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rea NCS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24초

NCS기반교육 연구동향 분석을 통한 전문대학의 NCS확산연구 (A Study on the Diffusion of NCS-based Curriculum in Junior Colleges based on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 최연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21-231
    • /
    • 2020
  • 우리나라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 직무능력은 현업에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스킬이나 기술 외에도 조직의 구성원으로 갖추고 있어야 할 공통능력, 해당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 가치관 등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발표된 NCS기반 교육관련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NCS기반 교육과정의 설계와 운영, 각 개별 NCS기반 교육과정 설계에 포함되어야 할 직무능력 구성요인, NCS 도입 및 확산을 촉진시킬 수 있는 핵심요인,NCS기반 교육·훈련과정의 긍정적 효과 및 부정적 효과 등으로 구분하여 간략히 요약해 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살펴보고 전문대학에서의 NCS기반 교육과정 확산의 당위성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또한 상당한 관련 데이터가 축적되고 NCS확산의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한국산업인력공단과 NCS 웹사이트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고 전문대학의 교육강화 측면에서의 몇 가지 제안점을 제시한다.

전문대학의 NCS 기반 교과목에 대한 학습자 만족 (Satisfaction of Learners of a College about Courses Based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 오만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338-349
    • /
    • 2016
  • 특성화 전문대학의 NCS 기반 교과목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가 높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1인 NCS 기반 교과목에 대해 학습자의 만족은 리커트 5점 척도 기준, 평균 3.44로 보통수준에서 약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문제2인 NCS 기반 교과목과 일반 교과목과 비교해서 학습자의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NCS 기반 교과목이 일반 교과목에 비해 학습자의 만족도가 더 높은 학과(전공)은 3개학과(전공)로 전체기준 13.0%를 차지하였다. 이는 NCS 기반 교과목 운영에 각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본다. 하지만 학습자의 태도 측면에서는 NCS 기반 교과목이 일반교과목에 비교해서 더 적극적으로 나타났다. D 대학의 경우, 23개 전체학과(전공) 중 14개 학과(전공)인 61.0%의 학습자가 일반 교과목에 비해 NCS 기반 교과목에 대한 학습태도가 더 적극적이었다. 향후 NCS 기반 교과목에 대해 학습자의 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교수자는 NCS 기반 교과목운영에 사전 준비와 빈틈없는 수업운영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NCS 기반 교과목의 평가는 과정평가이기 때문에 학습자가 실행한 것들을 적시에 feedback를 해주어야 한다.

NCS 기반 프로그래밍 교과의 학습 전략안과 학습 모듈의 설계-사례연구 (Design of the learning module and the learning strategy for the NCS-based programming subject - A case study)

  • 김재생;현정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59-560
    • /
    • 2018
  • 최근 국내 신입사원 입사시험에 NCS 직업기초능력시험을 도입함에 따라 국내 각 대학교나 교육기관에서는 NCS 기반의 전공교육 및 교양교육을 도입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프로그래머를 지향하는 공학도를 위한 NCS 기반 프로그래밍 능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교수-학습 지침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모듈을 도출하기 위한 분석과정을 거쳐 본 교과의 학습로드맵과 NCS능력단위요소를 기반으로 학습자 스스로 NCS 프로그래밍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수-학습 모듈을 설계하였다.

  • PDF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 H사이버대학 부동산도시미래학부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 Focus on the Case of Department of Real Estate and Urban Future at Hanyang Cyber University)

  • 함남혁;김재준;여옥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694-711
    • /
    • 2016
  • 산업계 수요에 대응하는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좋은 자원이다. 최근 4년제 대학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업계 수요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개편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국가직무능력표준은 전문대학, 폴리텍대학 등 직업교육훈련기관에서 기술 인력을 양성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따라 4년제 대학의 국가직무능력활용 사례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NCS 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위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NCS는 기존 교육과정을 보완하는데 활용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의 내용을 포함한다; NCS 기반 교육과정 및 교과목 개발 과정, NCS 기반 교과목 운영, 학습자 피드백.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NCS 도입을 고려하는 4년제 대학 및 사이버대학에 실천적인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헤어미용분야 NCS 능력단위별 중요도 - 성취도 분석을통한 NCS 교육 개선 방안 (A Plan to Improve Hair Beauty NCS Education through Importance - Performance of Hair Beauty Field by NCS Ability Unit)

  • 최은화;이순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773-784
    • /
    • 2021
  •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헤어미용분야 NCS기반 교육 효과성의 확인과 향후 개선방안의 모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니어 헤어디자이너들이 평가하는 헤어미용분야 NCS 능력단위별 중요도와 그들이 평가하는 신입디자이너들의 성취도를 IPA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중요도-성취도 간의 차이와 이를 통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연구결과 헤어미용분야의 NCS교육은 기존 41개 능력단위 중 중점 개선 항목 6개, 유지 강화 항목 21개, 장기개선 항목 14개, 개선 고려 항목 1개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창의성의 부족, 최신 정보수집 및 분석 능력부족 등이 나타나 NCS 교육현장에서 헤어디자이너로서의 창의적 능력개발에 대한 노력의 필요성이 확인되고 있다.

공업계 고교 NCS 기반 교육과정의 편성 실태와 과제 (The Actual Situation and Task that The Industrial Area Highschools Organiz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Based Curriculum)

  • 이영민;임유화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22-43
    • /
    • 2016
  • 이 연구는 공업계 고교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NCS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성장 발전을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및 전문계학과를 설치한 일반고를 포함하여 총 583개교를 대상으로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조사하였고, 그 중 283개 단위학교의 공업분야 교육과정 편성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파악된 문제점은 첫째, 산업분야별 인력수요 전망을 고려하여 객관적으로 기준학과를 설치하지 못했다는 점. 둘째, 공업분야 특성화고의 경우 실무과목의 수와 과목당 평균단위수가 다른 특성화고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학습모듈 활용, 교수학습방법 개발 및 교원 역량 강화 방안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 셋째, 공업분야 특성화고의 전문교과 담당교사의 수업부담이 더 증가한다는 점, 넷째, 인력양성목표와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약하다는 점, 다섯째, NCS 실무과목을 3학년에 집중 편성함으로 인해 체계적이고 균형잡힌 학습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었다. 공업계 고교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이 선순환적으로 작동하고 안착하기 위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역량 향상과 Career Path(진로경로)를 고려하여 NCS 기반 교육과정을 편성해야 한다. 둘째, NCS 학습모듈 내용을 재구조화해야 한다. 셋째, NCS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하여 모듈식 교수학습방법 등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을 연구 적용해야 한다. 넷째, 교원의 역할변화로 요구되는 추가역량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교원의 수업부담 경감방안과 수업역량 강화방안을 확립하여야 한다.

NCS Course Design and Result Analysis of Class Application

  • Lee, Soonmi;Park, Hea-So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57-163
    • /
    • 2016
  • In this paper, I had studied to focus on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 course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NCS-based curriculum and designed and developed 'Digital Color Correction' course. 'Digital Color Correction' course was come up with in process of development of NCS-based curriculum in a department of university that aims to educate video-broadcasting experts who lead the advanced digital age. The course developed in this paper follows criteria of NCS and is designed to step in course-profile, instruction and evaluation. Also I made an analysis of learning effects after applying to class. And I compared and analyzed NCS-class and non NCS-class. As a result of comparison, NCS-class is better than non NCS-class in student attitude for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

항만공기업의 NCS 기반 채용 유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NCS based Employment in Port Public Enterprise)

  • 최현삼;신용존;손장윤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83-98
    • /
    • 2017
  • 글로벌 경쟁환경 속에서 경쟁우위 확보를 위한 우수인재 채용이 중시되는 항만공기업들은 직무능력 중심의 NCS 기반 채용제도를 도입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항만공기업의 NCS 채용 실태와 유용성 및 성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항만공기업의 NCS 채용 현황을 살펴보고, 채용제도의 적합성과 효율성, 만족도, 이해도 및 수용성, 성과 등을 인사담당자와 입사한 직원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NCS 제도의 유용성을 분석하고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실태조사 분석 결과, NCS 채용의 적합성과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효율성과 지원자의 인지도 및 수용도 그리고 채용성과는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채용제도의 유용성에 따른 직무성과의 관계는 적합성과 만족도가 높을수록 입사후의 직무능력과 직무성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NCS 기반 채용제도의 정착을 위해서 실제 직무수행과 관련되는 직무수행능력 평가체계를 조기 구축 및 시행하여 지원자의 취업준비 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노력이 요구되며, NCS 필기시험의 전문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출제기관 정부 인증제 도입 등의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NCS 기반 직무능력 중심의 채용제도의 유용성과 성과 검증을 통해 NCS 기반 채용이 항만공기업의 우수인재 확보에 효과가 있으며, 취업준비생에게는 기업이 요구하는 직무역량 중심의 맞춤형 취업준비를 가능하게 한다는 사실을 제시함으로써 NCS 기반 채용제도의 확산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해외 우수사례를 통한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산학협력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laboratory curriculum Model of the foundation NCS through exemplary international cases)

  • 김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73-683
    • /
    • 2016
  • 'NCS 기반 교육과정'의 목적은, 국가와 산업계가 주도하여 개발 인증 고시한 NCS를 학교 교육과정에 반영함으로써 교육생들이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직무수행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목적달성을 위해 교육기관은, 급변하는 산업현장에 적응할 수 있고 산업체의 요구에 부합된 직무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결하여야 한다. 고등교육법 제47조는 전문대학의 존립목적을 설명하고 있고, 이는 산업발전이 국가사회발전과 관련되어 있음을 고려할 때, 'NCS 기반 교육과정'의 목적과 동일하다. 이러한 전문대학의 교육목표와 'NCS 기반 교육과정'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은 산업체와 대학의 효율적이고도 긴밀한 협력구조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우리나라 전문대학들의 산학협력모델을 분석하고, 'NCS 기반 교육과정'의 목적에 부합하는 모델을 찾음과 동시에, 해외 우수대학의 뛰어난 산학협력모델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대학과 'NCS 기반 교육과정'에 적합한 'NCS 기반 산학협력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프로세스와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NCS 기반 산학협력모델'은, ''NCS 기반 교육과정'이 효율적으로 산업현장에 부합되도록 함과 동시에, 대학과 산업체가 효과적인 협력구조를 가지고 각자의 목표를 추구하도록 돕는다. 'NCS 기반 산학협력모델'은, 대학의 취업률 향상과 산업체의 우수인력확보를 가능하도록 하며, 효율적 대학교육과 우수인력양성을 통한 국내 산업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7대 분야 자격재설계 종목의 NCS 수준의 타당성 분석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Feasibility of NCS Level of Qualification Redesign Categories in 7 Major Areas)

  • 강석주;우미혜;박영삼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47-53
    • /
    • 2016
  • New occupational qualification system built on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 aimed to induce industries, the final appliers of qualification, to play a leading role in designing qualification and to spontaneously apply such qualification standard to employment and promotion so as to reinforce universality of qualification. In this study, we verified the validity of NCS level of qualification categories for 130 occupational fields by redesigning NCS-based new occupational qualification system with a focus on 7 major areas, including mechanical field, which were found to have wide-ranging social ripple effect throughout society and high acceptability in 2014. The results of study on suitability at qualification level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number of competency units for each qualification category, depending on area. New qualification covering 7 major areas included 15.3 competency units for each qualification category, which exceeds the number of competency units(about 10 units) in subdivided NCS. By field, some difference was found with 7.9 competency units for cultural field and 22.6 competency units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rea. Second, preference above normal level was observed in the criteria, procedure and method for determining qualification redesigning. However, preference below normal level was exhibited in connection with possibility of linkage with overseas qualifications, although preference was above normal level in relation to the suitability of design/qualification level and qualification categories based on lifelong career development path within scope of NCS as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redesign of qualification categories. Second, we compared NCS level and SC(Sector Council level, and the results showed that NCS level was found to be somewhat well-defined. For the qualifications with different definitions, it was deemed difficult to determine superiority between NCS level and SC level. However, majority opinion indicated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follow NCS level because NCS was created through collection of opinions for a prolonged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