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 bulgaricus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9초

쌀을 이용한 젖산 발효 음료 개발 (A Yogurt Like Product Development from Rice by Lactic Acid Bacteria)

  • 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86-690
    • /
    • 1989
  • 현재까지 젖산 발효 음료는 우유나 혹은 그 관련 제품을 이용하여 제조하였으나 쌀을 액화 혹은 당화시켜 젖산균을 증식시키므로서 기호성 있는 젖산 발효제품 생산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멥쌀을 12시간 침지 후 총 흡수량이 무게비율로 쌀:물이 1:1이 되게 하여 $121^{\circ}C$에서 20분 살균 후 액화 효소인 ${\alpha}-amylase$를 작용시켜 액화한 후 이 액에 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bulgaricus, Lactobacillus plantarum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접종한 후 배양하여 쌀을 이용한 젖산 발효 제품을 얻었다. 제품의 관능검사 결과 최적 pH는 3.7 부근으로 발효시작 후 18시간이 소요되었으며 젖산균은 세 균주를 혼합하는 것이 가장 좋았으나, L. plantarum과 가장 관계가 깊었다. Skim milk는 젖산 발효를 촉진하나 제품의 관능검사 결과 열등하였고 호상보다는 액상(쌀1 : 물3) 제품이 우수하였다.

  • PDF

꽃송이버섯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 및 폴리페놀 함량 변화 (Antioxidant activity and polyphenol content of fermented Sparassis latifolia extracts)

  • 양승화;이용조;김다송;신현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8-274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꽃송이버섯을 4종의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 subsp. plantarum, L. acidophilus, L. helveticus,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을 사용해 발효를 하였다. 발효된 꽃송이버섯 발효물을 항산화 활성(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ydroxy radical scavenging activity), SOD activity, 총 폴리페놀 함량(TPC), HPLC 분석, protease 활성을 동해 발효 전 후 생리활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꽃송이버섯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은 IC50 28.09-64.46 ㎍/mL, SOD 활성은 IC50 15.75-39.42 ㎍/mL, TPC는 57.66-100.43 GAE ㎍/mL 와 85.25-110.68 ㎍/mL 로 확인되었다. 꽃송이버섯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보다 약 8배 이상 증가된 결과로 확인되었다. 또한 꽃송이버섯 발효물의 HPLC 분석 결과는 ascorbic acid, gallic acid, chlorogenic acid의 함량이 높게 확인되었으며, protease 활성 또한 발효물의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Lactobacillus 균주들의 작용에 의하여 꽃송이버섯이 발효되면서 폴리페놀류가 증가하여 생리활성이 꽃송이버섯 추출물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추측된다. Lactobacillus 균중에서 L. helveticus 균주로 발효된 꽃송이버섯 발효물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꽃송이버섯을 발효하는데 있어 L. helveticus 균주가 가장 적합한 균주로 확인되었다.

Development of Probiotic Candies with Optimal Viability by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nd Sequential Quadratic Programming

  • Chen, Kun-Nan;Chen, Ming-Ju;Shiu, Jia-Shi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6호
    • /
    • pp.896-902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create a new probiotic candy with good flavor and healthy benefits by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 and a sequential quadratic programming technique. The endpoint was to increase the varieties of dairy products and enhance their market values. In this study, milk was mixed with yogurt cultures (Lactobacillus bulgaricus, Streptococcus thermophilus) and probiotics (L. paracasei, Bifidobacterium longum) and incubated at $37^{\circ}C$ for 20 h. The samples were blended with lyoprotectants (galactose, skim milk powder and sucrose), freeze dried and then mixed with sweeteners (lactose and xylitol) to improve the texture for forming tablets. The processing conditions were optimized in two steps: the first step constructed a surface model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second step optimized the model with a sequential quadratic programming procedure. Results indicated that skim milk inoculated with L. delbrueckii subsp. Bulgaricus, S. thermophilus, L. paracasei subsp. paracasei and B. longum and blended with 6.9% of galactose, 7.0% of sucrose and 8.0% of skim milk powder would produce a new probiotic candy with the highest viability of probiotics and good flavor. A relatively higher survival of probiotics can be achieved by placing the probiotic candy product in a glass bottle with deoxidant and desiccant at $4^{\circ}C$. These probiotic counts remained at 106-108 CFU/g after being stored for two months.

Sorbitol첨가가 Frozen Yoghurt중 유산균의 생존율과 조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rbitol on the Texture and the Survival of Lactic Acid Bacteria of Frozen Yoghurt)

  • 김응률;김유성;이영건;주지선;이강익;백승천;이종익;유제현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71-84
    • /
    • 1996
  • 본 연구는 sucrose에 비해 저칼로리 물질이며, 동해방지 효과가 더욱 큰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sorbitol을 요구르트 믹스의 sucrose와 1, 2, 3% 대체하여 동결요구르트를 제조시, 조직변화와 -20$^{\circ}$C에서 저장기간에 따른 유산균수 변화를 비교 검토하므로써 sorbitol의 동결요구르트에 대한 이용도를 모색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Yogurt mix배양시 유산균 성장은 모든 균주에 있어서 sorbitol함량이 증가될수록 빠른 것으로 밝혀졌으나, sorbitol이 첨가되지 않은 대조구와 3%의 sorbitol이 첨가된 시료D는 거의 유사하였다. 이것은 균종에 따라 sucrose는 균의 성장촉진효과가 있는 반면, sorbitol은 균의 사멸억제에 효과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되었다. 유산균종간의 -5${\circ}$C 동결시 생존율은 Str. thermophilus는 26.19%${\sim}$34.76%, L. bulgaricus는3.97%${\sim}$5.20%, mixed culture는 17.00%${\sim}$40.87%로 L. bulgaricus가 다른 균종에 비해 가장 낮았으며, 전반적으로 sucrose와 sorbitol의 비율이1:2인 시료 C가 생존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동해방지 측면에서 가장 좋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20${\circ}$C 동결저장시 유산균수 변화는 균종과 동결저장기간에 따라 감소 추세에 있어서 다소의 차이를 보였지만, sorbitol의 동해방지 효과로 인한 유산균의 생존효과가 인정된다고 사료되었다. Lactase activity는 모든 균종과 시료에서 동결직후 급격히 감소된 후에 동결기간 동안에도 서서히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lactase activity의 감소추세는yogurt mix배양, 동결(-5${\circ}$C), 동결저장(-20${\circ}$C) 등의 단계별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지만, 동결 80일 후의 활력은 대부분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처리구간에 점도의 차이는 있지만, sucrose와 sorbitol의 비율이 1:2인 것이 점성면에서는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Frozen yogurt mix의 보수력은 점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p<0.05). Sorbitol함량이 증가될수록 hardness와 cohesiveness는 증가되었지만, elastisity는 감소되었다. 또한 Str. thermophilus는 처리구간에 큰 차이를 보였지만(p<0.05), L. bulgaricus와 mixed culture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 PDF

Optimization of Lactic Acid Fermentation of Prickly Pear Extract

  • Son, Min-Jeong;Lee, Sam-Pi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1호
    • /
    • pp.7-13
    • /
    • 2004
  • Lactic acid fermentation of prickly pear extract (PPE) was performed by Lactobacillus rhamnosus LS,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Lactobacillus brevis. The PPE was pasteurized to eliminate indigenous microorganisms as well as to dissolve the partially insoluble pulp. The PPE fermented without yeast extract by L. rhamnosus LS exhibited 0.57% acidity and 3.5${\times}$10$^{8}$ CFU/mL bacteria count. With the addition of 0.2% edible yeast extract the PPE fermented by L. rhamnosus LS exhibited 1.15% acidity,2.7${\times}$10$^{9}$ CFU/mL bacteria count and 95.0% retention of red color. When 5% fructose syrup was added, the PPE fermented by L. rhamnosus LS had 1.09% acidity, 6.5${\times}$10$^{8}$ CFU/mL, and 97.7% retention of red color. With 1∼3% (w/v) concentrations of starter, the PPE fermented by L. bulgaricus and L. brevis showed 0.97% and 0.65% acidities, respectively. The viable cell counts from L. rhamnosus LS fermentation were higher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LAB. During cold storage at 4$^{\circ}C$, the viable cell count was well maintained for 3 weeks, but then rapidly decreased. The red pigment was highly stable during cold storage for 4 weeks. The pasteurized PPE fortified with 5% fructose syrup, 0.2% yeast extract, and 0.05% CaCO$_3$ was successfully fermented by inoculating with 3% LAB and incubating at 3$0^{\circ}C$ for 2 days. Both viable cell counts and the red color of the fermented PPE were well maintained during cold storage for 3 weeks.

구기자(Lycium chinence Miller) 첨가에 따른 요구르트의 발효 특성과 기능성 (Fermentation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f Yogurt added with Lycium chinence Miller)

  • 배형철;조임식;남명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687-700
    • /
    • 2004
  • 요구르트의 제조 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첨가제로서 구기자, 구기엽 및 지골피를 기질로 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젖산균주에 따른 발효특성을 시험하였고, 각 부위를 첨가한 요구르트의 cholestol 저하 효과 및 병원성 균주의 성장 억제 효과를 시험하였다. 상업용 starter를 사용한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 후 pH가 4.06 이하로 나타나 발효 촉진 효과가 있었고, 산 생성은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elbrueckii ssp. bulgaricus에서 높아 발효촉진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젖산균수는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elbrueckii ssp. bulgaricus를 이용한 구기자 extract 첨가구에서 9시간째 2.62${\times}$$10^9$ cfu/$m\ell$로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다. 유당분해율은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ilbrueckii ssp. bulgaricus를 이용한 구기자, 구기엽, 지골피 extract 처리구에서 36.11%, 37.76% 및 32.70%를 나타내어 높았고, 유기산 생성은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elbrueckii ssp. bulgaricus 균주를 stsrter로 사용한 요구르트의 경우에만 isobutylic acid가 34.39${\sim}$37.72 mM로 높은 유기산을 생성하였다. 점도는 L. acidophilus, B. longum과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를 starter로 사용하였을 때 1,615${\sim}$2,030 cP로서 모든 첨가구에서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고,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가 3.27${\sim}$3.44인데 비하여 구기자와 구기엽 extractffm 첨가한 요구르트의 관능검사 결과는 1.77${\sim}$2.58로서 상당히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지골피 extract 첨가구에서 L. casei와 L. acidophilus. B. longum 및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를 starter로 사용한 요구르트 기호도의 경우는 3.34${\sim}$3.77로 나타나 기호성이 좋았다. 구기자, 구기엽 및 지골피 extract 첨가에 의한 cholesterol 저하 효과는 인체 유래의 각 젖산균과 상업용 starter 균주를 이용한 모든 처리구에서 17.38${\sim}$32.08%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 중 L. acidophilus KCTC315.와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BU27 젖산균은 25.75${\sim}$32.08%의 높은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보였다. 구기자, 구기엽 및 지골피 extract 첨가 요구르트의 식중독 유발 살모넬라 균주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는 S. typhimurium M-15 균주에서 약간의 억제 효과를 보였고, 설사와 식중독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장균 중 E. coli KCTC1021와 리스테리아증을 유발하는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높은 성장 억제 효과를 보여 구기자, 구기엽, 지골피를 기질로 한 요구르트가 살모렐라, 대장균 및 리스테리아 유발 병원성 균주에 대한 탁월한 억제 효과가 있었다.

미생물을 이용한 후발효차의 발효기간별 화학성분 변화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of Fermented Tea during Fermentation Period)

  • 김용식;최구희;이경행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2호
    • /
    • pp.1807-1813
    • /
    • 2010
  • 안전성이 확보된 후발효차를 제조하기 위해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및 Lactobacillus bulgaricus를 이용하여 후발효차를 제조한 후 발효 시간에 따른 화학성분의 변화와 관능적 기호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발효 진행 정도에 따른 색상변화에서는 lightness는 감소하고 redness와 yellowness는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B. subtilis에 의한 후발효차 제조 시 가장 많은 수색의 변화를 보였다. Chlorophyll의 함량변화에서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균종에 관계없이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총 카테킨의 함량변화에서는 B. subtilis균의 발효에 의하여 카테킨의 함량이 가장 많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효기간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L. bulgaricus균에 의한 발효에서는 카테킨의 함량은 감소하지 않았다. Caffeine 함량변화에서는 모든 발효차에서 발효전의 함량보다는 다소 감소하였지만 많은 함량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효기간별 관능검사 결과에서는 색, 향, 맛 및 종합적 기호도 모두 B. subtilis를 이용한 후발효차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정제에 의한 젖산균 및 효모를 이용한 전통 안동식혜의 저장 (Effects of Stabilizer on the Storage of Andong sikhe using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 김성;손준호;조국영;손규목;최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394-1398
    • /
    • 1998
  • L. bulgaricus LBS 47과 S. serevisiae SCS 5를 접종하여 전통안동식혜를 발효 후 저장하는 동안에 안정제에 의한 침전억제 효과는 Na-Alginate가 가장 우수하였다. 침전 안정제를 넣어서 관능 검사를 한 결과 균질화 하지 않은 식혜의 경우는 Na-alginate는 0.1에서 0.15% 처리했을 때 Carrageenan은 0.05% 첨가했을 때 가장 맛이 우수하였으며 식품 안정제의 종류 및 첨가 농도간의 상호 효과는 침전 안정제의 종류간에는 통계적 유의성이 없으나 첨가 농도간에는 유의성이 있었다. 식혜의 현탁안정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안정제를 첨가하여 숙성시켰을 때 CMC, Na-alginate은 2일째 carrageenan은 비균질화 식혜는 2일에서 4일째 균질화한 식혜는 1일째 최고의 점도를 나타내었다.

  • PDF

유산균(乳酸菌) 성장(成長)에 미치는 어육단백질분해물(魚肉蛋白質分解物)의 영향(影響) (Effect of the Fish Meat Hydrolysate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이은보;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20-132
    • /
    • 1984
  • 어육단백분해물(魚肉蛋白分解物)이 Starter로써 이용(利用)되는 Str. lactis, Str. thermophilus, L. bulgaricus, L. acidophilus, L. helveticus 등의 유산균(乳酸菌)에 미치는 성장(成長) 촉진효과(促進效果)를 규명(糾明)하기 위하여 어육단백질(魚肉蛋白質) 분해시(分解時)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을 검토(儉討)하고 분해물(分解物) 첨가시(添加時)의 유산균(乳酸菌)의 산생성도(酸生成度), pH 및 유산생균수(乳酸生菌數)의 변화(變化) 등을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ancreatin으로 고등어 배육(背肉)을 가수분해(加水分解)시킬때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은 $50^{\circ}C$의 분해온도(分解溫度), pH 8, 48시간(時間) 처리(處理)와 어육(魚肉)의 단백질량(蛋白質量)에 대(對)하여 6%의 효소농도(酵素濃度)였다. 2. 조제(調製)된 어육단백분해물(魚肉蛋白分解物)의 조성(組成)은 수분(水分)53.6%, 단백질(蛋白質) 32.4%, 지방(脂肪) 1.0%, 회분(灰分) 3.2%, 탄수화물(炭水化物) 10.7%였다. 3. Str. lactis와 Str. thermophilus는 어육단백분해물(魚肉蛋白分解物)이 0.1%, L. acidophilus와 L. helveticus는 0.2% 이상(以上) 첨가(添加)된 배지(培地)에서 유산산도(乳酸酸度)가 크게 증가(增加)되었으나 L. bulgaricus의 경우에는 뚜렷한 효과(效果)를 보이지 않았다. 4. Str. lactis와 Str. thermophi1us는 어육단백분해물(魚肉蛋白分解物)을 0.1% 이상(以上) 첨가(添加)하였을 때 배지(培地) pH가 뚜렷하게 저하(低下)되었으나 L. bulgarilus, L. helveticus와 L. acidophilus는 어육단백분해물(魚肉蛋白分解物)을 첨가(添加)하여도 pH의 변화(變化)가 별로 없었다. 5. 모든 공시유산균주(供試乳酸菌株)는 어육단백분해물(魚肉蛋白分解物)의 첨가농도(添加濃度)에 비례(比例)하여 생균수(生菌數)가 증가(增加)하였다.

  • PDF

육종 균주에 의한 치즈의 지방산 성분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 of Fatty Acid in Cheese Ripening by New Development of Lactic Acid Bacteria)

  • 송재철;김정순;박현정;신완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1068-1076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lucidate the utility of fusant for shortening the ripening time of imitation processed cheese. L. bulgaricus exhibited the highest protease and lactase activity and L. helveticus revealed the highest lipase activity. Fusant was shown to be high in the activity of protease and lactase. The total volatile free fatty acid produced by the cheese treated with L. helveticus was markedly increased after four ripening days and was gently increased after nine ripening days. However, L. bulgaricu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otal volatile free fatty acid between four and nine ripening days. In the case of fusant, the amount of total volatile free fatty acid was observed to increase at a constant rate relative to the ripening time. In free fatty acid production at different ripening times, L. bulfaricus generated caproic acid and caprilic acid abundantly while it produced a poor quantity of capric acid, lauric acid, and myristic acid. In the cheese sample treated with L. helveticus, the amount of caproic acid and capylic acid was on increase as the ripening time increased. The amount of caproic acid and caprylic acid produced by fusant was less than that produced by the other two starters. In the panel sensory evaluation, the flavor intensity and preference increased as the ripening time increased. The cheese sample treated with fusant showed the highest flavor intensity at 7 days, whereas cheese treated with L. helveticus exhibited the highest flavor intensity at 15 or 30 days. The cheese treated with L. helveticus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at 7 days, but cheese treated with fusant exhibited the highest preference at 30 day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