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n Confucianism

검색결과 524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전통마을의 형성과 발전에 관한 연구 -경남 산청 단계마을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a Traclitional Village in San-Cheong)

  • 이규성;김일진
    • 건축역사연구
    • /
    • 제2권1호
    • /
    • pp.9-24
    • /
    • 199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more positively and concretely the entity of traditional village through the quantitative and scientific analysis process using positive data. Dan-Gye, a traditional village in San-Cheong, has been populated since more than 500 years ago because of its ideal conditions for settlement. In this study, the fluctuations on the numbers of households in Dan-Gye were analyzed from the first settlement era to the present, and the transformations of housing sites and roads since 1913 were also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village Dan-Gye has a history of more than 500 years, and the first inhabitants were the Ryus. As time went by, the Ryus' power became weak gradually, but the powers of the Kwons and the Parks who had flowed later into this village became prosperous to make up a prominent family village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Such powers had reached the peak in the early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nd although the powers became weak gradually after that time, those two families have overwhelmed other families in population and possession of large houses until now. But as the confucianism in every-day life fell off and the inhabitants moved to cities, the existence of a family community became meaningless. 2) The Kwons and the Parks have possessed the large parts of the village's housing sites. As time went by, the sites have been divided and fields have been changed to housing sites for the increasing families, and such division and change have been made chiefly on perimeter areas. 3)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ad in Dan-Gye where traditional roads existed began to be destroyed by Japanese construction of new roads, and such destruction has continued due to the bank construction after a flood and the road constructions after 1970s.

  • PDF

조선시대 예서(禮書)에 나타난 건축적(建築的) 도면(圖面)의 해석(解釋)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terpretation of Architectural Drawings on $Y\^{a}e\;Se\^{o}$ in the Cho-Sun Dynasty)

  • 홍승재
    • 건축역사연구
    • /
    • 제1권2호
    • /
    • pp.52-67
    • /
    • 1992
  • In Cho-Sun Dynasty, since Czhu-Ja Ga Rae be introduced in late Korea dynasty, many kinds of $Y\^{a}e\;Se\^{o}$ by a personal or national edition had been published, based on supports of the political ideology. Especially, in the age of governing by $'Y^{a}e'$ in 16 17c, after completion of publishing $'Oh\;R^{a}e\;Yi(1474),'$ 'Geong Guk Dae Jeon (1469)' in late 15c, norm of $'Ga\;R^{a}e'$ has prevailing and the quantity of publishment of it is more growing. Generally, the contents of these kinds of $Y^{a}e\;Se^{o}$ is intended to interprete the czhu-Ja $'Ga\;R^{a}e'$. and furthermore, some kinds of it, descripted directly architectural institutions as a part of $Y^{a}e\;J^{a}e$ through architectural drawings, with quatating chinese scholar's theory. It can be said that architectural institution on $Y^{a}e\;S^{e}o$ may be a kind of political institution as a tool for execution of a ideal ideology in Confucianism. In this Context,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governing-class in Cho-Sun Dynasty refered to the architectural institution on $Y^{a}e Se^{o}$ as a ideal norm and, in constructing or organizing buildings, it was taken in account as a 'frame of reference'. The Locus of this study is on architectural drawings on $Y^{a}e\;Se^{o}$, for certifying interrelationship the institution which is executed in the drawings and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and organization in Cho-Sun Dynasty.

  • PDF

상주향교(尙州鄕校)의 배치형식(配置形式) 변천(變遷)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s in the Site Plan of Sangju Confician School)

  • 정명섭;조영화
    • 건축역사연구
    • /
    • 제13권4호
    • /
    • pp.7-18
    • /
    • 2004
  • From the results of an examination of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site plan divided into 5 stages based on literature and materials relating to the Sangju Confucian School as well as the construction history, we can see the general transition flow as follows. The arrangement form of Sangju Confucian School shows the structures with both the sacrificial rites function and the learning function in the early period. This shows a large general flow where the form with the learning function structure at the front and sacrificial rites function structure at the back changed to a form where the learning function structure was positioned behind the boarding facilities, after which there was a transformation which left only the learning function (the form where the learning function structure was positioned in front of the boarding facilities). The type where the learning function structure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boarding facilities is hard to find in the Yeongnam area, also, there are not many examples of the 2 story Myeonglyundang (hall of confucianism teachings) throughout the country Sangju Confucian School which possess the value of rarity is appraised as being a precious material showing another area characteristic in Sangju of the Yeongnam area. Also, during the late Chosun period the scale of the Dongseojae (boarding facility) was reduced and the appearance of Yangsajae can be said to be a typical example of confucian school constructions of late Chosun era.

  • PDF

농촌주부(農村主婦)들의 의료(醫療)와 항생제(抗生劑)에 대(對)한 지식(知識)과 태도(態度)에 관(關)한 조사(調査) (A Study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Housewives toward Health Care and Antibiotics in a Rural Area)

  • 김순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9권1호
    • /
    • pp.147-151
    • /
    • 1976
  • A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period of August 13 to August 18, 1974 to obtain information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rural area housewife toward health care and antibiotics using. Interviewed 242 housewives dwelling in Soodong and Hwado Myun, Yangju Gun, Kyunggi Do, a typical rural area in Korea and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1. Of 242 housewives interviewed, 20.2% were illiteracy, 68.2% was graduated from primary school, 9.1% from middle school and 2.5% from high school. 2. Of those interviewed, 8.7% were Christian, 5.0% Bueldist, 2.9% Confucianism, and 83.4% of those were no religious preference. 3. Utility rate according with the kind of mass media in home was 85.1% of respondants possessed radio, 16.1% of magazine, 12.8% of newspaper, and 4.1% of television. 4. In the case of patients occure in a family, 13.0% out of 242 respondants had chosen physician's clinics for inicial medical care place, 58.4% drug stores, 0.9% herb medicine and 27.7% of those had chosen folk medicine at home. 5. Antibiotics effective complaints listed by the respondants were skin diseases with 43.8%, suppurated wound 30.0%, URI like symptoms 18.2%, diarrhea 14.5%, low back pain 12.9%, fever 6.2%, loss of appetite 3.3%, all kind of diseases 2.5%, urethral discharge 2.1% and tuberculosis 0.8% respectively. 6. Only 14.7% of respondants had obtained antibiotics for medical care from physician's clinics and 85.3% of the respondants had obtained antibioties from drug store (70.7%), village shop (10.4%), and salesmen in street market without any physician's prescription. 7. Eighty-nine percent of the respondants were understanding on patient care activity as the local health subcenter but only 11.0% of those on M.C.H., 29.0% of those on family planning, 21% on vaccination, and only 6.6% on tuberculosis control activity. 8. Utility rate of the local health subcenter was 71.9% out of the patients indicated medical care of medical facilities.

  • PDF

이정직(李定稷)의 서예론과 한(韓)·중(中) 서예가 비평 (The calligraphy theory of Lee, Jeongzic and Criticism of Korean and Chinese calligraphers)

  • 김도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107-112
    • /
    • 2019
  • 석정(石亭) 이정직(李定稷)(1841~1910)은 호남(湖南) 유학(儒學)을 대표하는 실학자이자 시(詩) 서(書) 화(畵)에 능통한 삼절작가(三絶作家)이다. 석정(石亭)의 서예술 활동은 창작활동 뿐만 아니라, 서예이론 및 비평가로써의 학문 활동을 들 수 있다. 석정(石亭)은 왕희지(王羲之)를 서예의 전범(典範)으로 삼아 경완(勁婉)을 진숙(眞熟)하게 연마하여 완숙(婉熟)해지면 저절로 조화로움의 경지에 도달하여 법고창신 한다고 보았다. 한편, "연석산방미정시고(燕石山房未定詩藁)" "제서결상론오고팔수(題書訣詳論五古八首)"에서는 석정(石亭)이 역대 서예를 연마한 후 느낀 종합적 견해를 이시론서(以詩論書)의 방식으로써 중국의 역대 서예가를 비평한 오언고시(五言古詩) 8수(首)가 있다. 여기에는 왕희지(王羲之),등 중국의 역대 서예가 11인을 선정하여 특징과 장 단점을 비평하였다. 또한, "원교진적(圓嶠眞跡)" "송하진적(宋下眞跡)" "창암서첩(蒼巖書帖)"의 제발(題跋)을 통해 한국의 원교(圓嶠), 송하(松下), 창암(蒼巖) 등의 서예가에 대해서도 나름의 서예비평을 하여 자신의 서예이론을 구축하였다.

한국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운동문화 연구: 구술생애사인터뷰를 중심으로 (A culture study of women's sports of babyboom generation in Korea: through oral history interview)

  • 김영선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4권4호
    • /
    • pp.439-45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베이비붐 세대 여성의 운동문화의 함축적 의미를 찾는 데 있다. 전통적으로 여성은 유교사상과 함께 온화하게 좁은 보폭으로 걷고, 활발하게 달릴 수 없었다. 그러나 현대 한국사회에서 운동인구의 증가와 함께 많은 중년여성들이 운동에 참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 중에서도 특히, 1955~1963년생으로 고등교육의 첫 세대인 베이비붐 여성 세대에 주목하여, 세 명의 구술생애사인터뷰를 중심으로 생애전반에 이루어졌던 운동에 대한 문화이해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놀이로써의 운동, 강요된 수업, 강화된 모성성, 성역할 수행을 위한 생존체력, 노후를 위한 준비 등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운동문화연구에서 구술생애사인터뷰는 여성 삶의 역동적인 맥락을 발견하게 하며, 여성자신의 목소리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인식하게 한다.

동무(東武) 이제마(李齊馬)와 최문환(崔文煥)의 난(亂) (Dong-Mu Lee Je-Ma and The Rising of Choi Moon-Hwan)

  • 박성식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9-55
    • /
    • 1997
  • 연구 목적 : 동무 이제마는 1984 년에는 '한국문화예술선현(韓國文化藝術先賢)' 50인 중의 한 사람으로 지정되고, 1996년에는 12월이 '이제마의 달'로 지정되어 그의 업적을 기념하였으나, 일부 역사가는 그가 1896년 함경도(咸慶道) 의병장(義兵將) 최문환(崔文煥)을 잡아 가둔 인물이라 하여 그의 업적 평가에 문제를 제기하기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1896년 함흥에서 일어난 소요를 중심으로 당시의 시대 상황 및 발생 동기와 경과 과정을 규명함으로써 이 사건에 대한 정확한 평가(評價)를 내리고 이를 통해 이제마(李濟馬)의 사상적(思想的) 연원(淵源)을 연구하는데 단서를 찾고자 한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먼저 조선 후기의 시대적 배경과 을미의병에 대해 살펴 보고 1896년 (병신(丙申)) 함흥에 서 최문환을 중심으로 일어난 사건을 정부측(政府側) 기록, 의병(義兵)(최문환(崔文煥))측(側) 기록, 이제마측(李濟馬側) 기록, 그리고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이 나타나는 기타(其他) 사료(史料)들을 중심으로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및 결론 : 1896년 2월 함흥(咸興)에서 일어난 혼란은 을미사변(乙未事變)과 단발령(斷髮令)으로 폭발한 을미의병운동의(乙未義兵運動)의 일환으로 최문환(崔文煥)이 중심이 되어 단발(斷髮)을 강요하던 관리(官吏)들을 살해한 사건이다. 이 때 이제마(李濟馬)는 최문환을 붙잡아 가두고 난(亂)을 진압하여 훗날 '의병을 탄압했다'는 비난을 받게 된다. 그러나 당시는 수구(守舊)와 개화(開化)가 충돌하는 시기였으며, 이러한 혼란으로 말미암아 있을 수 있는 원산(元山) 일본군(日本軍)의 공격으로부터 주민(住民)의 안전(安全)을 최우선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행동이었다. 이와 같은 행동을 근거로 보아 이제마는 유생의병(儒生義兵)들이 주장하던 위정척사(衛正斥邪)의 주자학적(朱子學的) 문화이념(文化理念)이나 복고주의적(復古主義的) 정치이념(政治理念)과는 다른 사상(思想)을 가지고 있었으며, 내면적으로는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향후 한국(韓國) 민족운동사적(民族運動史的) 측면(側面)에서 의병장(義兵將) 최문환(崔文煥)에 대한 좀 더 많은 연구(硏究)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

치(置)와 화(和)의 개념으로 분석한 남계서원의 경관짜임 (Landscape Composition Based on Placement and Harmony in the Namgea Suhwon)

  • 노재현;신상섭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72-85
    • /
    • 2009
  • 본 연구는 인간 활동을 담는 형식과 의미의 총체라 할 수 있는 서원, 그 중에서도 경상남도 함양의 남계서원을 대상으로 공간 및 시각구성상에 내재된 형식미와 의미 파악을 통해 서원 조영에 담겨진 경관짜임 원리를 풀이하고 현대 유사 전통적 공간의 경관설계 시 적용하기 위한 착안점을 구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남계서원은 생성과 풍요를 거쳐 초월과 회귀로 이어지는 비산비야(非山非野)의 풍수적 명처[연화부수형]에 생거사유(生居死幽) 형국에서부터 치(置)와 화(和)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사당-내삼문-강당-동서재-외삼문으로 이어지는 위계는 일상제-삼신-오제로 연결되는 삼신오제사상의 투영이자 주자가례에 의한 예제적 틀을 준용한 비례부동(非禮不動)의 의미 넣기 기법이다. 또한 남계서원의 환경설계에는 산수의 물질적 대립 항 그리고 전후(前後), 종횡(縱橫), 동정(動靜)이라는 방향과 운동의 이진부호적 복합체계를 개입시켜, 경직된 축선을 고집하지 않으면서도 자연지형에 밀착된 건물과 마당의 공간 및 시각구성상의 비대칭 균형원칙을 추구하여 '치와 화'의 교집합 공간을 구축하였다. 한편, 건물 이름 짓기는 학문수양과 관련하여 성리학적 가르침과 풍수사신사(風水四神砂) 구조와 연계시켜 이루어짐으로서 기능과 의미를 일체화시킨 치와 화의 경관 놓기와 경관 맞추기가 드러나고 있다. 또한, 건물과 마당의 폐쇄감으로 볼 때 강학(講學) 및 유상(遊賞)공간 그리고 제향공간은 그 공간성격에 따라 개방감과 위요감, 긴장감과 안도감, 상승감과 위계감이 적절히 부여되는 등 청각적으로 의사 전달이 가능한 인간적 척도 개념이 반영되고 있다. 남계서원의 초기 건립과 이후의 변모과정에서 드러난 자연과 유연하게 이어지는 기능, 완결을 지향하는 비완결의 열림 그리고 긴장과 이완이 반복되는 동세적 아름다움을 구현하기 위한 치(置-놓기)와 자연과 일체감을 갖는 질서와 연속, 기념성과 일상성의 공유 등을 구현하기 위한 화(和-맞추기)의 경관짜임 의도는 오늘날 토지이용계획은 물론 캠퍼스 환경설계 분야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경관적 재구성을 통한 '장성 필암서원' 경관짜임의 독해(讀解) (Landscape Configuration Reading of 'Jangseong Pilmaseowon' through the Recomposition of Landscape)

  • 노재현;허준;최종희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42-54
    • /
    • 2014
  • 본 연구는 장성 필암서원의 입지 형국 풍수지리 등 장소성에 담긴 의미경관적 요소와 서원배치에 따른 시지각적 공간구성에 담긴 미학성 독해를 위해 시도되었다. 고지도에 표기된 '필암서원', '필봉서원', '김하서서원' 등에서 보이듯 '필암'은 곧 '필봉'이며 이는 '김하서'라는 인식이 드러나고 있다. 서원의 배산 필암산(문필산)과 필암(붓바위)은 필암서원 장소정체성 구축의 핵심이며 하서 김인후의 상징으로, 연고성을 바탕으로 한 깊은 인걸지령(人傑地靈)의 관계로 엮여있음이 읽혀진다. 필암서원은 안산(案山) 없이 파노라믹한 '증산들'을 안대(案對)로 한 계거(溪居)의 입지특성을 보인다. 하서의 태생지인 맥동마을과 필암 그리고 '단봉함서형(丹鳳含書形)' 형국을 반영한 서원의 터잡기와 조형적 반영 그리고 건물 '이름붙이기'에서 드러난 필암서원의 액호(額號)와 각 건물의 당호(堂號) 또한 성리학적 가르침을 바탕으로, 자연과 인간이 하나 되는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인식 결과에 따른 기호경관적 특질은 여타 서원 보다 뚜렷하다. 확연루(누문)-청절당(강당)-진덕재 숭의재(재실)-우동사(사당)의 "전당후재형" 배치로 구축된 교접마당을 통한 중심성의 극대화는 필암서원 고유의 공간 프레임적 특성이다. 여기에 더하여 '유식공간과 제향공간내 경장각과 계생비 배치로 얻어진 내심 이동'을 통한 중심성의 강화' 그리고 '영역성의 강화를 위한 시설과 장치' 등에서 필암서원의 공간구성상의 경관짜임이 읽혀진다. 또한 '창호 구성을 통한 조망 중심성의 강화', ' "틀에넣기"와 중첩을 통한 시각적 투명성 확보' 그리고 '재실 툇마루 높이를 통한 위계성의 구현' 등의 시각구성상의 경관짜임을 통해 성리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한 질서와 미학성이 필암서원 조형에 논리적으로 구현되었음을 독해하였다. 이와 같이 경관 재구성을 통해 정리되고 새롭게 읽혀진 필암서원의 의미체계와 공간 및 시각구성상의 미학성은 결코 우연이 아닌 필연적 결과로, 장성 필암서원의 내적 충일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며 또 다른 자원기반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경관독해의 결과가 필암서원에 대한 이해 증진과 드러나지 않은 문화경관에 대한 감수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을 기대한다.

구곡원림의 원류, 중국 무이구곡(武夷九曲)의 텍스트성 -국내 전승(傳承) 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xtuality of China's Wuyi-Gugok, the Origin of Gugok-Wonlim -Focus on the Tradition Process to Korea -)

  • 노재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6-80
    • /
    • 2009
  • 본 연구는 '무이도가(武夷櫂歌)'나 '무이구곡(武夷九曲)' 관련 문화현상이 어떠한 연유와 과정으로 조선시대에 수용되었으며 내재된 담론과 문화적 응집의 규칙성, 특히 국내에서 구곡문화의 반복과 모방을 통한 전승과정에서 나타난 특성은 무엇인가를 밝히기 위해 시도되었다. 문헌고찰 및 현장답사에 의한 경관 인식과 함께 드레슬러(Dressier)가 제시한 텍스트성의 7가지 기준을 근거로 '해석 및 논의 틀'을 구축하고 텍스트의 의존관계, 생산자와 수용자의 관계, 반복 및 모방 그리고 전파과정으로 나누어 '무이구곡'의 텍스트성을 해석하였다. 텍스트 파악 의도와 상황적 근거로 볼 때 주자의 무이도가 그리고 무이구곡 경영은 무이산지 등의 문헌과 그림을 통해 조선에 전파되면서 일종의 사회현상으로 국내에서도 산간 계곡의 뛰어난 지형경관에 구곡을 설정하며, 정사를 경영하는 등 문학적 원림경관적 반복과 모방사례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생겨났다. 생산자의 의도 또는 용인에 관계없이 조선에 수용된 구곡문화는 수용자 계급이 지향한 도교문화적 상황과 유교의 경세제민(經世濟民)적 사대부 사고관에 편승하면서 새로운 문화로 정착하게 되었고 그 결과, 조선 구곡원림은 무이도가와 무이구곡에서 나타난 상자연(賞自然)의 미의식을 수용하면서 도교와 성리학적 사유방식과 결합되었다. 그러나 텍스트적 요인에 의한 의존 관계만을 살펴 볼 때, 국내에는 무이구곡과 같이 배를 타고 하상을 거슬러 올라갈만한 장소가 드문 관계로 하천 형태와 기능적 텍스트성으로서의 결속구조는 다소 이완된 채 도학적 사고나 풍류적 향유에 의존한 구곡문화가 텍스트성의 내적 구조를 지배한 것으로 보인다. '무이구곡'의 텍스트성을 지배하는 내적 요인은 "굽음의 미학, 물돌이", "영역성의 표현, 각자(刻字)", "의미경관의 성찰로 본 문화적 풍경", "기(奇)의 추구와 표상성" 그리고 "도교와 성리학적 토포스의 초월적 풍경"으로 해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