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KLoSA)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6초

여가활동이 노인의 우울경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 of Leisure Time Activities on Depression among Elderly)

  • 조인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269-282
    • /
    • 2020
  • 본 연구는 고령자연구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노인들의 신체적 운동과 사회적 네트워크 참여가 우울증상 경험 가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는 로지스틱 모형을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광범위한 통제변수들을 분석모형에 포함시켜 누락변수편이를 최소화 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여가활동 방식이 우울에 미치는 복합적인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실증분석 결과는 신체적 운동과 사회적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인은 그렇지 않는 노인들에 비해 우울증을 경험할 가능성이 더 낮음을 보인다. 본 연구는 신체적 운동이나 사회적 네트워크가 노인들의 정신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여가활동이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연구에 기반을 제공한다.

고령은퇴자의 사회적 관계망과 은퇴만족도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s and Retirement Satisfaction of Old Retirees)

  • 정순둘;문진영;김성원
    • 한국노년학
    • /
    • 제30권4호
    • /
    • pp.1145-116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은퇴자의 다양한 측면의 사회적 관계망이 은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고령은퇴자의 은퇴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에 사용한 데이터는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전국 데이터인 한국 고령화연구패널조사(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이하 KLoSA) 2006년도 제1차 기본조사 데이터이다. 조사 참여자 중 65세 이상의 노인 가운데 대도시 및 중소도시에 거주하고, 은퇴만족도 질문에 응답한 1,0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방법을 실시하여 이루어졌으며, 다양한 사회적 관계망과 기타 변수들이 은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사회적 관계망 중 자녀와의 접촉빈도와 사회활동 참여 개수 그리고 자녀와의 관계만족도가 은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타 변수에서 성별, 주관적 건강상태, 은퇴 형태, 은퇴 경과 기간이 은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앞으로 고령은퇴자를 위한 예방적 차원의 은퇴 준비 프로그램 제공과 고령은퇴자의 가족 자원 활용 및 사회활동 참여 기회의 장을 확대하는 등 제도적 기반 마련과 지역사회와의 연계의 필요성을 시사해 주고 있다고 하겠다.

노인의 무릎통증과 인지기능 간 영향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성별, 연령, 학력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nee Pain and Cognitive Functions in Older Adults: Focusing on Group differences by Gender, Age, and Educational Attainment)

  • 주미라;강창현;육경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207-218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의 무릎통증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신체와 심리적 기제 간의 융합연구로 노인 인구의 성별, 연령, 학력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확인하여 치매의 위험예측 요인인 인지기능개선에 연구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2020년 제8차 고령화연구패널(KLoSA) 자료이며, Process macro, model 4번을 활용해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울은 무릎통증과 인지기능 간 영향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갖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우울의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직접효과는 남성노인이 여성노인의 두 배이며, 간접효과는 성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에 따른 우울의 매개효과는 후기노인 집단이 전기노인 집단에 비해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력 구분에 따른 우울의 매개효과는 대학교 졸업 이상 집단의 경우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3개 하위 집단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검증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인지기능 개선을 위해서는 무릎통증과 우울관리에 대한 성별, 연령, 학력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적극적 개입 전략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당뇨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the Health Promotion Behavior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with Diabetes - A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김동배;채수진;조완기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101-116
    • /
    • 2009
  • 본 연구는 당뇨노인의 질병과 관련한 행동과 정서에 초점을 두고, 바람직한 생활행동양식으로 제시되는 건강증진행위와 부정적 감정상태인 우울이 당뇨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2006년 전국조사를 통해 수집된 한국 고령화 연구 패널조사(KLoSA :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를 이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전문의에게 당뇨병 진단을 받았다고 응답한 60세 이상의 노인 685명이다. 연구방법은 대상자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한 빈도분석과 변인 간 가설검증을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당뇨노인의 건강증진행위는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되었고, 당뇨노인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만족도에서 우울변인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우울 변인의 부분매개효과 검증은, 당뇨노인에게 건강증진행위를 통해 삶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다는 직접적인 경로와 함께, 건강증진행위가 우울이라는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고, 우울의 감소를 통해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간접적 경로를 검증해 주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당뇨노인의 삶의 질을 설명함에 있어서 질병과 관련된 신체 행위, 또는 심리적 접근이라는 단선적 관계를 벗어나 질병관리와 정서를 함께 고려함으로써 당뇨노인에 대해 개입하는 다양한 건강전문가들에게 통합적 개입의 중요성을 제시한다는데 의의를 가진다.

중고령층 자영업 이탈 요인 분석: 자영업 이탈 이유를 중심으로 (A Study on Determinants of the Elderly's Self-employment Exits - Focusing on why they exit from their owned business)

  • 문상균;박세정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3호
    • /
    • pp.1-31
    • /
    • 2020
  • 본 연구는 중고령층 자영업 이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자영업 이탈 이유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고령화 연구 패널(KLoSA)의 1~6차 및 직업력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영업 이탈 이유 중 경영상 어려움으로 인해 이탈한 집단이 다른 이유로 이탈한 집단보다 경제적 어려움에 처할 가능성이 큼에 따라 이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모형으로는 경영상 어려움으로 인한 이탈만을 실패로 정의하는 경쟁위험회귀모형(competing risk regression models)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자영업 이탈 요인으로 알려졌던 성별, 연령, 학력 변수의 유의성이 사라졌다. 반면 동종 산업 경력이 자영업 이탈 위험률을 낮추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경제적 어려움과 실업에 직면할 위험이 큰 자영업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동종 산업 내 경력이 부족한 채로 자영업을 시작하는 중고령층을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제시할 수 있다.

  • PDF

사회경제적 변인이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 여가참여의 매개효과-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the Elderly's Satisfaction with Life -Mediating Effect of the Elderly's Leisure Participation-)

  • 전명숙;태명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23-33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사회경제적 변인이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의 노인 여가참여의 매개효과를 구체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는데 있었다. 한국노동연구원의 2012년 "한국고령화 연구패널조사(KLoSA)" 4차 조사에 참여한 총 7,486명의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경제적 변인인 교육수준, 가구 총소득, 순자산이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 노인의 경우 교육수준, 가구 총소득, 순자산이 높을수록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었다. 둘째, 노인의 사회경제적 변인인 교육수준, 가구 총소득, 순자산이 노인의 여가참여라는 매개변수의 효과를 통해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영향을 미쳐, 노인의 경우 교육수준, 가구 총소득, 순자산이 높을수록 여가참여 수준이 높아지고 그로 인해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었다.

건강검진 수검의 결정요인 및 건강증진행위 변화 효과 (Determinants of health screening and its effects on health behaviors)

  • 여지영;정형선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9-64
    • /
    • 2012
  • With the burden of chronic diseases mounting among the population as a result of its aging, the importance of health examination is being stressed in order to identify and manage diseases in the early stage. Health examination in Korea is divided largely into periodic health examination provided as a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and individual physical checkups. The advantages of the former include little economic burden on the examined and those of the latter include the freedom of the individual to select various examination headings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s. With both examinations now being expanded, empirical analyses from various standpoints are needed. This study proposes to analyze traits of the examined and non-examined as shown in the facts and figures of the 1st and 2nd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thereby make the determinant factors clear leading to the acceptance of the examinations, and analyze the effects of the examinations upon maintaining or moving to healthy lifestyle. It was confirmed that demographic features such as gender and age, socioeconomic features such as the level of education, place of residence and household income, physical and mental state of health such as chronic disease and dementia, and daily living habits a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whether to accept physical examination. It is also confirmed that physical examination leads to non-smoking, regular physical exercises and regular dietary habits. It is suggested that, to enhance effects of health examinations, follow-up management programs making use of results of health examinations be further expanded, and the national health screening program be more actively put into operation for the bracket lying in the blind spot of the program.

기혼자녀와의 거주근접성과 부모의 정신 및 신체건강 (Intergenerational Residential Proximity and Older Parents' Mental and Physical Health)

  • 남보람;최희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4권6호
    • /
    • pp.69-85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bidirectional associations between intergenerational residential proximity and older parents' mental and physical health. The data were drawn from first three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2006, 2008, 2010),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adults 45 years or older and their spouses. The analytic sample consisted of 2,391 parents aged 60 years or older with at least one child who were continuously married between 2006 and 2010. Intergenerational residential proximity was measured with travel time between parental residence and that of the oldest of the continuously married children. For statistical analysis,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s were estimated using AMOS. Findings suggest that intergenerational residential proximity may have bidirectional associations with functional health, and an unidirectional association with life satisfaction. Specifically, a closer distance to a married son or daughter reported in 2006 was associated with poorer functional health of the parent in 2008. An older parent's greater number of functional limitations in 2006 was also related to a closer residential proximity to the married child in 2008. A greater residential proximity to a son, but not a daughter, reported in 2006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level of parental life satisfaction in 2008.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having nearby a married adult child, particularly a married son, may help maintain parental health.

중.고령자의 민간의료보험 가입 여부의 결정 요인 (The determinants of purchasing private health insurance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Korean adults)

  • 유기봉;조우현;이민지;권정아;박은철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36
    • /
    • 2012
  • Objectives : The coverage of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is limited to basic level. Korean government encourages private health insurance for covering medical securities. So, many studies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purchasing private health insurance. However, 11% of Korean population is older than 65 in 2011. Considering the elderly is important to establish a health polic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determining the purchase of private health insurance among middle-aged and elderly Korean adults. Methods : We used the second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selected 8,688 sample of the aged 47 or older for the analysis. KLoSA collected information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ome, health- related factors. KLoSA data include in the number of outpatient, inpatient, oriental hospital visit, dental clinic visit for two years.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terminants of purchasing private health insurance and the factors which include age, gender, education, residential district, marital status, smoking, drinking, physical exercise, economic activity status, national health insurance type, income,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 and the number of outpatient, inpatient, oriental hospital visit, dental clinic visit for two years. Results : People who were older, did not live in a city, had higher IADL, currently drunk alcohol, did exercise regularly and had chronic diseases more than three were inclined not to purchase private health insurance. Females, the married, well-educated, past & currently smokers, the employed, high income earners, national health insurers, metropolitan citizens and someone who got high MMSE were more likely to purchase private health insurance. The more people experienced outpatients, inpatients, dental clinics and Chinese medicine clinics, the more private health insurance was purchased. The elderly people over 75 had more private health insurance than the aged 65-74. The strongest factors for private health insurance is gender, and economic status such as income. Conclusion : In this study, we found healthy-high income people were more likely to purchase private health insurance. In contrast, unhealthy-low income and older people did not. The economic factors were strongly related with private health insurance in aged over 75. These mean inequality exists in the using private health insurance.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vulnerable social group before expanding private health insurance.

  • PDF

중고령자의 은퇴 만족 유형과 삶의 만족도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Types of Retirement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iddle and Older Adult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조규영;전혜정;이은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371-381
    • /
    • 2019
  • 본 연구는 은퇴를 주로 부정적인 생애사건으로 분류하였던 기존 인식에서 벗어나 보다 긍정적인 관점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취업자를 참조집단으로 하여, 은퇴자의 은퇴 만족 여부(만족 은퇴, 불만족 은퇴)가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1~2차년도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참여자 중 45세 이상의 취업자 1,886명, 은퇴자 723명으로 총 2,609명이며, 은퇴자는 1~2차년도 지속적 불만족 은퇴자와 만족 은퇴자로 구분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21.0을 사용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남녀 집단 간 차이를 보다 명확히 하기위해 성별에 따른 회귀계수의 차이를 Mplus 7.3을 사용하여 다집단 분석(Multi-Group Analysis)을 통해 검증한 뒤, Wald-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불만족 은퇴자와 만족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는 상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은퇴에 불만족할 경우 취업자보다 삶의 만족도는 낮은 반면, 은퇴에 만족할 경우 오히려 취업자보다도 삶의 만족도가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또한, 남녀 모두 불만족 은퇴자는 취업자보다 삶의 만족도가 낮았고, 이 효과는 여성에게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 만족 은퇴자의 삶의 만족도는 취업자보다 높은 반면, 남성의 경우 이러한 영향력이 유의미하다는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은퇴자 집단의 이질성 및 생애과정에서의 성차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