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b Characteristic Theory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29초

오행체질론에 의한 안전직무 설계 (Job Design for Safety Based on Five Elements Constitution)

  • 이동형;김재두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31-43
    • /
    • 2003
  • In the Oriental Medicine, the physical constitution of a human being can be classified into five characteristic elements. The remedy based on the five elements constitution has revealed excellent clinical effects so far. Therefore, it may be worthwhile to conduct job design researches considering the five elements constitution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safety of job. In this study, we examine whether the theory can be applied for job design through the experiment by ‘Digital-type Speed Anticipation Reaction Tester’ or not and suggest the desirable direction of job design.

산업체 단체급식 종사자의 직무특성과 직업몰입, 직무만족 간의 구조적인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uctur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of Industrial Organization Food Service Workers)

  • 손은수;이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3-202
    • /
    • 2017
  •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414 industrial organization food service workers in the Kyungnam area to find out the effect relationship of the job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food service workers and its effects on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by recognizing the need for job application through the job characteristic model, which was the beginning of the intrinsic motivation theory for the job of organization food service workers.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ethod to analyze the survey was undertaken by using the SPSS 23.0 and Amos 21.0 statistic package program via a data coding process for collected data processing. We can confirm from the analysis results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 in all factors, except task identity, which is a sub factor of job characteristic. This result reaffirms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by showing that the worker must be allowed to ensure completion of the entire job when performing the job as the job itself is not one part of the processes. Decision-making autonomy must be given in the work process when the worker performs their job in order to raise job satisfaction and furthermore to increase job commitmen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re are limits that making generalization as the study was conducted on industrial organization food service workers in the Kyungnam area as extracted samples.

중소병원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특성 및 조직상황적 특성이 직무전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ob transfer in E&T programs characteristics & organizational situ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medium and small-sized hospitals)

  • 김용혁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31-16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understand the job transfer in education & training(E&T) programs & organizational situational characteristics, and 2)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E&T programs & organizational situational characteristic groups on each of the levels of job transfer. There is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E&T programs characteristics & organizational situational characteristics and job transfer, so we can't think of them separately. With this point of view the most frequently discussed problem is how to apply the theory in actual job, but in reality it's true that the improvement of job transfer can't reach the expectations of the E&T programs. In literature view study, the concepts of job transfer in E&T, the general theory on E&T, and the actual condition and points at issue of the existing E&T practices in the medium and small-sized hospitals were defined. As the results from empirical analysis, we could find followings: First, in evaluation of the job transfe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niority, occupational category, position) variables have a significant different. Second, in degree of the job transfer, E&T programs characteristics(contents of E&T, design of E&T, conditions of E&T, teaching ability of lecturer, methods of E&T) variables have a different influence upon each of the evaluation levels of E&T. Third, support of CEO variables have a different influence on the job transfer according to contents, design, conditions of the E&T programs. Fourth, support of co-works variables have a different influence on the job transfer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method of the E&T programs. Fifty, support of organizational atmosphere variables have a different influence on the job transfer according to contents, design, conditions of the E&T programs.

  • PDF

주도적 성격과 지식 공유행위, 직무 특성, 그리고 조직의 인정 간 관계에 관한 연구: 비싼 신호보내기 이론을 중심으로 (Proactive Personality, Knowledge Sharing Behavior,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Recognition: An Application of Costly Signaling Theory)

  • 박지성;채희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28-137
    • /
    • 2018
  • 본 논문은 비싼 신호보내기 이론과 자기향상동기를 중심으로 주도적 성격과 지식 공유 행위 간 관계, 그리고 더 나아가 조직의 인정 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개인의 성격적 특질에 더하여, 상황적 요인으로 직무 특성을 고려하였는데, 본 논문에서는 직무 복잡성과 다양성이 주도적 성격과 지식 공유 행위, 조직 인정 간 정(+)의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는 조절된 매개모형을 제안하였다. 한국 기업들을 대상으로 상사-부하 쌍(dyad) 설문을 실시하여 총 166쌍의 응답을 실증 분석한 결과, 예측한대로 주도적 성격을 가진 구성원일수록 지식 공유 행위를 보다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지식 공유 행위는 조직 내 상사가 평가한 조직 인정을 궁극적으로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직무 복잡성과 다양성이 높을 때가 낮을 때보다 지식 공유 행위에 의해 매개된 주도적 성격과 조직 인정 간 정(+)의 관계를 보다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예측한대로 조절변수 관련 가설들도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조직 공유의 동기가 무엇이고, 이를 활성화시키는 경계조건들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지식경영 분야에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직무특성과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 미치는 코칭 리더십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s of Managerial Coaching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Job Performance)

  • 우형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425-435
    • /
    • 2015
  • 코칭에 대한 실무적 관심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문적 정의와 발전은 아직 미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현장에서 이미 광범위하게 수용된 코칭이 직무성과에 기여하는 실제적 영향과 메커니즘을 밝히는 것이다. 대다수 선행연구들은 코칭교육의 우수성이나 효과성에 대한 선언적 평가에 그쳤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를 극복하고자 코칭 리더십(managerial coaching)이 직무특성이론의 동기부여과정에 개입하는 영향을 실증하고, 코칭교육이 아니라 관리자의 코칭활동에 집중하는 행동주의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금융기업의 조직구성원 453명에 대한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다수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코칭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직접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핵심직무특성 중에서 직무유의성(job meaningfulness) 및 자율성(autonomy)과 직무성과의 관계를 코칭리더십이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수준 간 영향(cross-level moderating effect)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직무특성의 요건에 따라 집중해야 할 코칭의 기술과 방향이 최적화 관점에서 모색되어야 한다는 본 연구의 시사점은, 기업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수행된 코칭교육이 간과했던 실천적 공백을 메우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Project Performance Improvement of Employees: A Psychological Empowerment Approach

  • Oh, Sung-Tae;Kim, Sodam;Kim, Hee-Woong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6권4호
    • /
    • pp.509-525
    • /
    • 2016
  • According to the dynamic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firms has had an observable trend. An increasingly large number of firms have been transforming into either project-based organizations or project expert group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ntecedents required for the optimal level of empowerment with consideration of the project-based team environmental nature and job characteristic. Three factors are applied to measure the significant effects on psychological empowerment as the result variables. To determine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t factors of psychological empowerment, employees' interviews and precedent studies are used. For the empirical study, four determinants of empowerment variables are modeled into a second-order reflective construct. This study finds that psychological empowerment significantly affects performance. Therefore, this study can serve as a guideline for development and operating methods for project success.

그리드에서 작업 흐름을 효과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JCML과 GUI 기반의 편집기 (A JCML and a GUI-based Editor for Specifying Job Control Flow on Grid)

  • 황석찬;최재영;이상산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1권3_4호
    • /
    • pp.152-159
    • /
    • 2004
  • 그리드는 기존의 컴퓨팅 환경을 대체하는 새로울 환경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그리드가 원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이질적인 특성으로 인한 사용상의 복잡함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안경에서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향상된 작업 환경을 제공하고 효율적인 작업의 수행을 돕는 JCML(Job Control Markup Language)과 편집기에 대해 소개한다. JCML은 기존의 글로버스에서 사용하는 RSL을 향상시킨 작업 제어 언어이다. JCML은 표준 XML 문서 형식으로 설계되어 그리드 서비스와의 데이타 호환성을 제공하며, 작업의 표현과 의존성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GXL(Graph eXchange Language)을 이용한 그래프 방식으로 노드와 에지를 사용하여 두 노드간의 의존성을 표현한다. 그리고 JCML 편집기는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GUI 기반의 비주얼 환경을 제공하며, 끌어다 놓기와 같은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복잡한 작업 지시를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직무특성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 검증 :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인력을 대상으로 (A Study on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Job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in Government-Supported Research Institutes)

  • 이승연;박수경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5-118
    • /
    • 2019
  • 본 논문은 정부출연연구소의 연구인력의 직무특성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 효과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인력 459명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특성의 하위 요인 중 다양성을 제외한 자율성, 중요성, 정체성, 피드백이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특성 중 자율성, 정체성, 피드백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특성과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직무특성 중 자율성과 다양성이 직무만족에 자율성, 중요성, 피드백은 조직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An Empirical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ask Performances of SaaS Users

  • Park, Sung Bum;Lee, Sangwon;Chae, Seong Wook;Zo, Hangjung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5권2호
    • /
    • pp.265-288
    • /
    • 2015
  • IT convergence services, as the main stream of the digital age, are currently on their way to include the concept of Software as a Service (SaaS), where IT products and services are integrated as one. In particular, the recently introduced web-service-based SaaS is expected to be a more developed SaaS model. This new model provides greater influence on clients' job performances than its previous models, such as application service providers and the web-native phase. However, the effects of technology maturity on task performance have been overlooked in adoption and performance studies. Accordingly, this study introduces SaaS technology maturity as the exogenous technological characteristic influencing job performance.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s among various SaaS-related performanc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levels of SaaS maturity. Results suggest that applying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SaaS), particularly when the technology reaches a certain level of maturity, is more helpful for managers in improving task-technology fit and job performance. This study makes an academic contribution by establishing and validating a performance model empirically with SaaS technology maturity perspectives.

중소제조업 종업원의 직무특성과 조직 공정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남동 및 반월 공단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Small- and Medium- Sized Firms in Namdong und Banwool Area -)

  • 장석인
    • 산학경영연구
    • /
    • 제19권2호
    • /
    • pp.23-46
    • /
    • 2006
  • 본 연구는 남동 및 반월 공단 중소제조업 생산직 종업원을 대상으로 직무만족과 직무특성 및 공정성간의 관계를 설문조사 형태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는 분배 및 절차공정성이 중소제조업 종업원의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II와 구성원이 직무특성을 바람직하게 지각할수록 내적보상 요인에 더욱 만족을 할 것이라는 가설 I를 설정하였다. 선행 연구자들이 제시한 지각된 직무 특성요인은 기능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자율성 및 피드백 등 5가지 차원으로 분석되었다. 유의수준 .05에서 기능다양성, 과업정체성, 과업중요성 및 자율성 등 지각된 직무특성요인은 조직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과업정체성과 피드백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서 직무만족이 분배 및 절차공정성과 강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제조업 종업원의 조직공정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을 감안할 때, 중소제조업의 인적자원관리에 있어서 공정성 인식을 높이는 노력이 요구된다. 특히 제한된 조직의 자원을 배분할 때에는 공정한 절차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모든 조직 구성원에게 인식시키는 것이 직무만족을 제고하기 위한 선행조건이라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