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sign Improvement of Sign System in Gimpo Urban Railway Station

김포 도시철도역 사인시스템 디자인 개선에 관한 연구

  • 양근영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
  • 손광호 (인제대학교 실내건축학과)
  • Received : 2020.12.29
  • Accepted : 2021.02.06
  • Published : 2021.04.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the design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sign system of urban railway sta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o see how difficult it is for users to use. As a research method, first, a theoretical study on the literature of the urban railway sign system, second,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sign design of the Gimpo Goldline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ird, a survey on the actual use of the sign and problems wa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current status survey, the location sign is in central alignment with the font of the guide sign, and the guidance sign is in front/back alignm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The background of the font is white and the text is dark black to make it look good to the user. On the other hand, guidance sign is written in white color and background color is gray color. Currently, the Gimpo Urban Railway Guidance Sign System is newly produced and installed, but there is a lack of user design and needs design maintenance that can clearly deliver information to users.

본 연구는 수도권 도시철도역 사인시스템에 대하여 사용자가 이용하는데 어떠한 어려움이 있는지 디자인 현황 및 개선 방향에 대하여 연구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도시철도 사인시스템의 문헌 이론적 고찰, 둘째, 수도권 김포골드라인의 사인 디자인 현황조사, 셋째, 사인의 사용실태, 이용자 문제점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안내사인의 폰트는 위치사인은 중앙정렬로 되어져 있으며, 유도사인은 입출구 위치에 따라 앞/뒤 정렬로 되어져있다. 폰트는 이용자에게 잘 보이기 위하여 배경은 하얀색과 문자는 진한 검은색으로 제작되어져있다. 유도사인은 반대로 문자색은 하얀색과 배경색은 회색으로 제작되어져 있다. 사인에 대한 이용자 조사결과 역의 종합적인 인상에서 혼잡하지 않고 큰 불편은 없다. 그리고 유도안내사인 이용에 대하여 장애인, 외국인의 교통약자가 일반인에 비해 사인 의존도가 높다. 또한 안내사인의 부착 위치와 관련하여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설계와 관련하여 적절하지 않다는 의견이 많다. 현재 김포도시철도 안내사인시스템은 새롭게 제작 설치되었지만 사용자 설계가 부족하고 이용자에게 명확하게 정보 전달 할 수 있는 디자인 정비가 필요 하다. 역내 사인시스템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고, 안전을 확보하며 각종 위험으로부터 벗어 날 수 있는 안내 사인이 될 수 있도록 디자인 정비되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Ⅰ. 서론

1. 연구배경과 목적

오늘날 우리는 매우 많은 정보와 복잡한 환경 속에 살아가고 있다. 특히 도시철도 역내에 필요한 공간의 위치를 탐색하고, 찾아가고자 하는 공간의 방향을 확인할 때, 상호간의 약속된 표시인 사인을 통하여 유용한 정보를 얻는다. 전철역이나 터미널 같은 복잡한 시설에서 이용자가 끊임없이 이동하는 혼잡한 장소에 설치되는 사인시스템은 쉽게 정보가 이해되며 인간의 행동으로 전달될 수 있게 적절하게 제공되어져야 한다. 또한 사인이 제작될 위치와 공간이 조화를 이룰 수 있게 제작 되어져야한다[1].

赤瀬 達三 아카세 타츠죠 사인시스템 설계학(2015)에서 도시 철도역의 사인시스템은 이용자 측면에서 내용을 제공하기보다는 각각의 지자체 편리와 이익을 추구하여 제작 설계되어진 디자인 사례가 많다[2].

이로 인하여 이용자는 정보의 오류와 문제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의 목적으로 도시철도역의 안내사인 시스템에 대해 이용자 측면에서 보다 쉽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정보를 제공해야 하는지, 문제점과 해결 방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사인시스템의 디자인 개선에 관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범위와 방법

본 연구에서는 사인시스템 공간 특성과 도시철도역 환경요인 및 각각의 시각적 요소를 분석하고 사인시스템의 효율성을 증가 및 사인시스템 디자인 개선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 및 범위는 수도권 지역으로 최근 설계되어진 김포골드라인에 대하여 지역주민과 노약자, 외국인을 대상으로 사인시스템을 이용하는데 어떠한 어려움이 있으며, 해당 원인과 해결 방안에 대하여 질문지 조사를 통해 진행하였다. 연구의 1차 조사로 사인시스템 문헌에 따른 연구 고찰을 진행하였다. 2차 조사는 김포 도시철도역과 해외우수사례 역을 대상으로 사인시스템에 대한 디자인 분류를 하였다. 3차 조사는 도시철도역 사인시스템을 알기 쉽게 전달하기 위한 디자인 개선과 향후 디자인 방향으로 문제점 해결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Ⅱ. 이론적 고찰과 김포도시철도

1. 사인시스템의 일반적 의미

공공교통시설에서 사인시스템은 사인의 전체적인 체계를 말하며, 공간에서 전체의 환경에 질서를 부여하여 보다 알기 쉽고 체계적인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사인시스템은 사람과 도시환경을 연결하는 매개체의 역할을 하므로 사인시스템을 디자인할 때에는 반드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을 추구하여야 한다[3].

즉사인의 기능적인 요소와 심미적인 요소 모두 중요하다는 것으로, 이 두 가지 요건이 충족될 때 사인시스템의 인지적 요소도 함께 향상될 수 있다[4].

특히 도시철도역은 수많은 이용자가 계속 이동하는 혼잡한 장소에서 사인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기본적인 목적이 있다. 첫째, 사인시스템은 인지하기 쉬운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되어 외국인이나 고령자, 장애인 등의 교통약자를 포함하여 누구라도 한 눈에 알기 쉽게 사용함으로써 이용자 간의 의사소통이 성립한다.

둘째, 이동 중 한 번에 많은 양의 사인이미지의 정보의 데이터를 기억할 수 없기 때문에 원활한 이동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필요 위치에 알맞은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교통 시설의 쾌적함을 조성하는데 도움이 되어야한다. 여기서 ‘쾌적’이란 안전하고 이용자가 편리한 효율적인 공간을 뜻한다[5].

2. 사인시스템의 선행 문제

사인시스템과 지하철 이용자 및 도시철도 노선의 증가로 인하여 환승역이 많아지고 역 주변의 건물과의 연계로 지하철 공간은 대형화되고 복잡하게 되었다. 이는 사인의 사용빈도와 정보의 증가가 결과적으로 내부 공간을 더욱 혼동하게 만들고 그 기능을 약화시키고 있다. 이것은 공간 특성 및 정보에 따른 사인시스템 위치 설계 등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 과정 없이 일반 시설물로 제작 기준을 다루고 있는 사인 가이드라인의 한계이기도하다. 이에 따라 공간 환경에서 사인시스템의 관련성, 이용자 행태와 인지특성, 모든 종류 환경요인과 학습과 기억 등을 고려한 사인배치 등의 건축학적 측면에서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도시철도역은 일반 공간에 비해 심리적, 환경적으로 취약한 지하 공간에서 길을 잃어버리는 것은 단순히 방향 감각을 잃어버리는 것이 아니라 이것은 불안함과 당혹감 더 나아가 심리적으로 공포심이 만들어지는 심각한 문제이며 이용객들에게 불편함과 많은 문제점을 발생하게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평소 디자인 제작 과정에서 편안하고 쾌적함을 목표로 디자인하는 것이 적절하다. 특히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출입하는 교통시설, 관광시설, 스포츠시설, 상업 시설 등에 사용되어지는 안내용 도표 기호는,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제작되어져야 한다.

첫째, 읽지 않아도 한 눈에 알기 쉽다.

둘째, 길게 되어 있지 않아도 쉽게 알 수 있게 이미지를 원 포인트로 표시할 수 있다.

셋째, 공통언어인 영어로 표기되어 있지 않아도 한 눈에 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게 제작 되어져야 한다. 일반 사람들도 함께 고령자와 시각장애자, 외국인에게 정보를 전달하고 싶은 장소에 있어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림 1. 도로안내기호의 사례

출처: 일본표준안내용도 기호 가이드라인 사례

3. 김포도시철도 현황

김포 골드라인은 서울 강서구 양촌역에서 김포공항역까지 연결하는 도시철도로써 노선은 23.67km, 역수는 10개로 구성되어있다. 2019년에 개통한 도시전철은 개통 직후 개통 직후에는 지역 언론에서 관찰한 결과 우려했던 지옥철 현상은 없었고, 출근 시간대에도 붐비긴 했지만 9호선보다는 덜한 수준이었으며, 고촌역에서도 무리 없이 승차가 가능하다. 다만, 2020년 한 해에만 1만 6천여 세대의 아파트 입주가 예정되어 있고 계획인구 60만을 목표로 각종 택지개발과 뉴타운이 이어질 전망이라 지역 주민들은 조만간 김포 도시철도가 지옥철이 되고 말 것이라며 우려하고 있으며, 도시철도가 시민 사이에서 잘 알려진 후 수송 능력에 한계가 발생했다는 의견이 있다.

4. 선행연구의 고찰

도시철도역 사인시스템과 관련하여 현재 선행연구로서 장혜진(2016) 보행 환경을 위한 도시 웨이파인딩 사례 조사 연구, 유현배(2014) 부산지하철의 사인시스템의 유니버설디자인 측면 적합성에 분류한 연구 등이 있다. 이 연구는 도시철도역의 사인시스템 특성과 유니버설 디자인 특성으로 나뉘어 사례와 비교분석을 한 것이다. 그 외 사인시스템 선행연구 사례에 대하여 아래 [표 1] 와 같이 정리하였다.

표 1. 철도사인시스템 연구사례

Ⅲ. 국내외 사인시스템 디자인 사례

본 연구의 조사대상인 김포골드라인 사인디자인과 일본의 우수 사례 사인시스템 디자인에서 2020년 도쿄 올림픽으로 새롭게 정비한 일본 시부야역, 신주쿠역, 도쿄역, 나리타공항 4개역의 사인시스템에 대하여 2019년 12월 도시철도 현장 조사하였다. 2019년 12월 새롭게 완공한 시부야 스크럼블 스퀘어는 복합문화공간과 도시전철을 연결하는 시부야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으며 2020년 일본 사인디자인 어워드 수상으로 도시철도 역 사인시스템의 우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사인디자인 현황과 관련하여 [표 2]와 같이 정리하였다.

표 2. 역의 사인시스템 현황 종합표

현재 일본 도시철도역의 사인은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를 간략하고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출구에 대한 정보를 전체 한 면에 전달하고 있다. 또한 무분별한 상업사인을 자제하고 있으며, 되도록 시야에 잘 들어오기 위해 폰트와 아이콘을 전체 면을 이용하여 제공하고 있는 사례도 있다. 국내 사인도 적재적소 외벽 전체 면을 이용하여 출구나 공공시설에 대한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사례와 비교하여 플레이트의 마감처리 부분에서 전달이 부족하다. 또한 종합안내 사인의 경우 시부야역 스크럼블 스퀘어의 사례를 보면 나가는 출구와 주변안내사인, 역 주변 안내사인을 한곳에 모아 정돈된 모습을 주고 있다. 김포라인의 경우 비슷하게 종합 안내를 제공하고 있으나 조금 더 명확하게 전달되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표 3. 김포 도시철도역 종류별 사인

표 4. 일본 도시철도역 주요 종류별 사인

Ⅳ. 사용실태 및 문제파악을 위한 조사

1. 조사개요

(1) 사인 실태조사 위한 1차 현황 조사를 통하여 사용자 의식, 니즈 조사를 위한 2차 조사를 실시하였다.

(2) 도시철도역 사인시스템 가운데 사용자가 실제 가장 많이 이용하게 되는 종합 안내사인과 유도사인을 중심으로 조사를 하였다.

(3) 조사를 위한 전철역은 김포도시철도라인 10개 역 중에서 현재 이용자수가 제일 많은 양촌역, 시청역과 이용객이 가장 많고 환승역인 김포공항역을 선정하였다.

2. 1차 현황 조사 결과

(1) 도시철도역 사인 시스템 현황

김포시청역과 공항역의 종합안내사인과 유도사인에 대한 디자인 현황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내용으로 문자폰트정렬, 문자색/배경색, 서체, 크기의 통일성, 외국어 유무, 픽토그램여부, 재질, 조명, 통일성으로 나뉘어 디자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안내사인 폰트는 주로 중앙정렬로 되어져 있으며, 유도사인은 입출구에 따라 앞/뒷줄 정렬로 되어져있다. 폰트색의 배경색과 관련하여 안내사인의 경우 폰트가 눈에 잘 보이기 위해 폰트색은 검은색과 배경은 하얀색으로 제작되어져 있다. 유도사인은 반대로 폰트는 하얀색, 배경색은 회색으로 제작되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안내사인과 유도사인에 대한 색상을 차별화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실사용에 대한 실태 파악을 위한 조사

사인시스템 이용자에 대한 실태 조사를 위해 시청역, 김포공항역 지하철 승강장 및 승차를 위해 대기하고 있는 이용자 대상 12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인터뷰 및 인터넷 구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기간은 2020년 6월 1일부터 7월 30일까지 진행하였다. 조사결과는 Spss12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결과를 정리하였다.

표 5. 사인시스템 실태조사를 위한 기초조사

3. 실사용인 의식과 니즈 파악을 위한 2차조사

(1) 조사방법

대상 표본 비율은 1차 이용자 조사결과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질문지를 작성 on-off 방식(대면 및 인터넷 조사)으로 진행하였다. 응답자 유형으로 일반인 남성과 여성 65세 이상 고령자, 장애인, 외국인 5개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응답 표본 수 및 조사 수령 방법으로 아래 [표 6]과 같다. 조사항목으로 역의 사용자 이용빈도, 이용 편이성, 사인부착 위치의 적합성, 디자인 통일성, 개선 필요성 등 10개 항목으로 나뉘어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항목으로는 [표 7]와 같이 정리하였다.

표 6. 2차 조사 대상 표본비율 및 방법

표 7. 조사 주요내용

(2) 조사결과

1) 안내사인의 이해도

일반인의 경우 남자에 비해 여자가 사인 사용하는 빈도가 높고 장애인, 외국인 교통약자들의 안내판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빈도가 일반인에 비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표 8. 안내판 이용정도

2) 안내사인의 설계

남자인 경우 43%, 일반 여성이 40% 적합하지 못하다는 의견이다. 교통약자들은 60% 이상 적합하지 못하고 특히 외국인은 65%가 알기 쉽게 설계가 되어있지 않다고 하였다.

표 9. 안내표지 사인설계

3) 위치의 적합성

표지판 위치에 대한 내용으로 일반인, 고령자, 장애인의 경우 적합하다와 부적합이 대등한 수치를 보이고 있으나 외국인의 경우 부적합하다는 의견이 많은 응답을 차지하고 있다. 그 이유로 사인의 위치, 영문 폰트크기 문제점으로 사인을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인디자인 제작 시에 일반인 기준으로 디자인 제작되어져 있어 사회적 약자인 고령자, 외국인 이용에 불편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0. 설치 위치의 적합

4) 안내사인의 통일성(사인표준화)

사인시스템에 대한 표준화가 되어있지 않아 통일성이 없다가 22% 차지하며, 표준화되었으나 42% 수준으로 통일성이 되어 있지 않다고 하였다.

표 11. 안내사인의 통일성(표준)

5) 안내사인의 개선사항

일반인과 외국인의 경우 쉽게 길 찾기를 위해서 안내, 유도사인에 고령자, 장애인 신체적 약자를 위한 안전, 규제에 대한 디자인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표 12. 안내사인의 개선사항

6) 안내 표지판의 애로사항

일반인, 교통약자 등의 무분별한 상업광고와 주위 조명시설물의 문제점, 고령자는 특히 글씨가 작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상업광고에 대한 규제와 가이드라인 제시가 필요하다.

표 13. 불편한 이유

7) 안내표지의 주요기능

사인의 유도, 안내사인에 대한 중요기능으로 선택하였고, 다음으로 사인에 대한 안전과 규제를 선택하였다.

표 14. 정보의 중요 기능

8) 위급사항 배치정도

장애인에 대한 사인시스템 설계에 대한 배치가 부족하다는 의견이 50% 의견으로 일반적으로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제작 설치와 위치에 관하여 적절하게 디자인 되어져야 한다. 그 외 만족하다는 의견이 43%에 불과하다.

표 15. 배치정도의 만족도

9) 상업광고의 유해성

상업광고로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데 불편한 영향을 준다라고 50%, 많이 필요하다 22%이다. 상업광고가 영향을 주고 있다는 의견이 70% 이상으로 정보를 얻는 데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영향을 주지 않다는 의견으로 3%로 많지 않다.

표 16. 상업사인이 미치는 영향

Ⅴ. 조사결과 고찰

1. 외부시설 조망 확보와 이동시 앞의 시각화

도시철도 역의 내부가 매우 알기 어려운 원인 중의 한 가지는 창밖의 풍경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지상에는 보기 쉬운 풍경, 예를 들어 하늘과 수목, 건물, 신호, 이동하는 사람 등의 전체 다량의 정보가 내재하고 있으며, 이들에 의해 위치 정보에 대하여 무엇이 발생하고 있는지 이해하고 있다. 또한 이것은 계절감과 시간의 바뀜, 천체 등 자연의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회 전체적인 분위기를 전달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이러한 풍경이 보이이며 개방감과 바깥 외부 조망을 확보하는 것은 쾌적하고 편리한 역을 만드는 기본사항이 된다.

[그림 2]는 입장동선 및 출장동선 입구에서부터 출구가 바로 보이는, 출구에 들어가는 홈에서 이동 계단이 곧바로 보이는 역 승강부 내부의 모습이다. 조사결과 에서 무분별과 광고가 사용자에게 많은 어려움을 제시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경우 홈에 도착하여 이용자가 길 찾는데 어려움 없이, 중앙 통로에 연결되는 계단이 바로 인지할 수 있게 제작 되어진 사례이다. 실제 이동하는 중간에 앞에 나타내는 사인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 2. 이동 중에 보여지는 역 승강부(일본 시부야역내)

표 17. 환승역 사인시스템 사례 및 문제점

이용자가 이동시 일정구간 반복적으로 사인을 설치하여 이용자가 이동하는데 오류,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2. 상업광고로 인한 정보 사인의 피해

도시철도역 사인의 조사 결과 도시철도역의 사인시스템을 이용하는데 공공사인 이외에 상업 및 광고 사인 등이 복잡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도시철도역 내 길 찾기 과정에 어려움이 많다. 사인을 찾기 쉽게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는데 수많은 상업광고 사인과 내부 조명식 플랙스 사인 등으로 정보를 얻는데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상업 광고 사인을 규제하고 일관성 있게 통일화 작업화 정리되어져야 할 것이다. 아래 [그림 3]는 출구에서 주변 역 종합안내 사인이다. 그러나 제공 되어지고 있는 공간 면에 비해서 명확하게 정보를 제공되어있지 않다. 사인에 대한 통일성과 명확성이 부족하다. 특히 왼쪽 상업광고 이미지가 일반 안내 정보보다 크게 전달되어지고 있어서 보는 이에게 역으로 부담감을 주고 있다. 이용자가 정보를 얻는데 한눈에 알기 쉽게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져야 하는데 많은 상업사인과 조명식 사인 등으로 찾고자 하는 정보를 쉽게 인지하기 어렵다. 이러한 상업 광고 사인을 통일화하고 정리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림 3. 상업광고 잘못된 설치사례

3. 채광, 조명, 색채 설계

사인시스템은 색채설계는 전체적인 공간의 실정을 색채의 면으로부터 검침 제안하는 설계이다. 여기서 말하는 색채설계는 소재도 포함하여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내외장과 함께 마무리 설계를 생각하는 것이 적절하다. 색채에 의해 여러 가지의 정보를 나타내고, 난색과 한색, 흥분색과 침착색, 화려한 색과 수수한 색, 팽창색과 수축색, 가벼운 색과 무거운 색, 부드러운 색과 딱딱한 색 등이 여기에 있다. 이러한 효과를 각각의 공간에 적당한 변화를 만들어내고, 단조로움을 피하며 공간 자체 유용성을 만들어내는 것이 요구된다. 역 공간의 마감재는 돌과 금속 표현에 도색되어진 재질도 많다. 이것은 표면색과 투과색이 혼성하는 복잡 미묘한 색채에 의해 성립되기 때문에 색의 깊이를 느끼게 하는 것이 될 수 있다.

4. 디자인 개선 방안

일반적으로 교통 공공시설물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계 제작되어져 교통약자라고 불리우는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 외국인 등 시설물을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시설물에 대한 정보 니즈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특히 시각장애인의 경우 시각기관으로부터 정보 수용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감각 기관을 총동원하여 현황을 파악하고자 한다. 일반 시각 장애자는 일차원, 이차원, 삼차원 적인 공간 파악이 서투르다고 한다. 이러한 문제로 오래전부터 유도소리사인(소리, 벨)을 설치하는 장소와 소리음에 대하여 통일적인 기준이 요구되어 전국적으로 동일하게 역의 개찰구와 지하철 입구, 홈 계단을 지시하는 유도 사인벨의 정비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역과 관련하여 쉽게 개선되어져야 할 사항으로 첫째, 공공(公共)공간의 표현의 통일로 설계대상 구간의 역의 통로, 출입구 이외 대합실 등의 이미지 계획을 통일성 있게 설계 제작 제시한다.

둘째, 안내용 도표 기호의 명확성으로 안내도표 이미지는 쉽게 알 수 있어야 하며, 외국인의 경우 공통언어인 영어로 되어 있지 않아도 알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장애인 가운데 휠체어 사용자의 경우 일반 보행자보다 바라보는 시야가 낮으므로 될 수 있으면 사인은 높은 위치에 있는 것이 좋다.

넷째, 배치와 관련하여 유도사인은 각 구간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제작하며, 유연성으로 동선 각각의 분기점, 통로좌우, 계단입구에 설치 제작 방법 등이 필요하다.

그림 4. 사인시스템 개선 방향

Ⅴ. 결론

김포 도시철도역은 공간 구조 자체가 경제 논리에 의해 건설시기별로 다른 구조형태로 설정되었고, 과다할 정도의 구조적경향 설계와 환승구조에 대합실 개념을 끼워 넣어 층수가 다른 대합실을 혼용하여 연결해 매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다. 김포 도시철도역의 가장 중요한 문제는 일관성이며, 공간이용자의 입장에서 자신의 진로를 결정하고 확인할 수 있는 연계성은 일관성을 확보하는 주요한 장치이며, 이를 위해서는 불필요한 중복 정보를 없애 명확성을 올리고 인지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 김포골드라인역의 사인시스템은 점진적으로 늘어나는 정보와 체계적으로 갖추어지지 않은 사인으로 인하여 이용자는 어려움을 겪는다. 사인시스템의 문제 종합으로 세 가지 문제점을 제시할 수 있다.

첫째, 공간구조적인 문제로 복잡하고 특수한 도시철도역 공간의 사인시스템의 구조적 문제점 해결이다.

둘째, 정보체계문제로써 불필요한 중복정보 및 상업 광고 제한이 필요하다.

셋째, 시설연계 문제로 시설물 간섭시 설치 배치의 고려와 편의 원활한 안전시설 제공이 필요하다. 특히 사회적 약자라고 할 수 있는 고령자, 장애인, 외국인에게 불편함이 많다. 외국인의 경우 한국어 능력이 어렵기 때문에 그 나라 언어로 정보를 제공하면 알기 쉽지만 그 많은 언어를 사인으로 제공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김포골드라인역의 사인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안에 대하여 평가 분류하였다. 현재 김포도시철도는 이용자의 편리를 위하여 앞으로 더욱 늘어날 예정이다. 이를 위해 향후 철저한 제작 검침과 디자인 설계에 의한 사인시스템 구축으로 도시철도역의 상쾌하고 즐겁게 이용할 수 있는 문화 공간을 만들어 나아가야 할 것 이다.

References

  1. 윤나리, 윤선영, "국내 어린이 미술관의 사인시스템에 관한 비교 연구," 제13권, 제1호, p.15, 2016.
  2. Akase Tazuzo, 사인시스템 설계학, 코지마출판사, p.112, 2013.
  3. 한세준, "공공장소의 디지털 정보 사인시스템에 대한 디자인 연구:상호작용적 디자인 요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지식학회, 제10권, 2009.
  4. 노태진, "전시컨벤션 유도, 안내 사인디자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제10권, 03호, 2011.
  5. 이경아, 공간특성과 시지각 요소의 분석을 통한 지하철 사인시스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메트로경영관리처, 2014.
  6. 현하철, "제주국제공항 공공사인시스템에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연구,"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제29권, pp145-157, 2011
  7. 예춘홍, 안병진, "공공공간 사인시스템의 유니버설디자인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제24권, pp.239-247, 2016.
  8. 한욱현, "사인 디자인에 있어서 문자의 최소판독크기산출,"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46권, pp63-72, 2014.
  9. 유현배,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의 부산지하철 사인시스템 연구,"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제39권, pp.155-165, 2014.
  10. 장혜진, "보행친화성을 고려한 도시 웨이파인딩(Wayfinding) 사인시스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제12권, 제1호, pp.47-60,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