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lan to Improve Hair Beauty NCS Education through Importance - Performance of Hair Beauty Field by NCS Ability Unit

헤어미용분야 NCS 능력단위별 중요도 - 성취도 분석을통한 NCS 교육 개선 방안

  • 최은화 (건국대학교 대학원 의류학과) ;
  • 이순재 (건국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의상디자인전공)
  • Received : 2020.12.28
  • Accepted : 2021.01.25
  • Published : 2021.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NCS-based education in the field of hair beauty applied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o find ways to improve it. To this end, the importance of each NCS competency unit in the field of hair beauty evaluated by senior hair designers and the achievements of new designers evaluated by the IPA method were analyzed to explore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achievement and improvement plans through this. As a result of the study, NCS education in the field of hair beauty was found to be 6 items for improvement, 21 items for maintenance and strengthening, 14 items for long-term improvement, and 1 item for improvement consideration among the existing 41 competency units. In particular, the lack of creativity and the ability to collect and analyze the latest information, which should be improved urgently, appear, confirming the necessity of efforts to develop creative abilities as hair designers in the NCS education field.

본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 헤어미용분야 NCS기반 교육 효과성의 확인과 향후 개선방안의 모색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시니어 헤어디자이너들이 평가하는 헤어미용분야 NCS 능력단위별 중요도와 그들이 평가하는 신입디자이너들의 성취도를 IPA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중요도-성취도 간의 차이와 이를 통한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연구결과 헤어미용분야의 NCS교육은 기존 41개 능력단위 중 중점 개선 항목 6개, 유지 강화 항목 21개, 장기개선 항목 14개, 개선 고려 항목 1개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시급히 개선되어야 할 부분은 창의성의 부족, 최신 정보수집 및 분석 능력부족 등이 나타나 NCS 교육현장에서 헤어디자이너로서의 창의적 능력개발에 대한 노력의 필요성이 확인되고 있다.

Keywords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국가직무능력표준(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은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기술·소양 등의 내용을 국가가 산업 부문별·수준별로 체계화한 것으로, 국가적 차원에서 표준화한 것을 의미한다[1]. 정부는 2002년 NCS를 도입하여 NCS 학습모듈을 기반으로 다양한 교육훈련이 생겨나게 되었으며, 헤어미용분야에서도 2011년부터 NCS가 실행되었고, 그 후 지속적으로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문대학, 고등학교, 평생교육원, 직업 전문훈련학교, 미용학원 등 다수의 미용관련 교육기관에서는 NCS 기반으로 하는 교육과정 개발 및 모듈을 활용한 교육을 현재까지 실시해오고 있으며[2], 그 결과에 대한 평가는 학계와 산업체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헤어미용분야는 미용기능경기대회, 작품전시회 등을 통해 미용의 예술성이나 조화미, 기술적인 면 등을 평가하여 왔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기술습득 후 산업현장에 투입되었을 경우 산업체에 맞는 기초실력이 갖추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직무수행능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따라서 직무 적응에 어려움이 많아 이에 따른 이직률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곧 미용교육의 문제점으로 부각이 되고 있다 [3]. 이에 대한 보완으로 NCS 교육이 실행되고 있으며, NCS기반 교육은 산업체 수요자 중심의 직무능력을 기본으로 인적자원의 현장 적응력을 높이고 질적 능력을향상시킬 수 있는 능력중심 인재양성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실무 위주의 인재양성으로 수요자의 요구를 충족하는 교육이며, 능력단위를 중심으로 교육이 이루어진다[4].

NCS교육에 대해 교육의 표준화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융합, 창조적 방향의 교육과는 맞지 않다는 비판적 견해도 있지만, 산업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육의 표준화를 통해서 학습의 방향을 명확히 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헤어미용교육 분야의 경우 같은 교과목이라도 그동안 교수자의 입장에서 제각각 다른 수준과 내용의 교육이 이루어지거나, 평가 기준도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NCS 교육의 적용을 통해서 교육과정개편에 산업체 실무자가 참여하게 되었고, 실무중심의 교과목과 그에 적합한 능력 단위와 능력단위요소로 구성된 교과목명 등이 제시되었다. 또한 수행준거와 이에 따른 평가준거와 평가 방법이 제시되면서 능력단위별 성취수준을 명확하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이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4]. 무엇보다도 헤어미용분야 NCS 교육이수자가 비 이수자 보다 현장 적응력이 뛰어나고, NCS에서 제시하고 있는 능력단위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다는 점 [4]에서 NCS 헤어미용교육의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NCS 관련 선행연구로는 헤어미용 NCS 분석 및 인식에 관한 연구[5], 특성화고등학교 미용과 헤어 미용 교육과정의 내용영역과 NCS의 능력단위, 국가기술 자격의 실기과제 비교분석[6], NCS기반 미용사(일반) 자격증제도의 현장 활용성 만족도에 관한 연구[7], NCS교육과정의 상용화에 따른 직업훈련교사들의 이해정도와 교육과정에 대한 활용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8], NCS 뷰티디자인 전문가 평가항목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연구[9], NCS 기반 헤어미용 교육과 실무능력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10] 등이 이루어져 왔다. 이렇듯 헤어미용분야에서는 NCS기반 교육과정과 인식에 관한 연구와 교육실태, 교과과정실태와 능력 단위요소에 관한 분석, 국가자격실태 등에 관한 연구만이 이루어져 왔다. 국가에서 NCS기반 교육이 산업 현장 맞춤형 인력배출이 목적인만큼, 산업현장 내의 시니어 헤어디자이너들이 어떤 직무를 중요시하는지와 교육이수자들이 NCS 교육을 통해 이에 상응하는 숙련도를 갖추었는지에 대한 평가를 통해 향후 NCS 교육이 나아갈 방향 및 보완해야 할 사항에 대한 분석 및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특히 현재 제시되어 있는 헤어 미용 분야 능력 단위에 대한 산업현장에서 근무하는 시니어 헤어디자이너들의 능력단위별 중요도와 그들이 인식하는 교육 이수 주니어헤어디자이너들의 능력단위별 성취도 간의 간극을 확인해 보는 것은 헤어미용 NCS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도와 성취도의 차이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보다 더 노력하고 집중해야 할 능력단위를 확인할 수 있음을 통해 교육과 산업현장 간의 간극을 줄일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니어헤어디자이너들을 대상으로 NCS 헤어미용분야의 능력단위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NCS기반 교육이수 후 산업현장에 투입된 1년 미만의 주니어헤어디자이너들의 성취도에 대한 인식을 실시하고자 한다. 먼저 산업현장에서 근무하는 시니어 헤어디자이너들이 평가하는 NCS 헤어미용분야 능력 단위별 중요도를 확인하고 다음으로 각 능력단위별로 주니어헤어디자이너들의 직무수행능력 성취도, 즉 해당 능력에 대한 주니어헤어디자이너들의 성취에 대한 시니어 헤어디자이너들의 인식을 비교 측정함으로써 향후 교육 현장에서 헤어미용 NCS기반 교육의 방향성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능력단위별 중요 도와 성취도 간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향후 헤어 미용 분야 NCS 교육현장에서 능력단위별 교육의 중요도가 산업 현장에서의 능력단위별 성취도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 연구문제

이상의 연구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해결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 현직 시니어헤어디자이너들의 NCS기반 헤어 미용 교육에 대한 견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현직 시니어헤어디자이너들이 평가하는 NCS기반 헤어미용교육 능력단위별 중요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현직 시니어헤어디자이너들이 인식하는 NCS기반 헤어미용교육을 이수한 주니어헤어디자이너들의 NCS교육 능력단위별 성취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4. 현직 시니어헤어디자이너들이 인식하는 NCS기반 헤어미용교육 능력단위별 중요도와 주니어헤어디자이너들의 성취도 간의 차이는 어떠한가?

Ⅱ. 이론적 배경

1. NCS 능력단위

NCS의 구성은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능력 단위로 분류되어 있으며, 직무는 NCS 분류체계의 세분류를 의미하고, 원칙상 세분류 단위에서 NCS를 개발한다[1]. 능력단위란 특정 직무에서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능력을 교육훈련 및 평가 가능한 기능 단위로 개발한 것이다. 능력단위요소는 해당 능력 단위를 구성하는 중요한 핵심 하위능력으로 능력 단위 범위 안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도출한 것이다. NCS 분류표 상세분류의 하위단위로서 NCS의 기본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능력단위의 구성요소는 능력 단위분류번호, 능력단위명칭, 능력단위정의, 능력 단위요소(수행준거, 지식·기술·태도), 적용범위 및 작업 상황, 평가지침, 직업기초능력으로 분류되어 있다. NCS 능력 단위의 능력단위분류번호는 능력단위를 구분하기 위하여 부여되는 일련번호로서 12자리로 표현하고, 능력 단위 명칭은 능력단위의 명칭을 기입한 것이며, 능력 단위 정의는 능력단위의 목적, 업무수행 및 활용범위를 개략적으로 기술하고, 능력단위요소는 능력단위를 구성하는 중요한 핵심 하위능력을 기술한다. 수행준거는 능력 단위요소별로 성취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개인이 도달해야 하는 수행의 기준을 제시하고, 지식·기술·태도는 능력 단위요소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기술・태도를 말하며, 적용범위 및 작업 상황은 능력단위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관련되는 범위와 물리적 혹은 환경적 조건과 능력 단위를 수행하는 데 있어 관련되는 자료, 서류, 장비, 도구, 재료를 말한다. 평가지침은 능력단위의 성취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과 평가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며, 직업기초능력은 능력단위별로 업무수행을 위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직업능력을 말한다[1].

2. 헤어미용 능력단위와 교육에 대한 기존 인식

헤어 미용 분야 최초(1차) NCS 능력단위 개발연도는 2011년이었으며, 2차는 2014년, 3차는 2016년, 2020 년 03월에는 2017년에 개발된 4차 NCS 능력 단위를 적용하여 교육훈련이 이뤄지고 있다. 또한 NCS 홈페이지를 통해 학습모듈도 함께 제공되고 있으며, 학습 모듈의 경우 2015년 샴푸와 트리트먼트, 커트디자인, 헤어 퍼머넌트 웨이브, 헤어컬러디자인, 헤어스타일연출, 두피·모발 관리까지 총 6개의 모듈만 활용되었고, 2019년은 업스타일, 특수머리연출, 미용경영 등 2017년에 개발된 4차 능력단위를 적용한 20개의 학습모듈이 활용되고 있다[1].

헤어미용직무는 미적 욕구 충족을 통해 정서적 만족감 및 자존감을 높이려는 고객에게 미용기기와 제품을 활용하여 샴푸, 헤어커트, 헤어펌, 헤어컬러, 두피·모발 관리, 헤어스타일연출, 메이크업 등의 미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을 의미한다[1]. 헤어미용분야 NCS기반 능력 단위는 직무정의에 따른 주요 내용은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능력 및 역량을 중심으로 해당 교육과정의 이수를 통해 학습자가 산업현장에서 수행해야 하는 직무의 주요 내용을 구체적으로 작성하였다[1]. 정의된 직무를 바탕으로 41개의 능력단위는 다음 [표 1]과 같이 분류되어 있다.

표 1. 헤어미용 NCS기반 능력단위

CCTHCV_2021_v21n4_773_t0001.png 이미지

이와같이 헤어미용분야 NCS기반 교육이 실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미용산업현장에서는 전공학위취득 후 취업해도 직무능력이 산업현장에서의 요구와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어 재교육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다[11].

이는 헤어미용분야 인력이 다양한 교육기관을 통해 배출되지만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능력을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기본적인 테크닉을 습득할 수는 있지만 상담교육, 인성교육, 마인드교육, 서비스교육, 제품교육, 고난이도교육, 기술교육 등 산업현장에서 직접적으로 필요로 하는 모든 직무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라는 기존 인식에서 벗어나기 쉽지 않다[5].

3. IPA 기법

IPA(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기법은 1977년 Martilla & James가 처음 자동차 산업 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한 파악을 시도한 이래 경영, 건강,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확한 현황 파악 및 경쟁력 분석 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분석기법이다[12]. 무엇보다 IPA기법은 사용이 간편하고 결과해석이 쉬우며 문제제시가 명확하여 실제 활용방안에 대한 모색을 손쉽게 한다는 점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사용하고 있다. 특히 다양하고 복잡한 성격을 가진 여러가지 항목을 평가함에 있어 어려운 통계기법 없이 평균값(mean)과 4사분면의 메트릭스만을 가지고 쉽게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고 그를 통한 대안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과적인 분석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13]. 특히 분석값의 설정에 있어 평균값, 중앙값, 표준편차 등을 활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중 평균값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분석결과는 [그림 1]과 같이 4사분면의 매트릭스로 나타나는데, 1사분면은 항목 중 강점 항목으로 지속적으로 강점을 유지(Keep Up the Good Work)해야 할 항목을 의미하고, 2사분면은 약점항목으로 집중 (Concentrate Here)하여 시급히 개선해야 할 항목이고, 3사분면은 약점항목으로 개선의 노력에 있어 저순위(Low Priority)의 항목이며, 마지막 4순위는 강점이지만 필요성이 낮은(Possible Overkill) 항목들을 의미하고 있다. 이와 같은 분류에 따라 교육이나 마케팅 현장에서 제한된 자원에 대한 배분을 결정할 수 있는 합리적 근거를 제공하게 된다.

CCTHCV_2021_v21n4_773_f0001.png 이미지

그림 1. IPA 매트릭스(출처 : Martilla & James, 1977)

Ⅲ. 연구 설계

1. 연구대상 및 분석 방법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대상은 현재 헤어살롱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력 10년 이상의 시니어 헤어디자이너로 헤어미용 NCS기반 교육을 대학과 미용 고등학교, 평생교육원, 미용전문학교, 미용학원 등을 통해 교육을 이수한 주니어헤어디자이너를 1명 이상과 함께 근무한 경험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법 (convenience sampling)을 통해 선정된 9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 문항은 NCS 헤어미용분야 41 개의 능력단위를 대상으로 각 능력단위에 대한 중요도는 리커드 5점 척도로 각 능력단위에 대한 헤어 미용 분야 NCS 교육이수자들의 성취도에 대한 만족도도 리커드 5점 척도로 구성하여 측정하였다. 척도는 점수가 클수록 중요(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여 1점은 전혀 중요(만족)하지 않다, 2점은 중요하지 않다, 3점 보통이다, 4점 중요(만족)하다, 5점 매우 중요(만족)하다를 의미한다.

설문조사는 2020년 8월 3일∼2020년 8월 22일까지 연구자가 직접 조사대상자를 대면하여 설문 취지와 방법을 설명한 후, 현장에서 설문을 받고 직접 회수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수거된 설문은 엑셀코딩 후 SPSS Ver. 25.0을 통해 분석하였다. 먼저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한 빈도분석과 응답의 유효성 검증 및 평균값 산출을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이후 IPA(Impotance-Performance Analysis)을 위한 산포도(Scatter plot) 작성을 통해 중요도와 성취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4/4분면 매트릭스를 작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도 계수 (Cronbach’ α)는 중요도 .939, 성취도 .974, 견해 .866으로 모두 .8 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고 있다.

Ⅳ. 연구결과

1. 조사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표 2]와 같다. 성별은 여성 65명(72.2%), 남성 25명(27.8%), 연령은 40 대가 31명(34.4%)으로 가장 높은 빈도율을 나타내고, 30대 28명(31.1%), 20대 22명(24.4%), 50대 9명 (10.0%), 학력은 전문학사가 41명(45.6%)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고졸 19명(21.1%), 4년제 대학교 졸업 15명(16.7%), 대학원 이상 13명(14.4%), 직위는 헤어디자이너 59명(65.6%)으로 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원장 30명(33.3%), 경력은 5~10년 29명(32.2%)로 가장 많았고, 11~15년 20명(22.2%), 16~20년 18명 (20.0%), 26년 이상 14명(15.6%), 21~25년 9명 (10.0%), 근무지역은 서울이 45명(50.0%), 경기·인천지역 41명(45.6%), 수도권 외 지역 4명(4.4%) 등으로 나타났다.

표 2. 일반적 특성 (n=90)

CCTHCV_2021_v21n4_773_t0002.png 이미지

2. 연구결과

2.1. 헤어미용분야 NCS교육에 대한 시니어 헤어디자이너들의 견해

본 연구의 헤어미용분야 NCS교육에 대해 시니어 헤어디자이너의 견해는 [표 3]과 같다.

현직 헤어디자이너 헤어미용분야 NCS 교육의 필성 (M=3.99, SD=.893), 직무능력향상효과(M=3.90, SD=.779)에 높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 교육 이수자들의 성취(M=3.47, SD=.767)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고 있다. 때문에 헤어미용분야 NCS교육의 개선 (M=3.98, SD=.653)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나타내고 있다.

표 3. NCS교육에 대한 견해

CCTHCV_2021_v21n4_773_t0003.png 이미지

2.2. 헤어미용 NCS교육 능력단위별 중요도

헤어미용 NCS교육 능력단위별 중요도에 대한 시니어 헤어디자이너들의 평가는 [표 4]와 같다.

표 4. 헤어미용분야 NCS 항목별 중요도

CCTHCV_2021_v21n4_773_t0004.png 이미지

중요도 순위로 1순위는 4. 데스크안내 업무와 대기 고객 응대하기와 고객 배웅하는 능력(M=4.678, SD=.6329)과 5. 헤어샴푸와 헤어트리트먼트하는 능력 (M=4.678, SD=.6505)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3 순위는 10. 스트레이트 드라이와 C컬 드라이하는 능력 (M=4.622, SD=.6285)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4순위는 1.미용사 개인의 위생과 미용업소위생관리와 미용업 안전사고 예방능력(M=4.589, SD=.7014)을 중요시 생각하였다. 5순위는 3. 헤어미용 전문제품 사용하는 방법과 제품 추천하는 능력(M=4.567, SD=.7039), 6순위는 2. 두피·모발관리준비와 관리하기와 마무리하는 능력 (M=4.566, SD=.7512), 7순위는 7. 기본 45도, 90도, 135도 와인딩을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M=4.544, SD=.6210), 8순위는 9. 매직스트레이트 헤어펌을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M=4.522, SD=.6907), 9순위는 8. 롤헤어펌을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M=4.500, SD=.6404) 과 18.레이어 헤어커트를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M=4.500, SD=.7228)으로 나타났다. 가장 낮은 41순위로는 36. 헤어타투 도안을 설계하여 헤어타투를 실행하는 능력(M=2.933, SD=1.1592)이 중요도 순위에서는 낮게 나왔다.

2.3. 헤어미용 NCS 교육이수자들에 대해 인식된 능력 단위별 성취도

헤어미용분야 NCS교육이수자들에 대한 능력 단위별 성취도에 대한 현직 헤어디자이너들의 평가는 [표 5] 와같다. 가장 성취도가 높게 나타난 1-10순위까지의 항목을 살펴보면, 1위가 5. 헤어샴푸와 헤어트리트먼트하는 능력(M=4.144, SD=.9187). 2순위로는 1.미용사 개인의 위생과 미용업소 위생관리와 미용업 안전사고 예방 능력(M=4.011, SD=.9772), 3순위는 10. 스트레이트드라이와 C컬 드라이하는 능력(M=3.767, SD= 9247), 4순위는 2. 두피·모발관리준비와 관리하기와 마무리하는 능력(M=3.544, SD=.8889), 5순위는 4. 데스크안내업 무와 대기 고객 응대하기와 고객 배웅하는 능력 (M=3.500, SD=.9744), 6순위는 3. 헤어 미용 전문 제품 사용하는 방법과 제품 추천하는 능력(M=3.378, SD=.8687), 7순위는 38. 미용업 재고관리를 계획하여 실행하는 능력(M=3.367, SD=.9174). 8순위는 14. 원 랭스 헤어커트를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M=3.311, SD=.9075), 9순위는 9. 매직스트레이트 헤어펌을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M=3.300, SD=1.0857), 10순위는 8. 롤헤어펌을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M=3.289, SD= .8643) 순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성취도 합계(M=2.887, SD=.6945)와 앞의 중요도 합계(M=4.073, SD=.4596) 을 비교해봤을 때 중요도에 비해 성취도의 수준이 현저히 낮아 헤어미용 현장에서의 헤어미용분야 NCS 교육이수자들이 평가하는 성취도 수준을 알 수 있었다.

표 5. 시니어헤어디자이너들이 인식하는 NCS 항목별 성취도

CCTHCV_2021_v21n4_773_t0005.png 이미지

2.4. 헤어미용 NCS교육 능력단위별 중요도- 인식성취도 간의 차이

헤어미용 NCS교육 능력단위별 중요도- 인식 성취도 차이 분석을 보면 [표 6]과 같이 41개 전 항목에서 중요도와 성취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시니어 헤어디자이너들이 생각하는 중요도에 비해 주니어헤어디자이너들의 성취도는 기대보다 낮은 수준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높게 중요도와 성취도 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18. 레이어헤어커트를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23. 디자인 헤어컬러를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33. 크리에이티브 업스타일을 준비하여 진행하고 마무리하는 능력, 31 .크리에이티브 헤어커트를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27. 불만족 고객응대와 처리하여 고객 불만 관리하는 능력, 29. 헤어디자인 계획하여 연출하는 능력 등으로 가장 기본적인 부분에서의 중요도와 성취도 간의 차이를 지적하고 있다.

표 6. NCS 항목별 중요도–성취도 인식과의 차이

CCTHCV_2021_v21n4_773_t0006.png 이미지

***p<.001

2.5 헤어미용 NCS교육 능력단위별 중요도-성취도 매트릭스 분석

헤어미용 NCS교육 능력단위별 4개 영역 중 41개 문항에서 나타난 IPA결과는 다음 [그림 2]에 정리 하였으며 중점 개선 항목 6개, 유지 강화 항목 21개, 장기개선항목 14개, 개선 고려 항목 1개 등으로 나타났다.

CCTHCV_2021_v21n4_773_f0002.png 이미지

그림 2. 헤어미용 NCS교육 능력단위별 중요도- 인식 성취도 매트릭스

2.6 헤어미용 NCS교육 능력단위별 개선 방안 헤어 미용 NCS교육 능력단위별 중요도-인식

성취도 매트릭스 분석에서는 [표 7]과 같다.

표 7. NCS 항목별 중요도-인식 성취도 매트릭스를 통한 개선방안

CCTHCV_2021_v21n4_773_t0007.png 이미지

먼저 중요도는 높으나 인식된 성취도가 낮은 능력 단위로 교육현장에서 신속한 보완이 요구되고 있는 항목은 29. 헤어디자인 계획하여 연출하는 능력과 24. 베이직 업스타일을 준비하여 진행하고 마무리하는 능력, 23. 디자인 헤어컬러를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18. 레이어 헤어커트를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27. 불만족고객 응대와 처리하여 고객 불만 관리하는 능력, 28. 헤어트렌드 정보수집하여 분석하는 능력 등 6개의 항목들로 이들 항목들은 다른 항목 대비 우선적으로 집중보완이 필요하므로 추후 더욱 집중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중요도도 높고 인식된 성취도도 높은 능력 단위로 현재 수준의 노력을 유지해야 할 항목은 총 20개의 항목이다. 세부적으로는 5. 헤어샴푸와 헤어트리트먼트하는 능력과 1. 미용사 개인의 위생과 미용업소 위생관리와 미용업 안전사고예방 능력, 10. 스트레이트 드라이와 C컬 드라이하는 능력, 2. 두피·모발관리준비와 관리하기와 마무리하는 능력, 4. 데스크안내업무와 대기 고객 응대하기와 고객 배웅하는 능력, 3. 헤어 미용 전문제품 사용하는 방법과 제품 추천하는 능력, 8. 롤 헤어펌을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9. 매직스트레이트 헤어펌을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7. 기본 45도, 90도, 135도 와인딩을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14. 원랭스 헤어커트를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21. 디지털세팅 헤어펌을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15. 고객정보를 수집하여 활용 관리하는 능력, 17. 그래쥬에이션 헤어커트를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12. 베이직 헤어컬러를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22. 볼륨매직 헤어펌을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16. 고객 미용서비스 정보를 수집하여 스타일 제안하고 요금 설정하는 능력, 20. 세로, 블록형, 더블 와인딩을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26. 헤드스파 케어 준비하여 실행하고 마무리하는 능력, 6. 특수목적 샴푸하기와 특수목적 트리트먼트하는 능력, 25. S컬 드라이와 S-S컬 드라이하는 능력 등이다. 이들 항목들은 지금과 같이 유지시키고 강화가 필요한 항목으로 앞으로도 지속적으로교육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지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중요도와 인식된 성취도가 모두 낮은 항목은 총 14개 항목으로 6. 헤어타투도안을 설계하여 헤어 타 투를 실행하는능력, 34. 전통헤어스타일을 준비하여 연출하는 능력, 35. 가발헤어스타일연출과 헤어익스텐션하는 능력, 39. 미용업 재무관리를 계획하여 실행하는 능력, 40. 미용업 인사관리를 계획하여 실행하는 능력, 41. 미용업 교육관리를 계획하여 실행하는 능력, 13. 그레이 헤어컬러를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19. 장가위 헤어커트와 클리퍼 헤어커트를 하고 쇼트헤어커트 마무리하는 능력, 33. 크리에이티브 업스타일을 준비하여진 행하고 마무리하는 능력, 32. 크리에이티브 헤어컬러를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30. 콤비네이션 헤어커트를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31. 크리에이티브 헤어커트를 하여 마무리하는 능력, 11. 블리치 레벨 차트 만들기와헤어컬러 색상환 만들기와 헤어컬러 보색 중화하는 능력, 37. 미용업 홍보활동을 계획하여 실행하는 능력 등은 중요도가 다소 낮은 항목으로, 중요도가 높은 항목대비 우선적인 개선이 필요하지는 않으나, 환경 변화에 따라 중요도 및 성취도의 변화 추이를 주기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개선방안이 요구될 수 있는 항목이다.

또한 중요도가 낮다는 것은 NCS 항목으로서의 가치에 대해서 다시한번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 또한 시대의 변화에 맞춰 점검하고 검증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중요도는 낮으나 인식된 성취도가 높은 항목은 38. 미용업 재고관리를 계획하여 실행하는 능력으로 1 개 항목으로 성취도 대비 중요도가 낮게 나온 결과를 토대로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Ⅴ. 결론

본 연구는 헤어미용분야 NCS 교육이수자들이 산업 현장에 투입되어 1년 미만의 주니어헤어디자이너에 대한 현직 시니어헤어디자이너들의 중요도·성취도에 관한 평가를 통하여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연구 결과와 논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니어헤어디자이너들은 헤어미용분야 NCS 기반 교육 중요도와 인식된 성취도가 높은 능력단위는 헤어디자이너가 되기 위해 갖춰야 할 가장 기본적인 능력 단위들에 집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헤어샴푸와트리트먼트하는 능력, 드라이하는 능력, 데스크 및 고객 응대, 미용사 및 업소 위생관리 등은 중요도와 성취도모두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능력단위로 이를 보면 헤어 미용 분야 NCS기반 교육의 항목 선정 및 학교에서의 교육이 대체로 같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체 41개 능력단위 중 20개 능력단위가 높은 중요도와 함께 높게 인식된 성취도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은 헤어미용분야 NCS기반 능력단위 선정이 산업 현장에서도 필요한 부분과 어느 정도 일치하고 있으며 교육성과 또한 긍정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이들 능력단위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 강화 관리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헤어미용분야에서 NCS기반 교육이 실시된 이후 전반적인 직무능력 수준이 향상되었다는 기존 연구[4] 및 NCS 교육이수자가 비이수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숙련도를 보이고 있다는 연구 [11]와 같은 맥락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많은 부분에서 NCS 능력단위들이 효과적으로 편성되어 있고 또 이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니어헤어디자이너들의 평가에 따르면 NCS 교육에서 가장 부족한 능력단위로 창의력 부족, 최신 정보 수집 및 분석 능력 부족 등이 가장 취약한 점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디자이너로서의 크리에이티브 능력 및 발전에 대한 노력이 부족하다는 것으로 현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NCS 교육이수자들의 수준 평가에서 헤어퍼머넌트웨이브 등과 같은 시술 단계에 대한 성취가 가장 낮게 나타나고 있는 선행연구[4]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기술적 능력보다는 창의성과 개인별 차별점의 함양이 더욱 중요시되는 부분에서의 교육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해주고 있다.

셋째, 주요 개선 능력단위로 불만족 고객 대응 및 관리 능력의 지적은 교육 현장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현장 필요항목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고객 응대 능력 향상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는 선행연구의 결과[4]와 일치하는 결과로 NCS교육에 있어 기술적 요소만이 아닌 경영, 마케팅분야에 대한 관심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넷째, 중요도와 인식된 성취도가 모두 낮은 14개 능력 단위에 대해서는 항목 필요성에 대한 고려 및 논의가 필요하며 낮은 인식된 성취도에 대한 유지를 기반으로 환경 변화의 흐름을 고려하여 중요도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헤어미용분야 NCS기반 능력 단위 별 중요도와 인식된 성취도에 대해 강화하거나 개선되어야 할 능력단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기본적으로 헤어 미용 분야에서 NCS기반 교육은 그 효과에 있어 산업 현장에서 높은 지지를 받고 있음[4][11]이 확인되고 있다. 때문에 이를 유지하면서 일부 부족한 부분을 보완한다면 보다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각 교육기관에서 NCS기반 교육에 대한 유효성에 대한 확인과 그에 대한 적절한 교육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시행해야 할 것이다. 이에 산업현장에 맞는 NCS교육을 대학 및 각 기관에서는 이론 및 실습 교육을 헤어 미용 분야 NCS교육을 능력단위별로 좀 더 보완하여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맞춤형 인재를 양성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설문조사의 대상자가 산업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시니어 헤어디자이너를 대상으로 하고 있기에 설문대상의 수를 90명에 한정되어 있음과 미용대학에서 진행하는 현장실습의 운영시기에 따라 능력단위별 교육이 실무에서 더 필요로 하는 능력단위와 차이가 있을 수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헤어미용분야 NCS교육이수자들에 대한 1년과 3년, 5년 후 등 3단계로 나누어 능력 단계별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References

  1. 교육부, NCS(국가직무표준능력)기반 교육과정 가이드라인, 2015.
  2. 김미정, 이현주, "헤어미용분야 NCS 교육훈련 도입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미용학회지, 제24권, 제6호, pp.1139-1147, 2018.
  3. 김미정, 이현주, "NCS기반 현장실습 매뉴얼 개발 연구; 헤어 미용능력 기준,"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7권, 제4호, pp.219-231, 2016.
  4. 김미정, 이현주, "NCS기반 헤어직무수행도 평가체계개발," 한국미용학회지, 제25권, 제4호, pp.827-834, 2019.
  5. 박혜린, 헤어미용교육에 활용되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분석 및 인식,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6. 정윤혜, 특성화고등학교 미용과 헤어미용 교육과정의 내용영역과 NCS의 능력단위, 국가기술자격의 실기과제 비교 분석,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7. 정은정, NCS기반 미용사(일반) 자격증제도의 현장 활용성 만족도에 관한 연구,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8. 이혜인, NCS교육과정의 상용화에 따른 직업훈련교사들의 이해정도와 교육과정에 대한 활용 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9. 김영배, NCS 뷰티디자인 전문가 평가항목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연구,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0. 최묘선, NCS 기반 헤어미용 교육과 실무능력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11. 송순미, 헤어미용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의 두피.모발관리 교육과정 비교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2. John A. Martilla and John C. Jam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 of Marketing, Vol..41, No.1, pp.77-79, 1977. https://doi.org/10.2307/1250495
  13. 최문규, IPA 기반 한국철도산업 해외진출 단계별 개선방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