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scientific community

검색결과 322건 처리시간 0.024초

지역사회 기반 참여연구 방법론 (The Methodology of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 정민수;정유경;장사랑;조병희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3-104
    • /
    • 2008
  • Objectives: 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BPR) is a kind of health promotion approach to increase social cohesion and sense of community, which has built the collaborated partnership in all phases. This has the co-ownership of research objectives and knowledges produced by residents, and the outcome was taken to enhance community empowerment. This study performed to embody CBPR, which had regulated collective health status approached by social epidemiology. Methods: Reference review had been exercised focused on CBPR books and papers published since 1990. Our interests were aimed at its paradigm and methodological issues. Particularly, we problematized its feasibility in the social and behavioral foundations of pubic health. Results: According to the review, CBPR shared critical understanding and decision-making related to their community development including health status. Therefore, it was strength-based approach in spite of scientific dichotomy. CBPR created social cohesion and community empowerment with all participants, because it sublated contradiction between subjectivism and objectivism. Conclusions: The success of CBPR needs what we so called trust, democracy, collaboration, devotion, and consensus of equity. Despite these factors, CBPR may be a methodological transition to prepare some intervention of health inequality. This is because it does emphasize a mixture of theory and praxis to manage vulnerable people in community.

백령도 해조군집의 종조성과 생물량 (The Macroalgal Community of Bagryoungdo Island in Korea)

  • 백재민;황미숙;이재완;이욱재;김종인
    • ALGAE
    • /
    • 제22권2호
    • /
    • pp.117-123
    • /
    • 2007
  • The seasonal change of algal flora and intertidal community structures of Bagryoungdo Island was investigated at Dumujin from February to November 2006. The description of subtidal algal community was made in October by Scientific SCUBA-diving. The total of 43 species, including 6 Chlorophytes, 6 Phaeophytes, 29 Rhodophytes and 2 sea grasses were identified in this survey. The occurrence of species according to season, listed as follows, 26 species in winter, 34 in spring, 18 in summer and 18 in autumn. Three species, Laminaria japonica, Neorhodomela aculeata and Ulva pertusa were dominant. The algal zonation of intertidal zone was figured out by Porphyra spp., Gloiopeltis furcata, Caulacanthus okamurae, Gelidium divaricatum - Neorhodomela aculeata, Enteromorpha compressa - Ulva pertusa, Dumontia simplex, Laminaria japonica from upper to lower zone. The zonation of subtidal zone was figured out by Ulva pertusa - Laminaria japonica - Zostera marina (sea grass), crustacean red algal population in autumn. The average of biomass of macroalgae was measured as 119.4 g∙dry wt/m2.

The UNESCO Action Plan and 2030 Agenda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for Climate Change

  • Thriveni, Thenepalli;Ramakrishna, Chilakala;Habte, Lulit;Ahn, Ji Whan
    • 에너지공학
    • /
    • 제27권2호
    • /
    • pp.89-94
    • /
    • 2018
  • UNESCO is an international specialized agency based on the United Nations (UN) located in the Paris.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abbreviated as UNESCO. The mission and goal of UNESCO are to maintain the peace and security throughout the globe by encouraging international collaborations through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heritage in order to increase respect for principals of justice, international rules of law, and international human rights. Recently, the UNESCO published a new set of 17 goals for the nation's sustainable society. The Organization ensures to actively participate in UN activities to improve harmony and planning within the United Nations system. The 2030 agenda is primarily about shifting the world on to a sustainable and most in-depth. Currently, UNESCO launched broad goals and objectives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MDGs). Among these sustainable goals, climate change, water security is more significant. In this paper, we briefly reviewed the seventeen goals by UNESCO.

자연환경과 건강증진에 관한 새로운 패러다임에 관한 고찰 (A New Paradigm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Health)

  • 이주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341-1348
    • /
    • 2016
  • The natural environment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ecological sustainability, but also in human health. Growing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health benefits of natural environments with increasing scientific evidence in this field. Urban green space has positive effects on individual and community health; thus, it is considered as social infrastructure. The natural environment promotes mental health by relieving psychological stress and depression. Physical health can be improved by experiencing nature, which reduces physiological stress and boosts the immune system. Several international initiatives have been undertaken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in this field and to utilize these benefits for health promotion.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are needed to promote human health through the natural environment in the fields of science, education, planning and policy.

Transient Alert Message Processing System for the LSST era

  • Shin, Min-Su
    • 천문학회보
    • /
    • 제44권1호
    • /
    • pp.71.2-71.2
    • /
    • 2019
  • We have developed and tested a prototype system to process transient alert messages from the currently working facilities such as Gaia and GCN notices. Our experiments with the prototype focus on developing a platform that can be used in the LSST era with about 10 million alerts per night and helping Korean community members with the automated processing environment to provide auxiliary information for every alert message. The system consists of a message broker implemented by Redis and multiple message subscribers specialized for specific scientific interests. The current implementation of the entire system allows new Korean members to adopt their own processing chains receiving the messages from our local broker. We welcome experimental ideas and opinions from the Korean community about the current message processing system. We plan to test the current system with the ZTF alerts in the near future.

  • PDF

표절 방지에 관한 최근 정보 (Recent Information on the Plagiarism Prevention)

  • 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5권1호
    • /
    • pp.71-76
    • /
    • 2011
  • 연구윤리(혹은 연구진실성)는 과학 사회의 건강성을 유지시키는 역할 때문에 학계, 정부는 물론 과학계에 종사하지 않는 일반인들로부터 주목 받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연구부정인 표절을 다룬 유용한 논문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연구 결과는 독창성(originality), 정확성(accuracy), 재현성(reproducibility), 정밀성(precision) 그리고 연구윤리(research ethics)가 보장되어야 한다. 표절의 정의는 "적절한 언급이나 인정 없이 다른 사람의 말이나 글, 또는 아이디어를 도용하는 것이다." 표절은 간혹 데이터의 위조와 변조보다는 경미한 연구부정으로 고려되기도 하지만, 본질적으로 그 속성은 지적 산물의 절도에 해당한다. 표절은 논문 출판 단계에만 국한해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연구제안과 연구수행 그리고 종설 논문 작성과정으로 확장될 수 있다. 표절의 정의를 확대하면, 중복 출판은 자기표절로 간주할 수 있다. 표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과학 사회 모든 구성원들의 정직한 노력이 요구된다. 먼저, 연구자들은 자신들의 과학적인 작업수행에 있어서 투명성(transparency)과 진실성 내지 고결성(integrity)을 유지해야 한다. 편집위원회 구성원들과 심사자들은 임무 수행과정에서 공평함과 충분한 자격을 유지해야 한다. 정부와 연구 재단들은 과학 사회에 표절 방지를 위한 재정적, 정책적 지원을 아낌없이 해야 한다. 향상된 편집 서비스, 표절 방지 프로그램 활용, 그리고 정직한 과학논문을 쓰는 방법에 대한 철저한 교육은 과학 사회의 건전한 기반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Current Operations and Future Plans of K-GMT Science Group (KGSG)

  • Hwang, Narae;Lee, Jae-Joon;Lee, Joon Hyeop;Park, Byeong-Gon;Lim, Youn Ju
    • 천문학회보
    • /
    • 제38권2호
    • /
    • pp.81.2-81.2
    • /
    • 2013
  • K-GMT Science Group (KGSG) is in charge of overall science operations with an aim to promote scientific activities of Korean Astronomical Community for the GMT era in 2020. KGSG is currently running and/or promoting K-GMT Science Program, K-GMT Science White Paper Initiative, and K-GMT Summer School for Young Researchers. KGSG is also planning to join several international survey projects such as SDSS IV and LSST. We will introduce the current status on various operations and the future plan for KGSG to the community members.

  • PDF

과학적 사고의 걸림돌 동기기반추론 -과학기술 분야 학문후속세대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Motivated Reasoning as Obstacle of Scientific Thinking: Focus on the Cases of Next-Generation Researcher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 신세인;이준기;하민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35-647
    • /
    • 2018
  • 동기기반추론은 원하는 특정한 결과나 목표를 성취하고자 하는 동기에 영향을 받아 이루어지는 편향된 추론을 의미한다.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사고 발달을 저해하는 동기기반추론 대한 이론적 연구를 시도하고, 실제 국내 과학기술 분야의 학문후속세대들이 경험한 동기 기반추론의 실제적 맥락에 대하여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이를 위해 문헌연구에서는 동기기반추론의 심리학적 특성과 과학적 사고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국내 과학기술 분야 대학원생 8인과 신진 연구원 1인과의 심층 면담을 토대로 실제 과학기술 분야에서 나타나는 동기기반추론의 의미와 맥락을 파악하고자 했다. 문헌 분석 결과 동기기반추론은 개인적 수준에서 과학적 사고의 핵심인 이론과 자료의 적절한 조정 과정을 방해하며 과학적 지식 구성의 고착을 가져올 수 있으며, 사회문화적 수준에서 특정 사회문화적 신념이나 목적에 의해 과학이 이용되는 기작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과학적 사고를 기반으로 한 과학기술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실제 국내의 과학기술 분야의 학문후속세대들이 경험했던 동기기반추론 사례를 살펴본 결과, 기존의 신념 보호, 성급한 결론 추구, 사회문화적 신념 보호, 집단의 의사결정을 합리화를 통해 동기기반추론이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학기술 학문후속세대들의 동기기반추론은 이들이 보다 이론과 증거의 적절한 조정을 통해 타당한 과학기술 지식을 구성하는데 있어 걸림돌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과학적 사고 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열간가압 소결법에 의한 Y1Ba2Cu3Ox 초전도체의 제조 (Fabrication of Y1Ba2Cu3Ox Superconductor by Hot-pressing)

  • 하정수;한경섭;이준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02-604
    • /
    • 1987
  • The high TcY1Ba2Cu3Ox superconductor has recently gained widespread interest in the scientific community. The principal problems at the present time are how to densify this material and how to raise the critical current density. To date the majority of samples have had densities of 90%(of theoretical) or less. In this study we report that we obtained density of 96% by Hot-Pressing method.

  • PDF

과학탐구공동체 제안을 위한 사회과학적 학습 자료로서 자연사박물관 전시의 교육적 잠재성 탐색: 지진 주제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the Exhibits in Natural History Museums as Socioscientific Learning Materials in the Context of Proposing Science Inquiry Communities: Earthquake Topic)

  • 이선경;신명경;김찬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506-519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과학탐구공동체 구성을 위한 잠재적인 학습 자료로서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물의 교육적 잠재성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과학 탐구공동체는 과학적 지식의 습득과 과학 방법의 학습으로 연결되는 과학실습의 한 형태로 제안하였다. 공동체 학습은 주변에서 접하게 되는 과학-기술-사회적인 이슈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자연사 박물관 전시가 이러한 사회과학적인 이슈들을 포함하고 있다면 이는 자연사박물관의 과학탐구공동체로의 가능성에 대해 고려해 볼 수 있음을 전제로 하였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자연사박물관 전시의 사회과학적 학습 자료 잠재성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과학적 소재로서 적용 가능한 지진' 학습의 과학탐구공동체 구현을 위해, 첫째 미국 뉴욕시의 미국 자연사박물관과 워싱턴 D.C.의 스미소니언 미국국립자연사박물관의 지진 관련 전시물과 지구과학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두 박물관의 관계자와 인터뷰하여 이와 관련한 박물관의 교육적 의도와 노력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과학탐구공동체 구현을 위한 주제와 관련된 자연사 박물관 전시물의 특징을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조사한 박물관의 전시는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사회과학적 소재인 '지진'의 다양하고 실제적인 사례와 사건에 관한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었다. 대상 박물관은 지역적 흥미와 사회과학적 이슈와의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박물관의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고자 했음을 알았다. 지진이란 주제를 관람객에게 적절하도록 하기 위해 전시특성에 있어 원자료나 상호작용적 매체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경험의 전달을 강조되고 있음을 알아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