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paracasei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3초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를 이용한 요구르트의 효모 성장 억제와 품질 향상 효과 (Effects of Yeast Growth Inhibiting and Yogurt Quality Improving with Lactobacillus paracasei and Lactobacillus rhamnosus)

  • 김철홍;남명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438-1445
    • /
    • 2016
  • 본 연구는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가 요구르트에 오염된 효모의 증식을 억제해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효모 투입 후 저장기간 동안 효모의 증식 속도는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가 포함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최소 1일에서 최대 4일까지 지연시켰다. 스웰링 현상은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가 효모의 증식 속도를 일정 기간 지연시켜 주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요구르트 제조 시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를 사용한다면, 저장기간 동안의 품질 안정성이 향상되어 유통기한을 연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발효유 제조업체의 생산성과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가 요구르트의 품질 기준인 후산 발효와 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요구르트 제조 후 $10^{\circ}C$에서 저장할 경우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의 산도 변화 폭은 미미하여 후산 발효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제조일로부터 유통기한 만료일까지 일정하게 관능적 풍미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소비자에 대한 관능적 품질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가 추가된 실험구는 대조구에 비해 조직감이 상대적으로 좋았으며, 풍미나 맛 또한 우수하였다. 즉, 요구르트에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의 사용은 효모의 증식 억제를 통해 제품 품질의 안전성 향상, 후산 발효 억제로 인한 품질의 균일성 증대, 조직감 및 풍미 향상으로 인한 관능적 품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된다.

Lactobacillus rhamnosus와 Lactobacillus paracasei 복합 배양의 피부 미백 및 주름 개선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Skin Whitening and Anti-wrinkle Activities of the Co-culture of Lactobacillus rhamnosus and Lactobacillus paracasei)

  • 김남영;이현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53-261
    • /
    • 2015
  • 본 연구는 여성의 손으로부터 분리한 두 유산균의 co-culture에 의한 향장활성에 대한 것이다. Lactobacillus rhamnosus (L. rhamnosus)와 Lactobacillus paracasei (L. paracasei)를 함께 배양하는 것은 최초이며, co-culture를 이용한 유산균은 tyrosinase 저해율이 L. paracasei와 L. rhamnosus에 비해 20.68%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또한, co-culture 유산균은 melanin 생성 저해율에서도 63.5%의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주름개선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MMP-1의 생성량이 3726.3 pg/mL로 확인되었다. 반면 단일 유산균 배양시 얻어지는 MMP-1 생성량은 각각 L. rhamnosus가 13613.5 pg/mL, L. paracasei는 13012.0 pg/mL이 확인되었다. Collagen 생성량을 확인한 결과 co-culture 유산균이 380.7 ng/mL로 323.4 ng/mL의 양이 확인된 L. paracasei와 304.1 ng/mL의 양이 확인된 L. rhamnosus보다 많은 양이 생성됨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는 유산균의 co-culture가 향장활성 증진을 시킬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이는 향장 활성에 영향을 미치는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단일 유산균 배양을 통한 결과보다 co-culture 유산균의 항산화 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재조합 Lactobacillus paracasei로부터 Bacillus subtilis의 Mannanase 생산과 효소특성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a Bacillus subtilis Mannanase from Recombinant Lactobacillus paracasei)

  • 윤기홍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86-189
    • /
    • 2012
  • A gene coding for mannanase (manA) from Bacillus subtilis was introduced into a shuttle vector pGK12 between Escherichia coli, B. subtilis and Lactobacillus paracasei. As a result of transferring the resultant plasmid, designated pGK12M3, into three different strains, the manA gene was found to be expressed in L. paracasei as well as in B. subtilis and E. coli. In a 4 L fermentor culture, the production of mannanase by recombinant L. paracasei (pGK12M3) reached a maximum level of 5.4 units/ml in an MRS medium with a fixed pH 6.5. Based on the zymogram of mannanase, it is assumed that mannanase produced by recombinant L. paracasei is not maintained stably with proteolytic degradation. The optimal temperature and thermostability of mannanase produced by recombinant L. paracasei were also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ose of enzymes produced by B. subtilis.

갓김치에서 분리된 유산균의 활성산소종에 대한 저항성과 항산화 활성 (Resistance to Reactive Oxygen Spec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me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the Mustard Leaf Kimchi)

  • 임성미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75-382
    • /
    • 2010
  • 갓김치로부터 분리된 유산균 5종(Lactobacillus acidophilus GK20, Lactobacillus brevis GK55, Lactobacillus paracasei GK74, Lactobacillus plantarum GK81,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 GK104)의 활성산소종에 대한 저항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Hydrogen peroxide (0.5 mM)와 반응 5시간후 L. acidophilus GK20, L. brevis GK55, L. paracasei GK74 및 L. plantarum GK81들은 5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으며, superoxide anions에 의한 저해율은 L. acidophilus GK20와 L. paracasei GK74가 가장 낮았고, hydroxyl radical과의 반응에서는 L. paracasei GK74와 L. plantarum GK81이 가장 안정하였다. 한편, L. plantarum GK81는 실험 균주 중 가장 높은 DPPH 소거능($70.8{\pm}10.1%$)을 나타내었는데, 세포(IC)보다는 세포추출물(ICFE)의 활성이 더 높았다. 또한 L. plantarum GK81의 ICFE는 다른 균주들에 비해 높은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을 보였고, 이 균주의 IC와 ICFE에 의한 환원력은 BHA와 vitamin C보다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 L.paracasei GK74 IC의 환원력도 vitamin C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L. brevis GK55, L. paracasei GK74 및 L.mesenteroides GK104 IC의 $Fe^{2+}$-chelating 활성은 30% 이상이었고, L. plantarum GK81의 ICFE는 45%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험 균주 중 L. plantarum GK81은 다른 균들에 비해 ROS에 대해 비교적 안정하고, 항산화 활성도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각 미생물의 ${\beta}-galactosidase$와 Phytase의 활성비교

  • 조진국;장우진;최진영;허강칠;이종익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정기총회 및 제35차 춘계 학술 발표대회
    • /
    • pp.375-379
    • /
    • 2005
  • 본 연구는 ${\beta}-galactosidase$와 phytase활성이 높은 균주의 선발을 목적으로 수각 미생물들을 Kefir와 자연환경에서 분리하여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배양한 유산균과 효모 균체액을 French pressure cell press로 세포를 파쇄하였을 때, 각 미생물의 단백질농도는 효모보다 유산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eta}-galcactosidase$의 비활성은 Kluyveromyces maxiranus와 Candida utilis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0.80{\sim}0.89\;umol/min/mg$ 사이였다. 체적활성의 경우는 Lactobacillus paracasei 및 Lactobacillus rahmnosus, Enterococcus faecium이 각각 15.9 및 14.5, 14.5 umol/ml를 기록하여 ${\beta}-galcactosidase$의 추출재료로 우수하였다. phytase의 비활성은 Lactobacillus paracasei 와 Enterococcus faecium이 0.032와 0.038 umol/min/mg로 가장 높았다. 체적활성의 경우는 Lactobacillus paracasei가 35.12 umol/ml로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beta}-galactosidase$와 phytase의 생산측면에서 이용한 미생물중에서는 Lactobacillus paracasei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김치 유래의 유산균 변이주 Lactobacillus paracasei ML-7의 특성 및 육계 성장에 대한 영향 (Characterization of Mutant Strain, Lactobacillus paracasei ML-7 Isolated from Kimchi, and Its Effect on the Growth of Broiler)

  • 박근태;오미향;남정옥;지기쁨;한종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48-152
    • /
    • 2014
  • 김치로부터 분리, 선별한 유산균 L. paracasei LS-2에 UV 조사 및 L. paracasei LS-2균주가 성장하지 않는 pH 3.5 MRS agar 배지에서 성장하는 변이주를 선별함으로써 변이주인 L. paracasei ML-7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변이주 L. paracasei ML-7의 유기산 생성능력, 병원성 미생물의 생육 저해 능력, 육계에서의 증체 및 사료 효율 개선효과를 시험하였다. 변이주인 L. paracasei ML-7 는 모균주인 L. paracasei LS-2에 비하여 MRS 배지에서 성장속도가 증가되었으며, 유기산 생성도 증가되었다. 또한 L. paracasei ML-7은 병원성 미생물인 E. coli ATCC 25922 (${\alpha}$-hemolysin producing E. coli)와 A. flavus ATCC 22546에 대한 생육 저해 능력이 모균주인 L. paracasei LS-2에 비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육계를 대상으로 하는 사양시험에서 변이주 L. paracasei ML-7을 급여한 처리구에서 증체량 개선 및 사료효율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본 결과로부터 유산균의 인공변이로부터 유기산생산 증가 및 그에 따른 가축 사양 성적 개선이 가능한 변이주의 제작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산균의 증식과 항균 활성에 관한 탈지유 및 두유의 영향 (Influence of soymilk and skim milk on growth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 임은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58-26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탈지유와 두유 내에서 Enterobacter aerogenes CIH05의 증식과 바이오제닉 아민(biogenic amines, BA) 생성량에 대한 유산균의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갓김치로부터 분리된 Lactobacillus acidophilus GK20, Lactobacillus paracasei GK74 및 Lactobacillus planatrum GK81은 탈카르복시화 배지 상에서 BA를 생성하지 않았다. 탈지유와 두유 내에서 L. paracasei GK74에 의해 가장 많은 생균수와 항균 물질 생성량이 측정되었고, 반면 L. plantarum GK81은 다른 균주들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균수와 항균 물질을 생산하였다. 유산, 과산화수소 및 박테리오신의 생산량은 Lactobacillus의 균종과 배지 종류에 의존하였다. 유산균과 유사하게 E. aerogenes CIH05도 단독 배양 시 두유보다 탈지유에서 더 많은 균수가 측정되었다. 탈지유와 두유 내에서 L. acidophilus GK20이나 L. paracasei GK74와 혼합 배양하거나 박테리오신 용액(300 AU/ml)을 처리했을 때 E. aerogenes CIH05의 균수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히스타민과 카다베린의 생성도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Lactobacillus acidophilus BK13 and Lactobacillus paracasei BK57 균주가 생산한 항균물질의 anti-Helicobacter pylori 활성 및 위장상피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nti-Helicobacter pylori and cytotoxic properties of the antimicrobial substances from Lactobacillus acidophilus BK13 and Lactobacillus paracasei BK57)

  • 임은서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56-168
    • /
    • 2015
  • Lactobacillus acidophilus BK13과 Lactobacillus paracasei BK57 균주로부터 얻은 세포, 배양상등액 및 박테리오신 용액의 anti-Helicobacter pylori 활성과 위장상피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균주를 MRS 배지 상에서 30시간 배양한 결과, L. acidophilus BK57 ($126.8{\pm}7.9mM$) 보다 L. paracasei BK57 ($155.9{\pm}7.9mM$)가 더 많은 양의 유산을 생산하였다. 또한, BK13 균주의 최대 박테리오신 활성(128 AU/ml)은 $37^{\circ}C$에서 30시간 배양 후 관찰되었으나, 이는 BK57의 활성(256 AU/ml) 보다는 낮았다. BK13 및 BK57 균주의 살아있는 세포를 H. pylori와 혼합 배양한 결과, 유산균의 초기균수에 의존하여 H. pylori의 저해효과가 나타났다. 게다가 BK13과 BK57로부터 얻은 배양상등액과 박테리오신은 H. pylori의 성장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위장상피세포에 대한 부착력과 urease 활성도 저해하였다. 한편, 이러한 균주들이 생산한 유산은 위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효과가 대조구보다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BK13과 BK57 균주의 항균물질은 위장질환의 원인균인 H. pylori를 저해시키는데 효과적이므로 이들 유산균은 H. pylori 감염으로부터 위장을 보호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mmunomodulating Activity by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 BFI46 Isolated from New-Born Infant Feces

  • Lim, Sang-Dong;Kim, Kee-Sung;Cho, Seong-A;Do, Jeong-Ry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23-231
    • /
    • 2010
  • In order to develop a new starter for fermented milk,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 BFI46 (BFI46) obtained from new-born infant feces was investigated for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Good immunomodulating activity was evident compared with commercial lactic acid bacteria starter cultures. The optimum growth temperature of BFI46 was $40^{\circ}C$ with 12 h required to reach pH 4.3. Testing with 13 different antibiotics revealed greatest sensitivity of BFI46 to penicillin- G and chloramphenicol, and heightened resistance to neomycin, kanamycin and polymyxin. BFI46 displayed higher esterase activities compared to 18 other enzymes, was comparatively tolerant to bile juice and able to survive at pH 2 for 3 h, and displayed high resistance against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with a survival rate of 57.14% and 96.36%,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BFI46 could be an excellent starter culture for fermented milk with high level of immunomodulating activity.

Benzoic Acid Production with Respect to Starter Culture and Incubation Temperature during Yogurt Fermentati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Yu, Hyung-Seok;Lee, Na-Kyoung;Jeon, Hye-Lin;Eom, Su Jin;Yoo, Mi-Young;Lim, Sang-Dong;Paik, Hyun-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427-434
    • /
    • 2016
  • Benzoic acid is occasionally used as a raw material supplement in food products and is sometimes generat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In this study, the production of naturally occurring yogurt preservatives was investigated for various starter cultures and incubation temperatures, and considered food regulations.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paracasei, Lactobacillus reuteri, Lactobacillus plantarum, Bifidobacterium longum, Bifidobacterium lactis, Bifidobacterium bifidum, Bifidobacterium infantis, and Bifidobacterium breve were used as yogurt starter cultures in commercial starters. Among these strains, L. rhamnosus and L. paracasei showed the highest production of benzoic acid. Therefore, the use of L. rhamnosus, L. paracasei, S. thermophilus, and different incubation temperatures were examined to optimize benzoic acid production.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based on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performed for various incubation temperatures (35-44℃) and starter culture inoculum ratios (0-0.04%) in a commercial range of dairy fermentation processes. The optimum conditions were 0.04% L. rhamnosus, 0.01% L. paracasei, 0.02% S. thermophilus, and 38.12℃, and the predicted and estimated concentrations of benzoic acid were 13.31 and 13.94 mg/kg, respectively. These conditions maximized naturally occurring benzoic acid production during the yogurt fermentation process, and the observed production levels satisfied regulatory guidelines for benzoic acid in dairy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