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검색결과 573건 처리시간 0.025초

전국 한의과대학 및 한의학전문대학원의 인문사회의학교육 현황 (Education of Medical humanities and Social Medicine in Schools of Korean Medicine in Korea)

  • 천목은;임병묵;신상우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1-42
    • /
    • 2012
  • Objective : To set up the concept and the category of the medical humanities in Korean medicine education through researching and analysing the curriculum of 12 colleges and school of Korean medicine (KM) in Korea. Methods : We collected self-evaluation reports from 12 KM institutions, and analyzed subjects regarding medical humanities and social medicine. The subjects' relevance with medical humanities was verified using the learning objectives of KOMEEI(Korea Oriental Medicine Education and Evaluation Institute). The number of relevant subjects, the credits and educational hours, and the time of opening, etc. were analysed. Results : 12 KM institutions provide 44 subjects as medical humanities and social medicine related subjects. Among them, 17 subjects were corresponded to the actual learning objective of medical humanities. These subjects account for an average of 7% in total curriculum. Most of the subjects are required courses for premedical students and the fourth year students of medical school. Conclusions : This paper suggests the public discussion on the learning objective and the categories of the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in KM institutions. Further studies on developing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evaluation tools are also needed to produce good doctors with ability and personality.

초등학교 6학년 수학과 서술형 평가의 자료개발 연구 (Development of Teachers' Resource for Descriptive Evaluation in Grade 6 Mathematics)

  • 김민경;노선숙;권점례;김유진;주유리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543-567
    • /
    • 2008
  • 최근 우리나라 2007 개정 수학교육과정에서는 그동안 강조되어오던 수학적 문제해결력 뿐 아니라 수학적으로 사고하고 의사소통하는 능력을 중요한 요소로 강조하고 있다. 이에 따라 수학과의 평가영역에서는 고등 사고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대안적인 평가 방법으로 수행평가와 서술형 논술형 평가방법의 구체적인 활용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과서와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6-나> 단계를 중심으로 서술형 평가 문항과 채점기준을 개발하고 개발된 평가문항을 현장에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 수학과 서술형 평가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수학 교육과정 국제 비교 분석 연구 - 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Mathematics Curriculum among the United States, Singapore, England, Japan, Australia and Korea)

  • 정영옥;장경윤;김구연;권나영;김진호;서동엽;강현영;박선화;고호경;남진영;탁병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3호
    • /
    • pp.371-402
    • /
    • 2016
  • 본 연구는 최근 개정된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와 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수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의 학교체계와 교육과정, 대학입학시험의 특징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내용 체계의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고, 우리나라와 외국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과서 및 대학입학을 위한 평가요목을 중심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수학 내용 요소, 이수 계열, 나선형 구성 방식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런 비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후의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으로 해석, 기하, 통계와 확률 영역에서의 내용 요소에 대한 재고. 나선형 구성 방식에 대한 재고, 개인의 진로에 대한 다양한 선택권과 평가에의 반영을 제안하였다.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기반한 중학교 교육과정 성취기준별 성취 특성 분석 (Analysis of Achievement Characteristics by Achievement Standard of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이재봉;구자옥;최원호;심규철;신명경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73-483
    • /
    • 2020
  •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성취 특성을 분석하여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시사점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시행된 2015~2018년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84개에 대한 숙달여부를 성취수준별(우수학력, 보통학력, 기초학력 등)로 분석하였다. 분석에서는 성취수준별 대표문항 정보, 정답률 등을 활용하고, 포커스 그룹을 이용하여 숙달여부 판정에 대한 타당성을 점검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84개의 성취기준 중에 숙달여부를 판정할 수 없는 성취기준은 15개였다. 성취수준별로 보면 우수학력도 숙달하지 못한 성취기준은 6개였으며, 우수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38개, 보통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23개, 기초학력 학생까지 숙달한 것으로 판단된 성취기준은 2개였다. 우수학력도 숙달하지 못하였거나 우수학력 학생들만 숙달한 성취기준이 전체 성취기준의 절반 이상이므로 과학에 대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이해도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운동과 에너지,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는 우수학력과 보통학력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의 개수가 비슷하였으나, 물질과 생명 영역에서는 우수학력에 해당하는 성취기준이 가장 많았고 특히 생명 영역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우수학력에 해당하였다. 우수학력 학생들도 성취하기 어려운 6개의 성취기준은 대부분의 학생이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수준까지 도달하기 어려운 내용이므로 교육과정에서 관련 내용을 조정하거나 학생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보급할 필요가 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A Study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and Need for the Application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 김현경;나지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3-11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대한 초 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조사하는 데에 있다. 이에 초등학교 교사 468명과 중학교 교사 42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수의 초 중학교 교사들은 학교 과학교육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들이 적용 가능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를 적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것 같은 어려움으로 교사들이 가장 많이 선택한 응답은 각각 교수 학습 자료의 부족, 실험 준비 시간의 부족, 과학 교과 역량 함양 방법이나 내용 체계 활용 방법에 대한 이해 부족이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적용할 때에 교수 학습 자료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연수의 내용, 교사의 역할, 교사 공동체 형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TIMSS 2003 지구과학 영역 문항 및 성취도 분석 (An analysis of Earth Science Items and Achievement in TIMSS 2003)

  • 곽영순;정은영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05-41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2003년도에 46개국에 참여한 TIMSS 2003 연구에서 지구과학 영역의 성취도를 주제별, 문항 유형별, 인지영역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문항 수준에서 국제평균과의 정답률 차이가 큰 문항과 남녀 정답률 차이가 큰 문항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모든 유형별로 국제평균보다 유의하게 높은 정답률을 나타내었고, 인지 영역별로는 우리나라 중학생들은 지구과학 영역에서 천문학 관련 주제 및 추론과 분석 영역에서 강세를 나타내었다. 우리나라의 정답률이 국제평균 정답률보다 낮게 나타난 5개 문항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중학생은 이해하고 있는 내용을 그림이나 도식으로 표현하는 데 미숙함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여학생들은 사실적 지식을 묻는 선택형 문항에서 남학생들 보다 정확한 정보를 회상해 내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학습하지 않은 내용에 대하여 어려워하는 경향이 남학생보다 크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내용 구성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한, 중, 미, 일의 전국단위 대학입학시험 수학과 출제체제 비교를 통한 수리 영역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Methods in Mathematics by Comparing Examinations in Mathematic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t a Nationwide Level in Korea, China, America, and Japan)

  • 조윤동;남진영;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4호
    • /
    • pp.547-565
    • /
    • 2009
  • 본고에서는 우리나라와 중, 미국, 일본에서 대학입학 전형자료로 쓰이는 국가 단위의 시험 과목 가운데 수학 과목의 시험 체제와 내용, 문항유형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서 대학입학 전형자료로 사용하기 위한 국가 단위의 대규모 시험에서 필수로 포함될 필요가 있는 내용, 그 내용을 적절하게 담아낼 수 있는 문항 유형, 마지막으로 이 전체를 유효적절하게 구성하여 효과적으로 시험을 치르게 하기 위한 시험체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향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리영역의 출제 체제를 결정하는 데에 논의의 바탕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TIMSS 2019 수학 평가틀에 기반한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contents based on the TIMSS 2019 mathematics assessment framework)

  • 최인선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49-468
    • /
    • 2020
  • TIMSS는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를 분석하는 대표적인 국제비교 연구로, 수학·과학 성취도 조사와 추이 점검 뿐 아니라, 참여국가의 교육 체제, 교육과정, 교수·학습 맥락 등에 대한 정보 수집을 통해 각국의 수학·과학 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TIMSS에서 수학 평가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주로 성취도 결과에 초점을 두어 왔으며, 수학 평가틀의 내용과 특징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IMSS 2019 수학 평가틀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에 비추어 학생들의 학습시기를 살펴봄으로써 수학과 교육과정과 수학 학습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도출된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 수준에서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내용 요소 간 연계성 강화를 위한 점검이 필요하다. 둘째, 국제 수준에서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내용 요소의 학습시기의 적절성, 연속성 등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내용 영역의 위계 및 내용 체계 구조가 국제적인 수학교육의 방향과 부합하고 있는지에 대한 확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상의 시사점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수학과 교육과정 개정 및 대규모 평가틀 개발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내용 적정성 분석 - 단원 구성 및 어휘 사용을 중심으로 - (A study to analyze the adequacy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 Based on the unit structure and vocabulary -)

  • 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3호
    • /
    • pp.281-297
    • /
    • 2016
  • There has being develop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currently based on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Vocabularies used in mathematics textbooks are mainly determined by the authors to develop textboo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dequacy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based on the unit structure and vocabulary,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which is currently in development,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there were found some problems in the unit structure and vocabulary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개념의 연계성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 달과 암석의 순환 개념을 중심으로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n the Science Curriculum Concepts Continuity - Focus on the Concepts of Moon and Rock cycle -)

  • 이효녕;김진숙;박병열;전재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77-689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6개국(대만, 영국, 핀란드, 미국, 캐나다, 한국)의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계성에 초점을 둔 비교분석을 통해서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과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NCIC)에서 수집한 각 나라의 교육과정 원문과 국문 번역본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교육과정 구성의 특징과 종적 횡적 연계성 요소를 기초로 한 과학과 내의 '달'과 '암석의 순환'에 대한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제적으로 교육과정의 학년 간 그리고 교과 간 연계의 강화를 위해 빅 아이디어(Big Ideas)나 교차 개념(Crosscutting Concepts) 등과 같은 연결 고리의 역할을 하는 개념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그 중에서도 시스템의 관점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었다. 내용에 대해서는 비교 국가들 중 우리나라는 '달'과 '암석의 순환'에 대해 가장 높은 빈도로 다루고 있었으나, 달의 내용 중 일부를 초 중 고등학교에서 비슷한 수준으로 동일하게 다루고 있는 단순 반복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암석의 순환에 대해서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다양한 관점과 수준에서 다루어 비교적 짜임새 있는 조직 구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도 교육과정의 연계성 강화를 위해 이러한 연결 고리 역할을 할 수 있는 적합한 도구가 요구되며, 그 방안으로 시스템적 접근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학년 수준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 발달 과정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