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EVALUATION

검색결과 938건 처리시간 0.021초

농촌지역 노거수의 지속가능한 보전을 위한 평가체계 개발 연구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the Sustainable Conservation of Old Tree in Agricultural Landscape)

  • 손진관;김미희;이시영;강동현;김남춘;강방훈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9-69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e an evaluation system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of old trees with historic and traditional values in rural areas. Existing evaluation system was modified through field application of 10 old trees and expert research twice for development of new evaluation system. 4 evaluation items in 10 evaluation items were deleted by first expert research. Some items are proposed to offer a figure explanation by second expert research. End-developed evaluation items are consisted of 6 items ((1) Ground State, (2) Blight, Harmful Insects, (3) Tree Form, (4) Canopy Vitality, (5) Bark, (6) Damage) reflecting the order of importance evaluation. Old trees evaluation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continuously to conserve the old trees in the rural areas and gradually help to increases the historic and traditional values.

생태적 보전가치 평가를 통한 자연공원 계획에 관한 연구 - 황매산 군립공원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Natural Park Plan through Ecological Conservation Value Evaluation -A Case Study on Mt. Hwangmaesan(Mt.) County Park -)

  • 신지훈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28-37
    • /
    • 2010
  • This study is intend to evaluate natural conservation value, and to suggest natural park plan based on conservation value evaluation. In this study evaluation items are selected through related studies about ecological conservation evaluation, and evaluation items in this study can be classified into 2 aspects, ecological environment and topographic environment. After each evaluation items are overlaid with GIS program, management levels are derived from comprehensive overlaid maps of each evaluation items. Management areas can be classified into 5 levels; Critical Conservation Area, Conservation Area, Restoration Area, Passive Usable Area, Active Development Area and Settlement Area. So management areas can be matched each management levels to land use of natural park, that is district of preservation, district of natural environment, district of settlements and district of mass facilities. This study have good enough to evaluate ecological value for natural park plan, but, it is difficult to evaluate conservation value only with maps of each evaluation items, so it needs supplementary field survey for precise conservation value evaluation.

계층적 분석기법(AHP)에 의한 제주 돌문화경관자원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 한·중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ortance about Stone Cultural Landscape Resources in Jeju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Method -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China -)

  • 임진강;김동찬;민병욱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6-27
    • /
    • 2017
  • 본 연구는 제주 문화경관 관리방안의 일종으로 돌문화경관자원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그 중요도를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제주의 대표적 돌문화경관에 대해 한 중 전문가를 대상으로 각 자원의 중요 우선순위를 평가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AHP 기법을 사용하였다. 평가기준에 대한 중요도 분석결과, 한 중 전문가 모두 탁월한 보편적 가치(ⅲ_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를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하였다. 그리고 각 평가 기준에 대한 자원의 중요도 및 전체에 대한 종합 중요도에서는 양국 전문가 모두 밭담을 가장 중요한 경관 자원이라고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토자원의 중요도에 관한 비교 및 보전 관리 입장에서의 자원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함으로써 제주경관 관리 측면에서의 정량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며, 제주 돌문화경관자원의 보전 및 문화유산관리 측면에서 기초적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하지만 한중 비교연구로서 세계적 보편적 가치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보며, 이는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사료된다.

도시 중심부 지역의 비오톱 구조분석 및 평가 - 대구광역시 중구 사례지를 중심으로 - (The Evaluation and Analysis of Structure of Biotope of City Center Area - In the case of Daegu district -)

  • 나정화;도후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9-2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database for landscape ecological planning with evaluation and analysis of structure of biotope of city center area for the preservation of species and biotope examining Jung-gu district of Daegu Metropolitan City which is the most extremely and rapidly urbanizing area. The assump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biotope structure of a city center area would be different from the other city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biotope type classification is that there were 11 biotope type groups and 41 detailed biotopes. 2) The primary evaluation is the process for grading general value of classified biotope types, and the result of primary evaluation is that there were 5 biotope types that were greater than third grade besides the biotope type of artificial riverbank with abundant green high water level land. The first grade of biotope type have not appeared in this area, however the fifth grade of biotope type have appeared total of 19 biotope types with the biotope type of the general shopping area with scarce green fields. 3) The secondary evaluation is the process for searching biotopes which are special value, and the result of secondary evaluation is that there were 2 biotopes for la, 7 biotopes for 1b, 2 biotopes for 2a, 1 biotope for 2b and there was no biotope for 2c, and for example, la is the large area that has many magor biotope site in terms of the living space. 4) Finally. scientific method for biotope type classification, the derailed investigation plan of high value biotope and the improvement plan based on the biotope map of city center area must be continued.

주거단지의 환경지속성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중요 평가항목 선정에 관한 연구 (Selectioni of the Important Evaluation Items for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ics of Housing Estate)

  • 박완규;안건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5-23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ortant evaluatio items for developing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ices of housing estate. In this research, the principles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ere established on the concept of ESSD, and twenty-two evaluation items were explored on the basis of questionnaire of experts, the twenty-two items are ranked in order of iportant level and it is a appeared that 'development density' is most iportant evaluation item. In conclusion, twelve important items were selectd; 'development density', 'preservation of natural forest and topography' , 'amount of green area', 'reduction of water pollution','reuse of wastes','garbage discharge','reduction of air pollution','distribution of land use','rainwater infiltraton and preservaton of underground water','site planning for energy saving','separated collection of wastes','access to natural forest andwaters around housing estate'

  • PDF

생태성 평가를 통한 토지매수시스템 개발 - 동강유역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Land Purchase System by Ecological Evaluation - Focusing on the Donggang Basin -)

  • 이란;유항남;주위홍;구본학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45-53
    • /
    • 2020
  • 국제적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및 생물다양성 증진 방안이 대두되면서 국내 정부 및 공공기관에서는 수변구역 등 법정 보호지역 내 생태계를 보전하고 수질개선을 위해 사유지를 매수하여 보전·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매수시스템 체계가 미흡하여 다양한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강유역 생태·경관보전지역을 중심으로 생태성 평가를 통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토지매수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생태성 평가는 필지단위의 평가와 권역별 평가를 통합하여 생태성 평가모형을 개발하고, 생태기능 종합등급을 설정함과 동시에 현장검증을 통해 최종 등급화 하였다. 88필지의 매수토지에 대해 검증한 결과, 85.2%이상의 비교적 높은 일치성을 보였으며 불일치한 필지는 생태성 평가와 현장검증시 계절의 차이로 식생 고사, 경작물 수확 등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매수시스템은 멸종위기종과 핵심생태계에서의 거리를 기준으로 생태성 평가등급에 따라 1순위에서 9순위까지 순위를 선정하였으며, 동강유역 거운리, 문산리, 덕천리, 운치리, 귤암리, 가수리의 사유지를 대상으로 총 68필지에 대해 현장 검증 결과, 5순위까지 매수 우선순위가 체계적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생태평가에 기반한 체계적인 토지매수시스템을 구축 및 제안함으로써 향후 보호지역 내 매수토지의 보전과 복원 및 생태적 관리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목장림 입지 평가기준 설정 연구 (Development of Site Evaluation Criteria for Woodland Burial Grounds)

  • 문창순;이시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2-30
    • /
    • 2019
  • 수목장을 비롯한 자연장에 대한 관심이 증가됨에 따라 국립수목장림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목장림의 입지 선정을 위한 평가요소를 마련하고, 가중치 적용을 통해 수목장림 조성에 도움이 되는 입지 평가기준을 제시하고자 다음과 같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검토해 다른 산림복지시설과 유사한 산림시설, 기타 시설들에 대한 입지선정 검토요소를 분석하여 74개의 예비평가요인을 선정하였다. 이를 토대로 3그룹의 전문가집단(국가 지자체 공공기관 산림복지시설 담당자, 관련분야 연구자, 수목장림 민간 전문가)의 예비평가요인 검토를 거쳐 2개 대분류, 6개 중분류, 22개 소분류의 평가요인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평가요인은 2차 선호도 조사를 위해 계층화 하였다. 먼저 산림환경과 인문환경으로 대분류하고, 각각 3가지 항목으로 중분류 후에 다시 한 번 각각 소분류하여 1차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를 대상으로 AHP를 활용해 계층화된 요인별 중요도 차이를 확인하였다. 평가요인을 활용하여 입지평가 기준표를 마련하고, 각 계층별 중요도를 적용하였다. 이를 후보지에 적용하기 위해 기존에 운영하고 있는 국립수목장림과 선행연구에서 국립수목장림 후보지로 검토하였던 9개소 등 10개소를 대상으로 평가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평가 결과, 울산 울주, 전남 순천, 세종 장군의 순으로 나타났다.

프로젝트 기반 수업으로서의 조경설계 교과목 수업계획서 분석과 개선방안 (Analysis of Syllabi for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Courses as Project-Based Classes and Improvement Strategies)

  • 김아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1-65
    • /
    • 2016
  • 조경교육의 핵심인 설계 교과목의 설계도라고 볼 수 있는 수업계획서는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방법과 효과를 진단할 수 있는 중요한 매체이다.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의 2, 3학년 수준 조경설계 교과목의 수업계획서를 분석하여 설계교육의 현 실태를 진단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수와 학생 사이의 계약서이자 학습활동 과정의 설계도와 학습 도구로서의 수업계획서 기능 제고가 절실하다. 둘째, 수업계획서에서 담아야하는 정보의 양을 늘리고 서술의 구체성을 높여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이해도를 증진시켜야 한다. 셋째, 스튜디오 수업의 특수성을 반영할 수 있는 수업계획서의 세부 항목 개발과 상세한 서술이 필요하며 타 과목과의 관련성 속에서 설계스튜디오의 통합적 측면을 조망해줄 필요가 있다. 넷째, 설계수업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전통적인 텍스트 중심 외의 다양한 수업 매체와 온라인 방식의 도입을 통해 쌍방향 소통 수업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다섯째, 수업계획서 구성 요소들 간의 상호 연관성을 강화해야 한다. 특히 수업목표와 평가기준간의 관련성, 교재 및 참고문헌과 주차별 수업활동과의 관련성이 구체적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공감할 수 있는 평가 기준을 상세하게 제시하고, 다양한 평가 방법을 도입하여 평가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제고해야 한다.

담장의 시각적 선호성 및 이미지 분석 (Analysis on the Visual Preference and Image for the Fence)

  • 정성관;이정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65-78
    • /
    • 1994
  • This study deals with the consciousness and visual preference and image about the fence that is an important factor and a vertical element in the streetscape.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data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s and the photos for the fence scene. 1. The answerers considering the fence had great influence on the beauty of a city were over 80%, also the fence influence good effect on a city was higher than 63%. 2. The answerers prefering the fence materials mixed with inanimate materials and plants was higher than 50%. Also the design offence was regarded to be the most important element when established. 3. While the satisfying factors for the visual preference were peculiarity, abundance and harmony, the dissatisfying factors were commonplaceness, disharmony and isolation(closing). Also the preference factors were the design and material in several elements of the fence. 4. At the part of function, the preferable places were estimated highly as boundary mark, eye interception but in the visual effect were so low. 5. Psychological factor, related to the satisfaction of the fence, had a grip of three factors, evaluation, formation, potentiality, and the presumption formula was: Satisfaction=1.61(Evaluation)+0.30(Formation)+0.55(Potentiality)+6.23(R2=0. 6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