석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n the Awareness of Terrorism Scale in Korea)

  • 정종운;곽대경;심혜인
    • 시큐리티연구
    • /
    • 제61호
    • /
    • pp.235-254
    • /
    • 2019
  • 이 연구는 테러 인식에 대한 척도에 대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사용하여 요인구조를 확인함으로써, 한국형 테러인식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척도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최오호 외(2016) 「국회청사 보안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에서 수집된 국회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176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테러인식의 총 14문항으로 구성된 척도에서 테러우려 3문항, 테러발생인식 5문항, 테러대응 3문항, 테러대비장치 3문항의 요인별 모형적합도의 적합도 지수는 기준치를 충족하여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화회귀계수도 기준 값을 상회하고 있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변수 테러우려가 평균분산추출값의 기준 값에 다소 미치지 못한 것을 확인하였으나, 그 이외의 값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집중타당도가 확보된 것으로 보았다. 이를 보충하고자 판별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척도 수준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검증한 테러인식문항을 포함하여 테러와 관련된 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테러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적합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가 개발되어 측정될 필요가 있다.

토픽 모델링 기반 한국 노인의 행복과 불행 이슈 분석 (A Topic Modeling Approach to the Analysis of Seniors' Happiness and Unhappiness in Korea)

  • 문동지;연다인;김희웅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0권2호
    • /
    • pp.139-161
    • /
    • 2018
  • 한국이 빠르게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성공적인 노화, 노후 생활이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의 행복과 불행 관련된 신문 기사를 통해 전체적인 이해와 더불어 제안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노인의 행복과 불행에 관련된 기존 연구는 연구대상의 특성상 인터뷰 혹은 인터뷰를 동반한 설문조사의 방법론을 사용해 영향요인을 재확인하거나, 단일효과를 검증하는데 머물렀다. 또한 노인의 행복과 불행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파악과 더불어 정부, 기업, 가정 및 기타 사회 복지기관으로 분류하여 실증적인 행복 증진, 불행 경감 방안을 제시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Alderfer의 ERG 이론을 기반으로 검색어를 선정해 18년간(수집 기간: 2001. 08~2018. 02) 온라인 신문기사를 총 211,309건(행복: 200,246건, 불행: 11,063건)을 수집하여 연구를 진행했다. 분석결과 행복 관련 토픽은 연금, 사회 인프라, 건강, 공동체, 복지, 문화생활, 성공적인 노후, 봉사, 종교, 귀농으로 도출되었고, 불행 관련 토픽은 노인 우울, 복지 부족, 종교 의지, 질병, 은퇴 후 소득, 문화, 봉사, 역사적 사건, 예술, 가족 단절로 나타났다. 추가로 토픽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각 토픽의 키워드 사이의 네트워크를 시각화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결과를 통한 실현 가능한 제안을 했다는 점을 시사한다.

관습적 마아케팅경로에 있어서 구성원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ealing Partners in Conventional Marketing Channel)

  • 김수관
    • 수산경영론집
    • /
    • 제22권1호
    • /
    • pp.53-75
    • /
    • 1991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conceptualize theoretically and to examine empirically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channel member's satisfaction, dependence, and performance being immanent between dealing partners, by integrating behavioral and economic approach to explain comprehensively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dealing partners in conventional marketing channel which have not studied in previous studies. To attain above objectives, latent variables and observed variables which had been immanent between licenced dealers and wholesalers in fish marketing channel were found out by exploratory study, and pre-test was conducted to select the proper variables, and then the model which could explain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was set up. Three categories of varables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Namely, economic and noneconomic factors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variable,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dependence to dealing partner as intervening variable, and performance as dependent variable. The data for the study was obtained from a survey questionnaire of 214 licenced dealers who work in Pusan, Yusoo, and Kunsan and 190 wholesalers who work in whole country. Among them, 264 anayzable questionnaires(including 154 licenced dealers and 110 wholesalers)were collected. Statistical procedure to analyze the data was carried out by LISREL version 7. Major findings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conomic variable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degree of both licenced dealers' and wholesalers' satisfaction. Among economic variables, the degree of keeping wholesalers' payment date have greater influence on the degree of licenced dealers' satisfaction, and licenced dealers' faculty being able to send good fish in quality have greater influence on the degree of wholesaler's satisfaction than other variables. In short, licenced dealers make great account of wholesalers' payment, and wholesalers make great account of licenced dealers' faculty being able to send good fish in quality in dealing relationship. Second, noneconomic variables have more relevance to the degree of dependence in both sides than economic variables. This means that noneconomic variables as well as economic variables can be a factor to keep up the dealing relationship. Thir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dependence have influence on performance in both sides. In the licenced dealers' side, the degree of dependence have greater influence on performance tha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n wholesalers' side, the degree of satisfaction have greater influence on performance than the degree of dependence. This means that wholesalers can easily substitute their dealing partner for another licenced dealer comparatively.

  • PDF

초등학교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및 가정환경변인에 따른 의복행동연구 (A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nnection with Sex-Role Identity and Home Enviornments)

  • 전경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3-144
    • /
    • 1997
  • Clothing is considered as a means of self-projection in the childhood and children show clear preference on their own favorite clothing on which their latent identity is reflected. Changing sex-role identity, in particular, in the modern complex society specially affects the clothing behavior of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othing behavior of children in conjunction with sen-role identity and home environment variables. This study will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the clothing behavior in the childhood and be of help in selecting appropriate clothing in accordance with the variation of sex-role identity. Necessary information for this study was obtained through a questionaire. 'Bem sex-role identity inventor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x-role identity and the clothing behavior was studied in conjunction with the factors of conformity, dependence, aesthetics and interest.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are composed of three hundred male and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percentage(%), mean value(M), standard deviation(SD)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and t-test, $x^2$-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s for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Sex-role identity shows a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order of a birth and standard of living. This small difference is shown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2. In clothing behavior in connection with the sex-role identity,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nd was not found in typical sex-role identity group. However, clothing behavior in modernistic sex-role identity group exhibit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the factors of dependence, aesthetics and interest at the level of P<.001. 3. As concerns the clothing behavior in connection with gender, boy students show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tendency in aesthetics and interest than girls do. However, boy students show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tendency in aesthetics than girls do in connection with the standard of living. Although the clothing behavior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parents education, mother's age and existence of mother's job shows a little difference in mean values,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nd was not detected. 4. Clothing behavior of the children show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5. Through 3-dimensional variables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mutual interaction between gender, sex-role identity and standard of living on the clothing behavior. The results from MCA supplementary analysis reveal that there i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sex-role identity and standard of living.

  • PDF

조직내부에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조직원의 지식경영활동에 따른 매개효과 분석 - 직종별 대기업 종사자 간 비교분석 - (An Analysis of Mediating Effects According to Knowledge Management Activities of Organization Memb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in the Organization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Employees of Large Companies by Industry -)

  • 한충근;유연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544-559
    • /
    • 2016
  • 본 연구는 직종별 대기업 종사자 635명을 대상으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에서 지식경영활동의 매개효과와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지식경영활동과 조직몰입에 대한 관계성 분석을 직종별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지식경영활동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경영활동도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 간에 지식경영활동의 매개역할에 관해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마지막으로, 각 집단별로 분석한 결과에 대해서는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지식경영활동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서비스업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식경영활동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도 서비스업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의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IT업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유효성을 증진시키는 선행요인으로 중요하게 인지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변혁적 리더십이란 목표달성에 그치지 않고 변화와 혁신을 추구함과 동시에 조직구성원들이 지니고 있는 잠재적 역량과 강점을 개발하고 자신감과 열정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긍정적 강점을 자극하여 기대했던 것보다 높은 성과를 달성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멀티모달 방법론과 텍스트 마이닝 기반의 뉴스 비디오 마이닝 (A News Video Mining based on Multi-modal Approach and Text Mining)

  • 이한성;임영희;유재학;오승근;박대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7권3호
    • /
    • pp.127-136
    • /
    • 2010
  • 정보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지털 기록물의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뉴스 비디오는 시대상을 반영하는 풍부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으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하기 위한 뉴스 비디오 데이터베이스 및 뉴스 비디오 마이닝은 광범위하게 연구되어왔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뉴스 비디오 관련 연구들은 뉴스 기사에 대한 브라우징, 검색, 요약에 치중되어 있으며, 뉴스 비디오에 내재되어 있는 풍부한 잠재적 지식을 탐사하는 고수준의 의미 분석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뉴스 비디오 클립과 스크립트를 동시에 이용하는, 멀티모달 방법론과 텍스트 마이닝 기반의 뉴스 비디오 마이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텍스트 마이닝의 군집분석을 통해 뉴스 기사들을 자동 분류하고, 분류 결과에 대해 기간별 군집 추이그래프, 군집성장도 분석 및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뉴스 비디오의 기사별 주제와 관련한 다각적 분석을 수행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2007년 제2차 남북 정상회담" 관련 뉴스 비디오를 대상으로 뉴스 비디오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업가, 기술 및 네트워크 특성이 기술창업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ntrepreneurs' Characteristic, Technological Capabilities and Network on Firm Performance of Technology-based Start-ups)

  • 권미영;정해주
    • 벤처창업연구
    • /
    • 제7권1호
    • /
    • pp.7-18
    • /
    • 2012
  • 본 연구는 기술창업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는 기술창업기업의 성과 향상을 위하여 기업가는 물론 정책적 차원에서 어떤 노력을 하여야 하는가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창업기업의 기업가 특성, 기술능력 및 네트워크 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기업가 특성 중 성취욕구, 사회적 역량 및 관련 산업경험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기술능력은 기술창업 기업의 핵심 자원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객관적인 기술을 많이 보유 한다고 높은 성과를 예측할 수는 없다. 네트워크 특성이 성과에 유의미한 긍정적이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활용에는 효율적인 접근의 필요성이 보인다. 기업가 특성 중 기술과 네트워크 특성을 통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는 매개경로의 차이와 영향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선수의 스포츠 심리기술과 정서에 대한 정서지능의 중요도 (Importance of sport emotional intelligence on sports psychological skills and sports emotion among athletes)

  • 이미숙;박철용;남정훈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4권2호
    • /
    • pp.355-368
    • /
    • 2013
  • 본 연구는 선수들의 스포츠 심리기술과 스포츠정서에 대한 스포츠 정서지능의 중요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측정 자료의 구성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스포츠 정서지능과 심리기술 및 스포츠 정서의 관계는 AMOS 18.0을 이용한 잠재평균분석을 통해 스포츠 정서지능 수준 별 스포츠 심리기술과 스포츠 정서의 차이를 분석하였고, 공분산구조분석을 통해 이들 요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 정서지능 수준 별 스포츠 심리기술과 스포츠 정서의 차이는 스포츠 정서지능 고집단이 저집단에 비해 스포츠 심리기술의 팀조화와 심상 및 의지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포츠 정서에서는 자부심과 행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정서지능과 스포츠 심리기술의 관계에서는 스포츠 정서지능이 스포츠 심리기술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 정서지능과 스포츠 정서의 관계에서는 스포츠 정서지능이 스포츠 정서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심리기술과 스포츠 정서의 관계에서는 스포츠 심리기술이 스포츠 정서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