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minaria japonicus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s of Hydrolysis Time on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Alginates Prepared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 Lim Yeong-Seon;You Byeong-Ji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8권3호
    • /
    • pp.113-117
    • /
    • 2005
  • To prepare oligouronic acids from high-molecular-weight alginates,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alginates were hydrolyzed at $80^{\circ}C$ for various hydrolysis times (HT). The effects of hydrolysis time on the distribution ratios (DR) of the molecular weights (MW) of the hydrolyzed alginates were in-vestigated. As HT increased, the DR of the alginates with MW>500 kDa decreased ex-ponentially, while those with MW=50-100 kDa or MW<50 kDa increased exponentially. For MW=300-500 kDa, DR increased exponentially until HT reached 60 min, and then decreased exponentially. Similarly, for MW=100-300 kDa, DR increased exponentially until HT reached 90 min, and then decreased.

Bl6 Melanoma 세포에서 다시마 열수추출물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t-water Extracts from Laminaria japonicus on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s)

  • 박연종;윤미연;임혜원;이지윤;김창종;심상수
    • 약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374-378
    • /
    • 2004
  • To investigate the whitening activity of Laminaria japonicus, we measured the effect of hot-water extracts on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s. Melanocyte stimulating h ormone (MSH, $1{\mu}M$)-stimulated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fucoidan and hot-water extracts, but not by alginate. The purified tyrosinase activity was not affected by hot-water extracts, alginate and fucoidan. However, tyrosinase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fucoidan and hot-water extract in Western bl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hibitory mechanism of hot-water extracts on melanin production may be due to the inhibition of tyrosinase expression but not to direct inhibition of tyrosinase, such an effect of which may be dependent on fucoidan.

다시마 (Laminaria japonicus) Alginate의 가열가수분해에 따른 물리${\cdot}$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1. 저분자 alginate의 점도, 평균분자량 및 분자구조의 변화-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1. Changes in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Chemical Structure of Depolymerized Alginate-)

  • 김육용;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25-330
    • /
    • 2000
  • 갈조류의 주성분인 alginate는 다양한 생리적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고점성과 난용성으로 인하여 식품에의 광범위한 이용에 제한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Alginate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생리적 기능성을 유지 향상시키면서 점성을 줄이고 용해도를 높혀서 alginate의 이용성을 확대할 목적으로 가열에 의한 저분자화를 시도하였다. 즉, 평균분자량이 약 10,000 (HAG-10), 50,000 (HAG-50) 및 100,000 (HAG-100) 정도의 alginate를 제조하여 각 저분자 atginate의 물리${\cdot}$화학적 특성 변화를 검토하였다. 가열에 의한 점도와 평균분자량은 가열시간이 경과할수록 급격히 저하하였으며, 점도와 평균분자량사이에는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 ($r^2=0.955$)를 나타내었다. 가열에 의한 alginate의 block조성비 및 M/G 비율은 가열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MM-block은 변화가 없었으나 GG-block은 급격히 저하하였다. 그리고, MG-block은 오히려 완만히 증가하였으며 M/G 비율은 급격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분자량의 감소에 따른 alginate의 분자구조의 변화를 $FT-IR, ^1H-NMR$$^(13)C-NMR$로 측정한 결과, 가열에 의해 alginate가 저분자화되어도 분자구조의 특징적인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다.

  • PDF

다시마 (Laminaria japonicus) Alginate의 가열가수분해에 따른 물리${\cdot}$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3. 랫드의 Cholesterol, Glucose 및 카드뮴 (Cd) 체외 배출효과-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by Heating Hydrolysis 3. Excretion Effects of Cholesterol, Glucose and Cadmium (Cd) in Rats)

  • 김육용;이근우;김건배;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93-398
    • /
    • 2000
  • Alginate의 기능적 특성을 개선하여 이용성을 확대할 목적으로 가열에 의한 저분자화를 시도하였으며, 저분자 alginate가 랫드의 cholesterol, glucose 및 카드뮴의 체외배출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랫드에 있어서 HAG-10, HAG-50, HAG-100 및 alginate의 cholesterol의 체외배출 효과는 HAG-50과 HAG-100에서 높았고, 다음으로 alginate였으며 HAG-10은 거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혈청중 glucose 함량은 HAG-50에서 그 농도가 가장 낮았고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혈당의 농도가 저하하였으며, 혈칭중의 insulin의 함량도 HAG-50에서 초기에 증가한 후에 계속 저하하였다. 카드뮴의 체외배출 효과는 HAG-50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HAG-100과 alginate 및 HAG-10의 순으로 HAG-10에서는 거의 효과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HAG-50은 랫드에 있어서 cholesterol과 카드뮴의 체외배출을 촉진하였으며, 혈중 glucose 농도론 저하시키는데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Alloxan 처리 당뇨병 마우스의 췌장 glucokinase 및 hexokinase에 대한 다시마 열수추출물의 효과 (Effect of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Extract on The Activities of Glucokinase and Hexokinase in Alloxan-Induced Diabetic Mellitus Mice)

  • 김동수;김철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76-482
    • /
    • 2001
  • 다시마의 열수출물이 당뇨병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alloxan으로 처리하여 실험적으로 당뇨병을 유발한 후 glucose의 초기 인산화에 관여하는 glu-cokinase와 hexokinase의 활성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Alloxan 주사에 의해 체중과 공복시의 glucose 및 insulin 분비가 증가되었으나, 다시마 투여에 의해 공복시의 insulin 분비가 유의성있게 감소하였으며 체중과 공복시의 glucose의 유의성은 없었으나 대조군에 비하여 감소하였다. 2. Alloxan 주사에 의해 혈청중 glucosecl가 정상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었으나 다시마 투여에 의해 현저히 감소되었다. Insulin 치의 상승과 분비 지연도 다시마 투여군에서는 정상군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3. Glucokinase와 hexokinase의 활성은 alloxan 주사에 의해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다시마 투여에 의해 유의성있게 상승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다시마는 alloxan으로 유발된 당뇨병에서 glcuose 인산화 glucokinase와 hexokinase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당뇨병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 PDF

Effects of different algae in diet on growth and interleukin (IL)-10 production of juvenil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 Anisuzzaman, Md;Jeong, U-Cheol;Jin, Feng;Choi, Jong-Kuk;Kamrunnahar, Kabery;Lee, Da-In;Yu, Hak Sun;Kang, Seok-Joo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0권10호
    • /
    • pp.24.1-24.8
    • /
    • 2017
  •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algae in diet on growth, survival, and interleukin-10 productions of sea cucumber. At first, a 9-week feeding trai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growth performance and survival of the sea cucumber fed one of the six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ST (Sargassum thunbergii), UL (Ulva lactuca), UP (Undaria pinnatifida), LJ (Laminaria japonica), SS (Schizochytrium sp.), and NO (Nannochloropsis oculata) in a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The result showed that survival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dietary treatments, and the specific growth rate (SGR) of sea cucumber fed the UL diet ($1.58%d^{-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sea cucumber fed the other diets (P < 0.05), except for the LJ and NO diets. Secondly, interleukin (IL)-10 gene expression was determined where mice splenocytes were stimulated with $10{\mu}g\;ml^{-1}$ of sea cucumber extracts for 2 h. The result showed that IL-10 gene expression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UL, LJ, and NO diets fed sea cucumber extracts compared to other experimental diets. The results suggest that dietary inclusion with Ulva lactuca, Laminaria japonica, and Nannochloropsis oculata algae may improve the growth of juvenile sea cucumber and could upregulate IL-10 gene expression in mice splenocytes. Such detailed information could be helpful in further development of more appropriate diets for sea cucumber culture.

다시마(Laminaria japonicaus) Alginate의 가열가수분해에 따른 물리${\cdot}$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2. 저분자 alginate의 항돌연변이효과와 Cholesterol, Glucose 및 카드뮴(Cd) 결합능의 변화-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2. Changes in Antimutagenicity Effects and Cholesterol, Glucose and Cadmium(Cd) Binding Capacity of Depolymerized-)

  • 김육용;이근우;김건배;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88-392
    • /
    • 2000
  • Alginate의 광범위하고 효율적인 이용을 목적으로 평균분자량이 약 10,000 (HAG-10), 50,000 (HAG-50) 및 100,000 (HAG-100) 정도의 저분자 alginate를 제조하였으며, 이 저분자 alginate의 항돌연변이 효과와 cholesterol, glucose 및 카드뮴과의 결합능을 측정하여 그 물리${\cdot}$화학적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Ames test로 저분자 alginate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측정한 결과, $aflatoxin B_1 (AFB_1)$에 대한 간접돌연변이원성과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에 대한 직접돌연변이원성의 항돌연변이 효과는 HAG-10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HAG-50, HAG-100 및 alginate의 순으로 나타나 저분자화가 진행될수록 그 효과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분자 alginate의 cholesterol, glucose 및 카드뮴에 대한 결합능은 alginate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HAG-50과 HAG-100은 유사하였으며, HAG-10은 결합능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 PDF

해조류 분말 종류를 다르게 첨가한 배합사료가 어린 해삼(Apostichopus japonicus)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actical Diets Containing Different Seaweed Powders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 김경덕;김강웅;이봉주;한현섭;배기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42-147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actical diets containing different seaweed powders on the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juvenile sea cucumber Apostichopus japonicus. Six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40% of the following seaweed powders: Sargassum thunbergii (ST), Undaria pinnatifida (UP), Ascophyllum nodosum (AN), Hizikia fusiformis (HF), fermented Laminaria japonica (FLJ), and fermented Hizikia fusiformis (FHF). Sea cucumbers (30 per tank; initial mean weight $0.4{\pm}0.01g$) in three replicates of six groups were fed one of the six experimental diets for 15 weeks. Survival in all groups was 83-93%,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The specific growth rates of the sea cucumbers fed the ST and UP die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sea cucumbers fed the HF, FLJ, and FHF diets, bu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ose of sea cucumbers fed the AN die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 thunbergii, U. pinnatifida, and A. nodosum could be useful sources of seaweed powder for practical diets of juvenile sea cucumber.

다시마 (Laminaria japonicus) Alginate의 가열가수분해에 따른 물리$\cdot$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5. 랫드의 체중, 장기, 췌장과 소장의 성분 및 소장융모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저분자 Alginate의 영향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5. Effects of Depolymerized Alginate on Body Weight, Organ, Pancreatic and Small Intestinal Composition, and Small Intestinal Microvilli Structure in Rats)

  • 김육용;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1-26
    • /
    • 2001
  • Alginate를 가열에 의해 저분자화하여 저분자화에 따른 소화생리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랫드에 저분자 alginate인 HAG-10,HAG-50, HAG-100 및 alginate를 장기간 섭취시켰을 때, 체중, 각종 장기의 무게와 길이 및 췌장과 소장의 소화효소활성과 단백질, DNA 및 RNA 함량을 측정하였고 소장응모의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랫드의 체중은 $5\%$$10\%$ HAG-50 및 $10\%$ alginate에서 체중의 증가가 유의적으로 현저히 억제되었다. 간장의 무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위의 무게와 길이는 $10\%$ HAG-10, $1\%$, $5\%$$10\%$ HAG-50, $1\%$$5\%$ HAG-100 그리고 $5\%$ alginate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췌장의 무게와 길이는 모두 약간 증가하였다. 소장과 맹장의 무게와 길이는 $1\%$$5\%$ HAG-10을 제외하고 모두 증가하였으나 대장의 무게와 길이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췌장의 amylase 활성은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lipase 활성은 HAG-50에서 약간 저하하였으며, protease 활성은 $1\%$ HAG-10만 제외하고 유의적으로 저하하였다. 췌장의 단백질 함량은 모두 증가하였으나, DNA와 RNA 함량은 유의 적 인 차이가 없었다. 소장의 단백질 함량은 $5\%$$10\%$ HAG-50에서 그리고DNA는 $5\%$ HAG-50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RNA는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소장융모의 미세구조는 HAG-50에서 주름이 많고 표면적이 넓은 잎사귀 모양의 응모세포와 돌림주름 및 Boblet cell이 현저히 발달되어 있었다.

  • PDF

다시마 (Laminaria japonicus) Alginate의 가열가수분해에 따른 물리$\cdot$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6. 랫드 분변의 장내균총의 변화에 미치는 저분자 Alginate의 영향 (Studies 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Depolymerized Alginate from Sea tangle, Laminaria japonicus by Thermal Decomposition 6. Effects of Depolymerized Alginate on fecal Microflora in Rats)

  • 김육용;조영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77-83
    • /
    • 2001
  • 저분자 alginate인 HAG-10, HAG-50, HAG-100 및 alginate를 랫드에 장기간 섭취시켰을 때, 분변중의 장내미생물균총의 변화를 관찰하여 소화생리의 특성을 개선시키는 최적의 저분자 alginate를 찾고자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In vitro에 있어서 대표적인 장내세균에 의한 HAG-10, HAG-50, HAG-100 및 alginate의 기질이용성을 조사한 결과, Bacteroides ovatus는 기질로 이용하였으며, Megamonss hypemegas는 약간의 증식하였으나, 그 외의 대부분의 균주는 기질로써의 이용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분변중 장내균총의 변화는 $10\%$ HAG-10, $1\%$, $5\%$$10\%$ HAG-50 그리고 $1\%$ alginate에서 Bindobacterium과 Lactobacillus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해미생물들은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5\%$$10\%$ alginate에서는 반대로 유익균의 증식이 억제되고 유해균의 증식이 현저히 촉진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저분자 alginate는 대부분의 장내세균에 대한 기질로서의 이용특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전형적인 식이섬유원이었으며, 또한 랫드에 있어서 HAG-50의 섭취는 alginate 고유의 기능적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장내세균중 유익균인 Bifdobacterium과 Lactobacillus의 증식을 촉진시키고 유해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여 장내미생물균총을 개선시키는 최적의 저분자 alginate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