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 light

검색결과 2,617건 처리시간 0.033초

방송조명에서 LED광원의 색 재현성과 평탄도 연구 (A Study on Color Reproduction and Flatness of the LED Light Source in Broadcasting Lighting)

  • 김영진;박구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38-551
    • /
    • 2016
  • 방송 제작현장에서는 영상 이미지 표현의 광원으로 Tungsten Halogen 광원이 주 광원으로 사용 되어 왔다. Tungsten Halogen 광원은 그동안 개발된 다른 광원보다 태양광원과 유사한 색 재현성으로 각광받아 왔지만 에너지 효율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최근 대체 광원으로 고효율의 에너지와 긴 수명의 LED광원이 방송 광원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LED광원은 독특한 발광원리 때문에 카메라를 통한 영상 이미지의 색 재현성과 광원에서 투사되는 빛의 질에 있어서 Tungsten Halogen광원과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런 특성은 LED광원이 방송 광원으로서 도입이 늦어지는 이유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LED 광원의 색 재현성과 빛의 질 특성인 평탄도를 측정하여 기준광원인 Tungsten Halogen과 비교하여 방송 광원으로써의 적합성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제시할 것이다. 또한 LED광원이 방송 광원으로서의 확산되기 위해서 필요한 점이 무엇인지 향후 과제와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비구면 광학계를 이용한 고출력 LED 스포트라이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D Spotlight with a High Power using an Aspherical Optical System)

  • 문재일;유경선;현동훈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87-492
    • /
    • 2012
  • In this study we researched a spotlight in LED lighting. Ordinary LED spotlight was manufactured with characterized property of traveling straightness of LED light source, but multiple use of shell type LED, a yellow band has formed caused by light source interference between the LED. Also, there was a high miscellaneous light efficiency with losing light source homogeneity and efficiency due to light source control uneasiness. The study uses aspheric reflector and aspheric lens, so we can control the light source of LED spotlight with effectively and we reached surface light source by using COB/COM for LED module. Furthermore it can change its use by a reduced scale of light system. It has been designed to make its various application from low power consumption of bicycle lamp, up to high power consumption of automobile lamps and lighthouse.

광 강도 제어에 따른 LED의 광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ght Quality of LED for Control of Light Intensity)

  • 박상희;안준철;허정욱;최한고;최성대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175-182
    • /
    • 2012
  • Light characteristics of the monochromatic red(R), blue(B), green(G) and white(W) and the mixed LED (B-R LED) were investigated by light control a Spectrometer-MMS1 and an illuminometer. The power consumption of each LED was 1W and R LED has five wavelength bands(600nm, 640nm, 660nm, 680nm, 750nm). The light intensity of each LED was changed in a range 10~100%. As a results, the wavelength and the spectrum distribution of R LED increase with increasing light intensity but the wavelength of B, G, W LED decreases. It was found that illumination of each mononochromatic and B-R LED increases linearly with increasing light intens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illumination intensity of R-B light has greater values than those obtained by monochromatic light at the same conditions.

식물 재배기의 효율적인 LED 조명 시스템 설계 (Efficient LED lighting system design of the plant growing system)

  • 안교명;홍영진;김환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7256-7261
    • /
    • 2015
  • 본 논문은 식물 재배시스템을 제작하고 LED 광원은 단색광 3개(적색, 청색, 백색), 혼합광 3개(적색1+청색1, 적색2+청색1, 적색1+청색2)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제작한 식물 재배시스템을 이용하여 LED 광원별 광 특성, 광량의 변화에 따른 조도 및 PPFD의 특성과 식물성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LED 광원의 광 효율은 백색 광원이 125 lm/W로 높으며 적색1+청색2 광원은 9.9 lm/W로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 단색광이 혼합광 보다 광효율이 좋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LED의 파장별 PPFD ($25{\mu}mol$, $50{\mu}mol$, $100{\mu}mol$) 조도값 크기는 백색 LED가 높으며 청색 LED가 낮았다. 따라서 LED 광원의 다양한 단색 혼합광 파장대역 조합에 따라 식물성장에 적합한 효율적인 LED 조명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을 이용한 녹조 구멍갈파래(Ulva pertusa)의 생장 (Growth of Ulva pertusa Kjellman (Chlorophyta, Ulvophyceae) by a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 Source)

  • 권천중;최창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71-574
    • /
    • 2013
  • To determine an efficient growth system for algal cultivation and to develop adequate culture system utilizing LED light,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luorescent and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 source on the growth of Ulva pertusa. U. pertusa was cultured at $17^{\circ}C$ under a light intensity of 35 ${\mu}mol$ photons $m^{-2}s^{-1}$ and a 10L:14D photoperiod using either fluorescent or LED lamps. After 1 week of incubation under the same environmental condition, the length and width of Ulva pertusa grown under LED light were 1.5- and 1.9-fold greater, respectively, than the length and width of algae grown under fluorescent light. After two weeks, length and width were 2.6- and 2.0-fold greater, respectively, in algae grown under LED light. Total length and width of Ulva pertusa after three weeks of incubation were 1.7- and 1.2-fold greater in algae grown under LED light than those grown under fluorescent light. Therefore, the LED light induced significantly higher growth of Ulva pertusa than fluorescent light.

LED 경광등 글로브 렌즈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ens Design for LED Warning Light)

  • 신경호;임성무;여인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912-1914
    • /
    • 2004
  • As the characteristics of LED disposition, LED warning light must be designed differently from general incandescent lamp warning light whose light source is located in origin. In this paper, the globe's lens of LED warning light was designed considering the LED intensity distribution and the arrangement of the LED. And prove the appropriateness of that design by simulation in LightTools which is optical design program.

  • PDF

LED광원과 형광광원의 상관색온도가 시작업 성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of LED Light Sources and a Flourescent Light Source on Visual Performance)

  • 백승헌;정인영;신화영;김정태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8-26
    • /
    • 2009
  • 최근, 에너지 절감 및 환경보전의 한 방법으로서 LED광원을 이용한 고효율 조명기기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LED광원을 이용한 조명기기는 실내공간의 용도 및 사용자에 대한 고려를 배제한 채, 색상 및 패턴이 결정되어 시각적 불쾌감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LED광원을 이용한 국부조명의 CCT의 변화가 작업자의 시작업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실내공간의 용도 및 사용자를 고려한 조명 설계에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2 종류의 LED광원과 1종류의 형광광원을 선정하였으며,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오류수정작업과 읽기작업에 대한 정확도 및 소요시간을 평가하였다. 시작업 성능평가 결과, LED광원에서 오류수정 작업의 정확도는 형광광원에 비해 최대 2.5[%]가 증가되었으며, 소요시간은 최대 17.1[%]가 감소되었다. 또한 읽기작업 결과 소요시간은 LED광원에서 20.6[%]가 감소하였다.

고출력 3색 LED를 이용한 휴대용 무영등의 개발 (Development of Portable Astral Light using the High Power 3-Color LEDs)

  • 유성미;천민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111-111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의료용 신조명 부품으로 주목받고 있는 고출력 LED를 사용해 구강구조 확인을 위한 치과영역, 진료 및 수술실에서 환부에 대한 작은 범위(국소부위)의 무영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LED Light를 설계 개발하였다. 개발에 적용한 LED는 피사체 고유의 Tone에 대한 섬세한 표현력과 입체감을 부각시키기 위해 다양한 색상 구현 및 광량조절이 가능하도록 3색 LED를 사용했다. 사용된 LED의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을 고려해 고효율의 Light Module를 개발했으며 휴대 사용을 위해 낮은 전압에서도 구동이 가능한 SMPS를 제작했다. 또한 PWM 제어방식을 이용해 단색광부터 백색광까지 32,768개의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했다.

살내 가시광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LED 패널 위치 및 발광 각도가 통신 채널 품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Analysis of Effects of LED Panel Position and Lighting Angle on Communication Channel Quality in Indo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 트렁홉도;황준호;유명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9B호
    • /
    • pp.1108-1116
    • /
    • 2011
  • 실내 가시광 무선 통신 기술은 반도체인 LED (Light Emitted Diode)의 발광 특성을 제어하여 디지털 신호를 송신하며, PD (Photo Diode)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송수신하는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이다. 이러한 가시광 무선통신에서 LED는 실내 조명기기로써의 역할 뿐 아니라 우선 통신 시스템의 송신기의 역할도 수행한다. 가시광 무선 통신 시스템은 그 특성 상 통신 영역이 빛의 도달하는 범위로 한정되며, 빛의 광량에 따라 통신 채널 품질이 결정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의 복수의 LED로 구성된 LED 패널의 위치 변화와 LED 발광 각도 변화가 통신 채널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 LED 패널의 위치 및 LED 발광 각도가 조도 및 SNR 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입증하였다.

LED광원과 형광광원에 의한 작업면의 휘도 및 색온도 비교 (Comparative Luminance and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of Work-place by a Fluorescent and LED Light Sources)

  • 백승헌;정인영;김정태
    • KIEAE Journal
    • /
    • 제8권6호
    • /
    • pp.21-26
    • /
    • 2008
  •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energy efficiency and environment-friendly chracteristics, demend of High-efficiency lighting using LED(Light Emitting Diode)are being increased actively and applied in various fields. However, In order to adequate application of LED light sources, it is necessary to lighting environment and luminous characteristics of LED light sources. This Study aims to characterize the work-plane lighting environment by LED light sources comparing with fluorescent light sources which are widely used. For the sake of this study, a fluorescent light source and 5 LED light sources were introduced and luminance and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were measured to evaluate luminance contrast. The experimental model is Mock-up which is $4.9m{\times}7.2m$ with a height of 2.9m. The test room was set up partition and desks. Luminance and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were measured work-plane on the desk which was set up local lighting by the Radiant Imaging ProMetric 1400. The optical characteristics data of LED can give a lot of advantages to design LED lighting appliances. Hereafter, the object of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evaluate effects of LED light sources on working performance, survey of visual performance, preference and physiology of sub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