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ermentation Properties and Functionality of Yogurt added with Lycium chinence Miller

구기자(Lycium chinence Miller) 첨가에 따른 요구르트의 발효 특성과 기능성

  • Bae, H,C. (Division of Animal Science &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Cho, I.S. (Chungnam Agri. Res. & Ext. Services) ;
  • Nam, M.S. (Division of Animal Science & Resources,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배형철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학부) ;
  • 조임식 (충청남도 농업기술원) ;
  • 남명수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학부)
  • Published : 2004.08.3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fennentation properties of yogurts with or without Lyeii fructus, Lyeii folium and Lyeii cortex extract as additives at concentrations of 1.0%. The effects on promoting the fermentation by Lycii fructus, Lycii folium and Lycii cortex additives were higher and pH was below 4.06 when Streptococcus salivarius ssp. thermophilus and Lactobacillus delbrueckii ssp. bulgaricus, Lactobacillus cosei,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 Bifidobacterium longum and Streptococcus salivarius ssp. thermophilus were used. The acid production was higher when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 and L. delbrueckii ssp. bulgaricw were used. The average lactic acid bacteria counts was 2.62 ${\times}$ $10^9$ cfu/ml in the yogurt added with Lycii fructus extract and fermentation with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 and L. delbrueckii ssp. bulgaricw. The lactose hydrolysis ratio was higher in the milk added with Lycii fructus extract(36.11%), Lycii folium extract(37.76%) and Lycii cortex extract(32.70%) when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 and L. delbrueckii ssp. bulgaricus were used. The isobutylic acid concentration was(34.39 to 37.72 mM) with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 and L. delbrueckii ssp. bulgaricus. The viscosity of yogurt was 1,615 to 2,030 cP in yogurts added with skim milk and L. acidophilus; B. longum and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 were used. The sensory scores of colors, tastes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yogurt with Lycii cortex extract were shown 3.34 to 3.77 when fermented by L. cosei, L. acidophilus, B. longum and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 The cholesterol reducing effects were 17.38${\sim}$32.08% in all the yogurts and especially, greater effect(25.75 to 32.08%) for yogurts fermented with L. acidophilus KCTC3150 and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NU27. The inhibitory effects on the pathogenic bacteria by lactic acid bacteria added with Lycii fructus, Lycii folium and Lyeii cortex lower on S. typhimurium M-15, but higher on E. coli KCTC1021 and L. monocytogenes.

요구르트의 제조 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한 첨가제로서 구기자, 구기엽 및 지골피를 기질로 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젖산균주에 따른 발효특성을 시험하였고, 각 부위를 첨가한 요구르트의 cholestol 저하 효과 및 병원성 균주의 성장 억제 효과를 시험하였다. 상업용 starter를 사용한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 후 pH가 4.06 이하로 나타나 발효 촉진 효과가 있었고, 산 생성은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elbrueckii ssp. bulgaricus에서 높아 발효촉진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젖산균수는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elbrueckii ssp. bulgaricus를 이용한 구기자 extract 첨가구에서 9시간째 2.62${\times}$$10^9$ cfu/$m\ell$로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다. 유당분해율은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ilbrueckii ssp. bulgaricus를 이용한 구기자, 구기엽, 지골피 extract 처리구에서 36.11%, 37.76% 및 32.70%를 나타내어 높았고, 유기산 생성은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와 L. delbrueckii ssp. bulgaricus 균주를 stsrter로 사용한 요구르트의 경우에만 isobutylic acid가 34.39${\sim}$37.72 mM로 높은 유기산을 생성하였다. 점도는 L. acidophilus, B. longum과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를 starter로 사용하였을 때 1,615${\sim}$2,030 cP로서 모든 첨가구에서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고, 관능검사 결과 대조구가 3.27${\sim}$3.44인데 비하여 구기자와 구기엽 extractffm 첨가한 요구르트의 관능검사 결과는 1.77${\sim}$2.58로서 상당히 낮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지골피 extract 첨가구에서 L. casei와 L. acidophilus. B. longum 및 S. salivarius ssp. thermophilus를 starter로 사용한 요구르트 기호도의 경우는 3.34${\sim}$3.77로 나타나 기호성이 좋았다. 구기자, 구기엽 및 지골피 extract 첨가에 의한 cholesterol 저하 효과는 인체 유래의 각 젖산균과 상업용 starter 균주를 이용한 모든 처리구에서 17.38${\sim}$32.08%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 중 L. acidophilus KCTC315.와 L. salivarius subsp. salivarius CBU27 젖산균은 25.75${\sim}$32.08%의 높은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보였다. 구기자, 구기엽 및 지골피 extract 첨가 요구르트의 식중독 유발 살모넬라 균주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는 S. typhimurium M-15 균주에서 약간의 억제 효과를 보였고, 설사와 식중독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대장균 중 E. coli KCTC1021와 리스테리아증을 유발하는 L. monocytogenes에 대해서는 높은 성장 억제 효과를 보여 구기자, 구기엽, 지골피를 기질로 한 요구르트가 살모렐라, 대장균 및 리스테리아 유발 병원성 균주에 대한 탁월한 억제 효과가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Bae, H. C., Nam, M. S. and Lee, J. Y. 2002. Probiotic characterization of acid and bile-tolerant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varius from human faeces. Asian-Aust. J. Anim. Sci. 15:1798-1807. https://doi.org/10.5713/ajas.2002.1798
  2. Deeth, H. C. and Tamine, A. Y. 1981. Yogurt nutritive and therapeutic aspects. J. Food Protect. 44:78-86. https://doi.org/10.4315/0362-028X-44.1.78
  3. Gilliland, S. E., Nelsoo, C. and Maxwell, C. 1985. Assimilatioo of cholesterol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Appl. Environ. Microbiol. 49:377-381.
  4. Noh, D.O., Kim, S. H and Gilliland, S. E. 1997. Incorporation of cholesterol into cellular membrane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TCC 43121. J. Dairy Sci. 80:3107-3113.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97)76281-7
  5. Rudel, L. L. and Morris, M. D. 1973.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using o-phtalaldehyde. J. Lipid Res. 14:364-366.
  6. Shahani, K. M. and Ayebo, A. D. 1980. Role of dietary Lactobacillie in gastrointestinal microecology. Amer. J. Clin. Nutr. 33:2448-2457. https://doi.org/10.1093/ajcn/33.11.2448
  7. Shahani, K. M. and Chandan, R. C. 1979. Nutritional and healthful aspects of cultured and culture containing dairy foods. J. Dairy Sci. 62:1685-1694. https://doi.org/10.3168/jds.S0022-0302(79)83481-5
  8. Speck, M. L. and Katz. R L. 1980. ACDPI Status Paper: Nutritive and health values of cultured dairy foods. Cultured Dairy Products J. 15:10-12.
  9. Tagg, J. R. and McGiven, A. R 1971. Assay systems for bacteriocins. App. Microbiol. 21:943-945.
  10. 강국희, 이수원, 백영진, 강영찬, 윤영호, 김기원. 1977. Lactobacillus casei YIT 9018로 제조한 발효유음료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사멸효과. 19:227-233.
  11. 고준수, 권일경, 안종건, 윤영호. 1987. Bifid-obacteria에 의한 우유발효와 유산박테리아를 이용한 Bifdobacterium bifdum ATCC 11863의 이용성증진에 관한 연구. 한국낙농학회지. 9:211-2191.
  12. 김경희, 고영태. 1993. 우유와 곡류를 이용한 요구르트 제조. 한국식품과학회지. 25:130-135.
  13. 서화중, 전성주, 이명렬. 1986. 구기자추출물이 가토의 실험적 간장 장애 및 alloxon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5:136-143.
  14. 신용서, 성현주, 김동한, 이갑상. 1994. 감자를 첨가한 요구르트 제조와 특성. 한국식품과학회지. 26:266-271.
  15. 신용서, 이갑상., 이정성, 이철호. 1995. Aloe vera첨가된 요구르트의 제조와 그 품질 특성. 24:254-260.
  16. 송길수, 이강익, 백승천, 유제현. 1992. 홍삼 extract를 첨가한 drinking yogurt 제조시 풍미에 관한 연구. 한국낙농학회지. 14:59-69.
  17. 임상동, 김기성, 김희수, 최인욱, 박윤경. 1997. 한약재가 젖산균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 원육, 구기자, 황정 열수추출물이 젖산균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낙농학회지. 19:329-336.
  18. 전혜성, 최양규, 원영석, 현병화, 김종우. 1999. 유산균 투여가 마우스의 Salmonella 균 감염에 미치는 영향. 한국낙농학회지. 21:171-182.
  19. 조임식, 배형철, 남명수. 2003. 구기자, 구기염 및 지골피를 첨가한 요구르트의 발효 특성.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3:250-261.

Cited by

  1. Effect of Lycii Fructus Powder Additions on Chicken Breast Jerky Quality vol.26, pp.3, 2017, https://doi.org/10.5934/kjhe.2017.26.3.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