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ara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초

AMSR-E 위성 데이터를 이용한 북극해빙분포의 계절 변동 및 연 변동 조사: 2002년 7월 ~ 2009년 5월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tions of Sea Ice Distribution in the Arctic Using AMSR-E Data: July 2002 to May 2009)

  • 양찬수;나재호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23-434
    • /
    • 2009
  • 북극의 환경은 해빙의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해빙(sea-ice)의 증감은 지구 온난화의 지표이기도 하다. 따라서, 지구의 기후변동의 과정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북극 해빙의 변동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1970년대부터 인공위성의 원격탐사방법인 수동마이크로파 센서를 사용해 왔으며, 해빙의 면적과 유형을 판단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북극 해빙분포의 계절 및 연 변동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북위 60이상의 영역에 대한 2002년 7월부터 2009년 5월까지의 수동마이크로파 센서 AMSR-E 12.5km 해빙농도(SIC)데이터(기존 수동마이크로파 센서보다 5배의 해상도)를 사용하였다. 여름 최저 해빙역 시점의 데이터에 의하면, 북극 해빙면적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그 감소율은 연간 3.1%로 이것은 약 0.2백만$km^2$의 해빙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 경향은 여름철 해수면수온과 기온의 증가와 관련 있는 다년빙(Multi-Hear ice)의 감소와 함께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1년빙(First-year ice)의 면적은 최저의 해빙면적을 기록하였던 2007까지 감소하나, 갑작스런 다년빙(Multi-year ice)의 감소는 2008-2009년 기간의 1년빙의 증가로 이어졌다. 계절에 따른 연 변동에 있어서는, 1월-3월기간에 걸처 바렌츠해(Barents Sea)와 래브라도해(Labrador Sea)에서 공간변동이 크고, 8월-10월 기간에는 동시베리아해(East Siberian Sea)에서 북극점에 이르는 범위에서 큰 것으로 나타났다. 7년 동안 녹지 않은 다년빙의 공간분포도에 의하면, 다년빙이 러시아해역의 동시베리아해, 랍데브해(Laptev Sea)와 카라해(Kara Sea)에서 급격하게 감소하고 있어서 가까운 장래에 북동항로(Northeast Passage)의 이용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Pancreatic Carcinoma, Thrombosis and Mean Platelet Volume: Single Center Experience from the Southeast Region of Turkey

  • Afsar, Cigdem Usul;Gunaldi, Meral;Kum, Pinar;Sahin, Berksoy;Erkisi, Melek;Kara, Ismail Oguz;Paydas, Semra;Duman, Berna Bozkurt;Ercolak, Vehbi;Karaca, Feryal;Uyeturk, Ummugul;Guner, Sebnem Izmi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1호
    • /
    • pp.9143-9146
    • /
    • 2014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eep vein thrombosis (DVT) and pancreatic cancer as well as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 platelet volume (MPV), DVT and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seven patients with pancreatic cancer, who were admitted to Cukurova University Medical Faculty, Department of Medical Oncology, were enrolled in the study Results: The mean age was $59{\pm}20$. Forty-nine (63.6%) were men and 28 women (36.4%). Sixty-eight (88.3%) patients had adenocarcinoma and 9 (11.7%) had a malignant epithelial tumor. Thirty-six (46.7%) had liver metastasis at diagnosis. Twenty-six (33.8%) patients were alive, 20 (26%) were dead and in 31 (40.2%) the status was unknown. Only 14 (18.1%) patients had DVT. In 42 (54.5%) patients MPV values were normal, in 28 (36.4%) patients they were above normal, and in 7 (9.1%) patients they were below norma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tumour localization, chemotherapy and survival rates (p:0.56, p:0.11, p:0.2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VT, gender, localisation, histological subtype, the presence of metastasis, stage and if the patient had been treated with chemotherapy (p:0.5, p:0.6, p:0.2, p:0.32, p:0.1, p:0.84).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PV and DVT (p:0.57)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iver metastasis and DVT (p:0.02). Age, stage, the presence of metastasis and DVT were prognostic in pancreatic cancer patients. Conclusions: Cases of pancreatic cancer with liver metastasis should be studied more carefully as thrombosis is more common in these patients.

Retrospective Analysis of Neoadjuvant Chemotherapy for Breast Cancer in Turkish Patients

  • Duman, Berna Bozkurt;Afsar, Cigdem Usul;Gunaldi, Meral;Sahin, Berksoy;Kara, I. Oguz;Erkisi, Melek;Ercolak, Vehb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8호
    • /
    • pp.4119-4123
    • /
    • 2012
  • Background: Neoadjuvant systemic chemotherapy is the accepted approach for women with locally advanced breast cancer. Anthracycline- and taxane-based regimen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in clinical trials and consequently are widely used. In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 complete response (pCR) rates in different regimens for neoadjuvant setting and determine associated clinical and biological factors. Methods: This study included 63 patients diagnosed with breast carcinoma among 95 patients that had been treated with neoadjuvant chemotherapy between 2007 and 2010. TNM staging system was used for staging. The histologic response to neoadjuvant chemotherapy was characterized as a pCR when there was no evidence of residual invasive tumor in the breast or axillary lymph nodes. Biologic subclassification using estrogen receptor (ER), progesterone receptor (PR), HER2 were performed. Luminal A was defined as ER+, PR+, HER2-; Luminal B tumor was defined as ER+, PR-, HER2-; ER+, PR-, HER2+; ER-, PR+, HER2-; ER+, PR+, HER2+; HER2 like tumor ER-, PR+, HER2+; and triple negative tumor ER, PR, HER2 negative. Results: Patients median age was 54.14 (min-max: 30-75). Thirty-two patients (50.8%) were premenapousal and 31 (49.2%) were postmenapousal. Staging was performed postoperatively based on the pathology report and appropriated imaging modalities The TNM (tumor, lymph node, metastasis) system was used for clinical and pathological staging. Fifty-seven (90.5%) were invasive ductal carcinomas, 6 (9.5%) were other subtypes. Thirty nine (61.9%) were grade II and 24 (38.1%) were grade III. Seven (11.1%) patients were stage II and 56 (88.9) patients were stage III.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for ER, PR receptor and HER2 positivity. Seventeen patients had complete response to chemotherapy. Forty patients (63.5%) were treated with dose dense regimen (cyclophosphamide 600 mg/m2 and doxorubicine 60 mg/m every two weeks than paclitaxel 175 mg/m2 every two weeks with filgrastim support) 40 patients (48%) were treated anthracycline and taxane containing regimens. Thirteen patients (76%) from 17 patients with pCR were treated with the dose dense regimen but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p=0.06). pCR was higher in HER2(-), ER(-), grade III, premenopausal patients. Conclusion: pCR rate was higher in the group that treated with dose dense regimen, which should thus be the selected regimen in neoadjuvant setting. Some other factors can predict pCR in Turkish patients, like grade, menopausal status, triple negativity, percentage of ER positivity, and HER2 expression.

Retrospective Analysis of 498 Primary Soft Tissue Sarcomas in a Single Turkish Centre

  • Duman, Berna Bozkurt;Gunaldi, Meral;Ercolak, Vehbi;Afsar, Cigdem Usul;Sahin, Berksoy;Erkisi, I. Melek Koksal;Kara, Oguz;Paydas, Semra;Gonlusen, Gulfiliz;Sertdemir, Yasa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8호
    • /
    • pp.4125-4128
    • /
    • 2012
  • Background: Soft tissue sarcomas (STS) must be managed with a team involving pathologists, radiologists, surgeons, radiation therapists and medical oncologists. Treatment modalities and demographic charasteristics of Turkish STS were analysed in the current study. Material-Methods: Primary adult STS followed between 1999-2010 in Cukurova University Medical Faculty Department of Medical Oncology were analzied retrospectively Results: Of the total of 498 patients, 238 were male and 260 female. The most seen adult sarcomas were leomyosarcoma (23%). Localization of disease was upper extremity (8.8%), lower extremity (24.7%), head-neck 8.2%, thoracic 8%, retroperitoneal 5.6%, uterine 12.4%, abdominal 10%, pelvic region 3.6 and other regions 10%. Some 13.1% were early stage, 10.2% locally advanced, 8.2% metastatic and 12.2% recurrent disease. Patients were treated with neoadjuvant/adjuvant (12%) or palliative chemotherapy (7.2%) and 11.4% patients did not receive chemotherapy. Surgery was performed as radical or conservative. The most preferred regimen was MAID combination chemotherapy in the rate of 17.6%. The most common metastatic site was lung (18.1%). The overall survival was 45 months (95%CI 30-59), 36 months in men and 55 months in women,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e survival rat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group of adjuvant and palliative chemotherapy (respectively 28 versus 18 months) (p=0.06), but radical surgery at 37 months was better than 22 months for conservative surgery (p=0.0001). No differences were evident for localization (p=0.152). Locally advanced group had higher overall survival rates (72 months) than other stages (p=0.0001). Conclusion: STS can be treated successfully with surgery,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The survival rates of Turkish people were higher in locally advanced group; these results show the importance of multimodality treatment approach and radical surgery.

Adjuvant Radiotherapy for Gastric Carcinoma: 10 years Follow-up of 244 cases from a Single Institution

  • Misirlioglu, Hasan Cem;Coskun-Breuneval, Mehtap;Kucukpilakci, Bulent;Ugur, Vahide Isil;Elgin, Yesim;Demirkasimoglu, Taciser;Kara, Sakire Pinar;Ozgen, Aytul;Sanri, Ergun;Guney, Yildiz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0호
    • /
    • pp.8871-8876
    • /
    • 2014
  • Background: Postoperative chemoradiotherapy (CRT) of gastric carcinoma improves survival among high-risk patient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se long-term survival probability and the impact of certain covariates on the survival outcome in affected individual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05, 244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underwent adjuvant radiotherapy (RT) in our institution. Data were retrieved retrospectively from patient files and analysed with SPSS version 21.0. Results: A total of 244 cases, with a male to female ratio of 2.2:1,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52 years (range, 20-78 years). Surgical margin status was positive or close in 72 (33%) out of 220 patients. Postoperative adjuvant RT dose was 46 Gy. Median follow-up was 99 months (range, 79-132 months) and 23 months (range, 2-155 months) for surviving patients and all patients, respectively. Actuarial overall survival (OS) probability for 1-, 3-, 5- and 10-year was 79%, 37%, 24% and 16%, respectively. Actuarial progression free survival (PFS) probability was 69%, 34%, 23% and 16% in the same consecutive order. AJCC Stage I-II disease, subtotal gastrectomy and adjuvant CR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mproved OS and PFS in multivariate analyses. Surgical margin status or lymph node dissection type were not prognostic for survival. Conclusions: Postoperative CRT should be considered for all patients with high risk of recurrence after gastrectomy. Beside well-known prognostic factors such as stage, lymph node status and concurrent chemotherapy, the type of gastrectomy was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in our series. With our findings we add to the discussion on the definition of required surgical margin for subtotal gastrectomy. We consider that our observations in gastric cancer patients in our clinic can be useful in the future randomised trials to point the way to improved outcomes.

동시베리아해 망간단괴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anganese Nodule from the East Siberian Sea)

  • 구효진;조현구;유찬민;진영근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19-227
    • /
    • 2017
  • 북극해 망간단괴는 카라해, 바렌츠해 등에서 발견되었지만, 광물조성과 화학조성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조사된 바가 없다. 이번 연구에서는 Arctic Expedition ARA07C 탐사를 통해 동시베리아 북부 해역에서 획득한 망간단괴에 대하여, 광물학적 및 지구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그 성인에 대하여 추정하였다. 망간단괴를 구성하는 주된 산화망간광물은 부서라이트, 버네사이트, 버나다이트 등이다. 망간단괴는 대체로 방사상대와 괴상대 조직을 나타내며, 층상대는 제한적으로 발달한다. 동시베리아해 망간단괴의 주요한 특징인 방사상대에는 주로 첨-구상조직이 발달한다. 동시베리아해 망간단괴는 태평양이나 인도양에서 산출되는 망간단괴에 비하여 Mn은 풍부하지만 Fe의 함량은 매우 부족하다. 단괴 외곽과 내부, 또는 미세조직에 따른 화학성분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미세조직 간의 화학적 성분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단괴는 성장하는 동안 하나의 성인을 가질 가능성이 크며, $Mn-Fe-(Cu+Ni+Co){\times}10$ 삼각도표에서 모두 속성기원을 지시한다. 북극해로 유입되는 대부분의 Mn은 강 또는 연안 침식에 의해 비롯되며, 이들 대부분이 북극해에 갇혀져 있기 때문에 동시베리아해 망간단괴에서 특징적으로 높은 Mn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교육수요 분석을 통한 RI-Biomics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raining Program for RI-Biomics Manpower through Analysis of Educational Demands)

  • 신우호;박태진;염유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9-167
    • /
    • 2015
  • RI-Biomics 기술 분야는 차세대 국가 신 성장 동력 핵심기술 중의 하나로써 전 세계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하고 있는 첨단방사선융합 분야이다. 이에 각 선진국들은 RI-Biomics 분야의 세계 경제시장에서 앞서 나가기 위하여 집중적인 지원과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RI-Biomics 분야를 국내에서 주도하기 위해서는 세계수준에 맞는 고도의 기술력과 전문지식을 지닌 우수한 인력들의 확보가 필요하지만, 국내에서는 보유한 기술력에 비해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들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검증된 RI-Biomics 인력양성 모델을 활용하여 전문가 인터뷰와 전국 학생대상 설문조사를 반영한 최적화된 교육프로그램을 설계 및 개발함으로써 RI-Biomics 전문인력양성을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본 교육프로그램은 RI-Biomics 분야를 크게 4개의 분야로 구분하여 구성하였으며, 각 과정별 교육을 통하여 RI-Biomics 분야의 전반적인 과정을 이해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개발되었다. 교육프로그램의 유용성 및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유관학과 대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시범운영을 실시하였으며, 한국방사선진흥협회(서울)와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 연구소 RI-Biomics 센터(정읍)에서 총 3주간 진행 되었다. 세부 교육과정은 RI-Biomics 분야의 기본교육인 방사성동위원소 취급 및 안전교육 1주, 전문기술 교육인 RI-Biomics 응용기술 2주로 구성되었다. 3주간의 교육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습일지와 개별보고서를 작성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교육 만족도 및 건의사항을 수렴하였다. 본 교육프로그램 운영결과, 모든 학생들이 교육과정에 대한 높은 만족도와 지속적인 참여의사를 나타냈다. 또한 시범교육 운영 간 우수인력 발굴 및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심화과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교육프로그램과 운영방안은 향후 RI-Biomics 분야의 대학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RI-Biomics 기술 전문인력들의 양성과 국내 RI-Biomics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것이다.

롤투롤 스퍼터링 증착을 통한 납(Pb) 대체용 방사선 차폐필름 개발 (Research on Radiation Shielding Film for Replacement of Lead(Pb) through Roll-to-Roll Sputtering Deposition)

  • 김성헌;변정섭;지영빈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41-447
    • /
    • 2023
  • 현재 의료방사선 분야에서 차폐를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납(Pb)소재는 방사선 차폐 기능은 뛰어 나지만 납 자체가 가지고 있는 인체 유해성과 무거운 무게에 의한 불편함 때문에 지속적으로 직, 간접적으로 방사선 피폭 위험을 차단함과 동시에 납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인체 친화적인이며 가벼우면서 사용편의성을 가진 차폐소재의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실제 방사선 방호복 사용되는 원단소재를 기재로 하여 방사선을 차폐할 수 있는 금속물질인 비스무트, 텅스텐, 주석을 스퍼터링 진공증착 방식을 통한 다층박막을 구현하여 차페필름을 제작하여 방사선 차폐소재로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차폐필름을 제작하기 위한 인가전압, 롤 구동속력, 가스공급량을 제어하면서 차폐물질별 최적화된 조건을 확립하여 방사선 차폐필름 제작하였다. 모재와 차폐금속박막간 밀착력 확인은 Cross-cut 100/100으로 확인하였고 시간에 따른 박막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내열탕 테스트 1시간을 통하여 박막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구현된 차폐필름의 차폐성능은 한국방사선진흥협회를 통한 실제 방사선 차폐성능을 측정한 결과 시험조건(역넓은 빔, 관전압 50 kV, 반가층 1.828 mmAl)을 설정하여 감쇠비 16.4 (초기값 0.300 mGy/s, 측정값 0.018 mGy/s)와 감쇠비 4.31(초기값 0.300 mGy/s, 측정값 0.069 mGy/s)의 결과를 얻었다. 추후 제품화를 위한 공정효율성을 확보하여 가벼우면서 차폐성능을 보유한 필름 및 원단을 활용하여 방사선 방호복이나 차폐기능을 가진 건축자재로의 필름적용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였다.

북극 온난화 증폭이 겨울철 동아시아 한파 발생에 미치는 영향 고찰 (Review on the impact of Arctic Amplification on winter cold surges over east Asia)

  • 김성중;김정훈;전상윤;김맹기;이솔지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33권1_2호
    • /
    • pp.1-23
    • /
    • 2021
  • 산업화 이후 대기 이산화탄소를 포함한 온실가스 증가에 따라 전지구 기온이 빠르게 올라가고 있는데, 특히 북극의 온난화가 저위도에 비해 2-3배 빠르다. 그리고 온난화와 함께 북극 해빙의 농도와 면적도 지속적으로 감소추세에 있다. 이는 온난화에 대한 북극의 눈과 얼음에 의한 알베도 피드백, 표면기온 차이에 의해 더 많은 에너지를 잃는 플랑크 피드백, 저위도와 고위도의 안정도 차이에 의한 기온감률 피드백, 북극해 온난화에 의한 구름과 수증기 증가 피드백, 그리고 북극으로의 현열속 증가 등에 의한다. 이와 같이 급격한 북극 온난화에 반해 중위도에는 냉각화가 나타나고, 지역에 따라 한파가 더 자주 나타나고 오래 지속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북극 온난화 증폭과 연관 있다는 연구결과들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북극 온난화는 2가지 경로를 통해 중위도 냉각화로 연결되는데, 하나는 종관규모로 주로 블로킹과 로스비 파동의 발달에 의한 시베리아 고기압을 강화시켜 대류권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며, 두 번째는 북극 온난화에 의한 상층으로의 행성파 전달을 활성화하여 폴라보텍스를 약화시켜 성층권을 경유해 수개월 동안 나타나는 경로이다. 중위도 한파와 북극 온난화 증폭 간에는 수주에서 수개월의 시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북극 온난화부터 중위도 한파에 이르는 일련의 연쇄 과정을 이해할 수 있으면 겨울철 중위도 기상 예측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연구에서는 기존에 보고된 많은 결과들을 종합하고 온도와 해빙 변화 경향 분석을 통해 현재 진행되는 북극 온난화와 중위도 냉각화 경향 그리고 이 둘 간의 관계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