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fant's Parents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2초

퇴원시 저출생 체중아 어머니와 퇴원 한 달 후 저출생 체중아 어머니의 간호 교육요구도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Education Needs in Low Birth Weight Infant's Mother at Discharge and after One Month at Home)

  • 최선정;권미경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3-94
    • /
    • 200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ducation needs in LBW infant's mother at discharge and after one month at home for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61 mothers of LBW infant's at discharge and 51 mothers of LBW infant's after one month at home. They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from 3 general hospitals and 1 pediatric hospital in Seoul, Kangreung and Inchon.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5 to March, 15, 2000. The Education Needs for LBW infant Care was measured by Questionnaire that has developed by researchers. The data were anali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non-paired t-test & ANOVA using S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educational need, of the mothers of LBW infant at discharge were higher than the mothers of LBW infant after one month at home(t=8.72, p=.00). 2)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the educational needs of the mothers of LBW infant after one month at home and numbers of children(F=3.61, p=0.03). 3)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of the educational needs between the mothers of LBW infant at discharge and the mothers of LBW infant after one month at home in categories and items. (1) There were significant associations by categories such as Infant care(t=8.34, p=.00), feeding(t=6.71, p=.00), unusual behavior (t=6.54, p=.00). Management disorder (t=8.67, p=.00), attachment between parents and infant(t=5.19, p=.00) and environment (t=6.14, p=.00). (2) There were two items that represented the highest educational needs in all items. That were "How about we can do when infant has a breathing disorder" and "How about we can do when infant has a seizure". These two items included Management of disorder category. In Conclusion, when the nurse teaching the method of infant care to mother, educational contents must be included about Management of disorder emphatically.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infants in a mobile service environment

  • Song, Mi-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223-229
    • /
    • 2022
  • 스마트폰의 등장은 기존의 인터넷과 함께 보다 빠르고 쉽게 디지털 커뮤니케이션 시대를 만들어가고 있다.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다양한 방법 중에서 스마트 알림장은 영유아 교육기관에서 부모, 교사 그리고 원장과의 정보 교환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알림장은 부모들이 유아의 발달상황과 교육과정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도움을 준다. 이에 본 논문은 원장 및 교사와 부모 간 유아의 관리에 대한 다양한 정보 교환용으로 웹 기반 플랫폼과 모바일 앱 플랫폼 기반으로 영유아 통합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구축된 시스템을 통해 원장, 교사 그리고 부모 등이 언제든지 필요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여러 보호자가 한 명의 영유아를 안전하게 돌 볼 수 있는 모바일 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보호자가 영유아 통합적 관리 시스템의 사용으로 다양한 데이터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해서 적절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향후, 스마트폰 앱 기반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자에 따라 구성한다면 영유아 교육기관부터 일반 교육기관까지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부모의 양육지식과 실천 도구 개발 예비연구 (A Pilot Study on Korean Version Development of the Rearing Knowledge and Practice for Infant Parents)

  • 김경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485-493
    • /
    • 2017
  • 양육지식은 양육실천에 중요한 관련요인이며 양육지식과 양육실천 정도 사정은 영아기 부모에게 중요하다. 저자는 기 개발된 타당성이 검증된 양육지식 척도(CRKS)와 양육실천 척도(CRPS)의 자국내 도입을 위하여 Saramma와 Thomas가 기 개발한 도구들을 채택하였다. 예비연구가 국제적 언어학적 검증단계에 따라서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자는 A의 보건소와 B의 오케타니 마사지실을 방문한 영아 부모 2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와 Wilcoxon Rank Sum Test가 도구의 이해도와 일반적 특성에 따른 도구의 평균 정도를 비교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Cronbach's alpha, Spearman Correlations을 사용하였다.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33.94(${\pm}2.99$)세였고 영아의 평균 월령은 3.35(${\pm}0.58$)개월였다. CRKS와 CRPS의 이해도는 각각 1.80(${\pm}0.65$)점과 1.33(${\pm}0.54$)점으로 사용하기 쉬웠다. CRKS의 평균점수는 22.50(${\pm}4.89$)점으로 중간점수였고 CRPS의 평균점수는 30.75(${\pm}2.04$)점으로 높았다. CRPS의 Cronbach's alpha는 식이영역이 0.71, 성장과 발달 영역이 0.64, 청결과 보호영역이 0.68, 영아자극 영역이 0.77였다. CRPS의 영아자극과 CRKS의 성장과 발달 영역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530, p=.016). 일반적 특성 중에서 의료인이 비의료인에 비해서 유의하게 CRKS 점수가 높았다(p=0.04). CRKS와 CRPS 척도는 지역사회와 임상실무에서 사용이 간편하고 쉽게 응답할 수 있는 도구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부모의 구강건강지식이 유아의 구강건강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arents' knowledge for oral hygiene on the oral health of their infants)

  • 서수연;이승훈;김동열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101-1110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state of infants and oral health awareness of their parents. Methods :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196 infants ranging from the age 18 to 60 month and their parents who have visited three dental clinics in Gyeongju city. The questionnaire has been made to identify the parents'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while the dentist has examined the dental care, toothbrushing, and malocclusion of infants. Results : According to the results, it has been found out that there is correlation between subject's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status where the higher point of subject's health status lead to the point of oral health status accordingly. Also it has been additionally recognized that ther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wareness of parents and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ir infants in the same way. Conclusions : The parents who have low oral health awareness are required by oral health professionals to be provided with information on infant oral health, in order to promote and to maintain healthy oral status of their infants. And the specific training on method how to care oral health is needed. In addition, the government should take the detailed measures by extending infant's medical benefits to draw their attention to the issue.

영유아기 외상사고에 대한 부모대처: Q 방법론적 접근 (Perception on Parental Coping on Unintentional Injury of Their Early Infants and Toddlers: Q Methodological Approach)

  • 이다인;박호란;박선남;홍성실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35-34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arental coping strategies in the face of early infant and toddler injury,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a parental education program and the most desirable directions it should take. Methods: A Q-methodology to analyze the subjectivity of each item was used. Thirty-four Q-statements were derived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Forty-seven parents were classified into a shape of normal distribution using a 9-point scal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pc-QUANL program. Results: Five types of parental coping in early infant and toddler injury were identified. Type I was "hospital treatment focused", type II was "Improving the safety of the child's environment", type III was "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 type IV was "taking the lead in problem solving", and type V was "Interrogating the person in charge of the situation in which the injury occurred".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ifferent approaches to educational programs can be used for parents in early childhood injury.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Early Childhood STEP)이 양육스트레스와 유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STEP on Parenting Stress and Infant Behavior)

  • 박진옥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37-45
    • /
    • 2006
  •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STEP on parenting stress and child's behavior. The study subjects were 29 Korean mothers and their child. The researcher translated the Parent's guide of the Early Childhood STEP into Korean, along with the video tapes for par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educated with the Early Childhood STEP program (lecture, reading educational material, discussion, watching video). To determine the pre- and post-test differences of parenting stress and infant behavior, t-test was used. The results are presented below. First, Early Childhood STEP exhibited a decreasing effect on the parenting stress of mothers. Second, STEP exhibited a decreasing effect on the infant behavior, particularly the behaviors in the areas of incapability, revenge, and power reactions.

어린이집 초기적응과정에서 나타난 영아반 보육교사의 어려움 (The difficulties of Teachers During the Process of Early Adaptation in Day Care Center)

  • 박소윤;서현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31-354
    • /
    • 2015
  • 본 연구는 어린이집 초기적응과정에서 영아반 보육교사가 겪는 어려움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사들의 생각과 요구를 실제적으로 파악하며 바람직한 초기적응 운영방식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시에 위치한 국공립 S어린이집의 만 1세반 영아 9명과 부모 7명을 관찰하였으며, S어린이집 교사 8명을 심층면담 하였다. 연구에 의하면 교사들은 첫째, 부모와의 관계에서 내 자녀만을 위하는 이기주의, 상호간의 신뢰 부족, 초기적응 프로그램의 학부모 역할 이해 부족, 일과 운영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둘째, 영아와의 관계에서는 우는 아이 달래기, 또래들 간의 다툼 중재하기, 재원 영아와 신입 영아간의 균형 맞추기에서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동료와의 관계에서는 동료교사와 협력하기, 원장선생님과 대화하기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영아 초기 적응과정에서 겪는 교사들의 어려움을 실질적으로 이해하고, 교사들의 어려움을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운영방안을 마련하는 데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영아의 만족지연능력과 만족지연전략 및 어머니의 양육방식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Infant's Delay Gratification, Delay Strategy, and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

  • 최은화;조복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67-189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영아의 만족지연능력과 만족지연전략 및 어머니의 통제성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18-36개월의 영아였으며 만족지연능력 측정 실험은 Mischel(1974)이 고안한 자기 만족지연 실험을 Rha(1999)가 연령에 맞게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만족지연능력에 사용되는 전략으로는 직접응시 전략과 주의분산 전략으로 분류하여 관찰하였으며 어머니의 양육방식은 조복희, 이진숙, 이홍숙 그리고 권희경(1999)에 의해 개발된 척도의 일부인 통제 13문항을 발췌하여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영아의 월령이 증가함에 따라 만족지연능력이 증가하며, 영아가 사용하는 만족지연전략은 월령이 높아질수록 주의분산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아의 월령, 만족지연 전략인 직접응시 전략과 주의분산 전략은 영아의 만족지연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다.

  • PDF

미숙아 부모를 위한 교육 관련 국내 연구논문의 통합적 고찰 (Integrative Review on Caring Education Papers for Parents with a Premature Infant)

  • 임미해;오진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120-129
    • /
    • 2013
  • 목적 지속적인 의료기술의 발달로 미숙아의 치료, 양육 방법이 변화되어지고 있으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교육매체 역시 다양화 되어지는 시점에서 미숙아 부모를 위한 미숙아 돌봄 교육과 관련된 국내 연구 논문을 통합적으로 고찰하여 그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각각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향후 교육방법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는 Whittemore와 Knafle (2005)이 제시한 통합적 고찰(integrative review) 방법으로 연구목적규정, 문헌검색, 데이터평가, 데이터 분석의 과정에 따라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논의하여 그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엄격한 선정기준과 제외기준을 적용하여 4개의 국내 논문데이터베이스에서 1990년부터 2012년 10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 중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는 16편으로 확정하였다. 결과 통합적 고찰결과 미숙아 부모를 위한 미숙아 돌봄 교육의 구성요소로는 '교육자로서의 간호사와 학습자로서의 부모', '교육 내용과 교육 효과', 그리고 교육 매체, 시기, 장소를 포함한 '교육 환경'으로 분류되었다. 결론 미숙아 돌봄 교육을 위하여 부모와 가족교육을 전담하는 간호사 역할의 인정과 기관과 정부의 지속적인 관리와 지원과 함께 다학제적인 접근으로 각 양육자에 따른 맞춤형 교육이 되어야할 것이다. 향후 미숙아 돌봄 교육에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교육의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와 효율적인 교육매체의 개발과 효과적인 교육환경에서 미숙아 돌봄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1차 영유아 구강검진을 경험한 부모의 심층면담 (In-Depth Interview of Parents Experienced First Infant Oral Examination)

  • 이수나;임순연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43-551
    • /
    • 2017
  • 본 연구는 1차 영유아 구강검진을 수검한 부모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실질적인 구강검진 사업의 개선방안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1차 영유아 구강검진을 수검하였고 자녀의 월령이 18~29개월인 부모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녹음된 내용의 개념정리 및 범주를 도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본 연구의 불만족스러운 검진의 주된 이유는 형식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빠르게 진행됨과 동시에 자녀의 구강을 제대로 살피지 않는 상황에 부모들은 실망했고 무료로 실시되기 때문에 일반 치과진료를 받기 위한 검진에 비해 더 형식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의견이 있었다. 무성의한 치과 의료진의 태도에 불만이 있었으며 부모와 대화하려는 태도가 아닌 일방적인 의사소통 등에 문제점을 제기했다. 둘째, 참여자들 대부분이 형식적이기만 한 영유아 구강검진을 다시 받아야 하는지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구강검진표가 우편 발송되어 수령이 어렵고 영유아건강검진 문진표에 비해 빈약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문진표에 그리고 결과통보서에 나와 있는 치아번호나 치과용어 등은 부모가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유아 구강검진 개선에 대한 의견으로는 검진 후 구강건강관리정보 제공과 수검 시 직접적인 구강건강관리방법 교육 등이 있었다. 또한 부모대상의 영유아 구강건강관리 교육에 대해서는 첫째, 교육의 부재로 자녀의 구강을 관리하는 데 혼란을 겪고 있으며 올바른 정보를 얻고자 하는 부모들의 의견을 확인하였다. 둘째, 현재 보건소에서 제공되고 있는 모자수첩이나 기타 기관들에서 구강건강관리에 관한 교육 자료를 제시하고 있으나 부모들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고 내용 또한 포괄적이지 않아 자녀구강건강관리를 위한 정확하고 실질적인 교육자료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들이 교육받기를 원하는 내용으로는 월령에 따른 구강관리방법, 구강관리용품 선택에 도움이 되는 내용, 구강건강지식, 치과 진료에 대한 지식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영유아 구강검진이 효율적으로 운영되어 부모들을 통한 영유아기 자녀의 올바른 구강건강관리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부모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해 형식적인 검진으로만 인식되고 있는 구강검진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제도로 변화되어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영유아 구강검진과 관련한 반복적 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사업운영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