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ctual Situation and Task that The Industrial Area Highschools Organiz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Based Curriculum

공업계 고교 NCS 기반 교육과정의 편성 실태와 과제

  • Lee, Young-Min (Korea Research Institute Vocational and Training) ;
  • Lim, Yu Hhwa (Korea Research Institute Vocational and Training)
  • Received : 2016.01.31
  • Accepted : 2016.03.12
  • Published : 2016.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how industrial highschool try to organize and apply NCS based curriculuma, to find out problems, and to suggest what the task for the sustained development and growth under the NCS based industrial high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identify actual situation and problems, when a industrial highschool organize and apply NCS based curriculum, we suveyed NCS based curriculum that 583 specialized, Meister highschools organize. The problems to identify through analysis about NCS based curriculum that schools organize are the followings First, schools' NCS based curriculum is set up too much comprehensive type for training human resources. Second, carreer path of students is not considered by schools' NCS based curriculum. Third, yearly plan for schools' NCS based curriculum is not balanced to raise working experience skill among each grades. Forth, schools are not ready to use NCS learning module. Task to solve these problems are the following. First, schools' curriculum have to be organized on the basis of NCS's purpose. Second, teachers have to restructure the NCS learning module in order to go up availability of NCS learning module. Third, industrial highschools have to make efforts to raise students' working experience skill. Finally, industrial highschools have to make efforts to raise teachers' competency to need that they teach and train their students' working experience skill.

이 연구는 공업계 고교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NCS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성장 발전을 위한 과제가 무엇인지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성화고, 마이스터고 및 전문계학과를 설치한 일반고를 포함하여 총 583개교를 대상으로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조사하였고, 그 중 283개 단위학교의 공업분야 교육과정 편성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파악된 문제점은 첫째, 산업분야별 인력수요 전망을 고려하여 객관적으로 기준학과를 설치하지 못했다는 점. 둘째, 공업분야 특성화고의 경우 실무과목의 수와 과목당 평균단위수가 다른 특성화고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학습모듈 활용, 교수학습방법 개발 및 교원 역량 강화 방안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 셋째, 공업분야 특성화고의 전문교과 담당교사의 수업부담이 더 증가한다는 점, 넷째, 인력양성목표와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이 약하다는 점, 다섯째, NCS 실무과목을 3학년에 집중 편성함으로 인해 체계적이고 균형잡힌 학습에 한계가 있다는 점이었다. 공업계 고교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이 선순환적으로 작동하고 안착하기 위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역량 향상과 Career Path(진로경로)를 고려하여 NCS 기반 교육과정을 편성해야 한다. 둘째, NCS 학습모듈 내용을 재구조화해야 한다. 셋째, NCS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하여 모듈식 교수학습방법 등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을 연구 적용해야 한다. 넷째, 교원의 역할변화로 요구되는 추가역량에 대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교원의 수업부담 경감방안과 수업역량 강화방안을 확립하여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관계부처합동(2013). 박근혜정부 국정과제.
  2. 고용노동부.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2014). 국가직무능력표준개발 매뉴얼 2014.
  3. 교육부(2015).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기초 조사 자료(2015.11.12)
  4. 김진수(2015). 2015 직업교육단체 공동학술대회 및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고교직업교육과정 3차 포럼.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한국직업능력개발원.
  5. 나영돈(2013). 한국형 일.학습 듀얼시스템의 소개 및 정책방향. The HRD Review, 16(6), pp.114-118.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이영민(2004). 공업교육을 위한 비동기 학습 네트워크(ALN :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 기반 모듈식 교수-학습 모델 개발. 박사학위논문.
  7. 이영민(2010). 고등학교 프로젝트 실습. 씨마스..
  8. 장명희 외(2013). NCS 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총론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9. 정향진 외(2010). 2010년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활용 : 국가직무능력표준에의한 교육훈련과정 운영.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최동선 외(2015). 국가직무능력표준(NCS)기반 고교 직업교육과정 교과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