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self-employment exits among the middle-aged and senior adults. For the analysis, we used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data from the first(2006) to the sixth(2016) and vocational data, which is a retrospective data surveyed in 2007. Among the reasons for exiting the self-employment, we find that the group that went out of their businesses due to management difficulties were more likely to have economic difficulties after the exit. Therefore, we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self-employment exits considering the exit reason due to management difficulties. The analysis model used a competing risk regression model that defined the only exit due to management difficulties as failures. As a result, the significance of gender, age, and education variables, which were well known as determinants of exiting the self-employment, disappeared. On the other hand, we find that the prior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tended to lower the risk of exiting the self-employment. To summarize the results, we suggest that we need some ways to help the middle-aged and senior adults who start their own businesses without any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to prevent them from failures.
본 연구는 중고령층 자영업 이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자영업 이탈 이유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는 고령화 연구 패널(KLoSA)의 1~6차 및 직업력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영업 이탈 이유 중 경영상 어려움으로 인해 이탈한 집단이 다른 이유로 이탈한 집단보다 경제적 어려움에 처할 가능성이 큼에 따라 이들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모형으로는 경영상 어려움으로 인한 이탈만을 실패로 정의하는 경쟁위험회귀모형(competing risk regression models)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자영업 이탈 요인으로 알려졌던 성별, 연령, 학력 변수의 유의성이 사라졌다. 반면 동종 산업 경력이 자영업 이탈 위험률을 낮추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경제적 어려움과 실업에 직면할 위험이 큰 자영업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동종 산업 내 경력이 부족한 채로 자영업을 시작하는 중고령층을 지원하는 방안이 필요함을 제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