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5초

산업체 PBL기반 기업애로해결형 현장실습 모형 연구: 경북지역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dustry Problem Based Professional Practice Model: Based on Gyeongbuk K University Case Study)

  • 이석문;조영준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93-100
    • /
    • 2020
  • 현장실습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질적 향상을 위해 단기(4주) 및 중기현장실습(8주)의 비중을 낮추고 장기현장실습(12주이상)을 높이는 노력이 대학 현장에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단기 및 중기현장실습의 전공과 연계된 체계적이고 특화된 현장실습 교육커리큘럼 부재와 대학의 현장실습 참여도가 증가할수록 기업들은 현장실습 참여를 선호하지 않고 학생들은 전공수업 부담으로 장기현장실습 참여를 주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애로문제를 현장실습 참여학생들이 현장실습 기간 동안 직접 해결하되 어려운 난제가 있을 경우 관련분야 전공교수의 도움으로 해결하는 기업애로해결형 현장실습 IPBP를 경북지역 K대 사례를 중심으로 제안한다. 참여기업과 win-win 현장실습 문화 구축을 위해서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업애로해결형 현장실습 IPBP가 하나의 좋은 모형이라고 판단된다.

산업체 참여형 캡스톤디자인 & 현장실습 연계 모형 연구: 경북 Y대학 전자공학과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Industry Capstone Design and Professional Practice Linkage Model: Case Study of Department of Electronic Engineering, Gyeongbuk Y University)

  • 이석문;서영석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37-147
    • /
    • 2022
  • 대학은 학생들이 전공 관련 직무역량을 갖추고 졸업할 수 있도록 교과 및 비교과에서의 경험 학습을 제공해야 하며, 경험 학습에는 교내에서 수행하는 캡스톤디자인과 산업체에서 수행하는 현장실습 등이 있다. 특히 2021년 하반기부터 도입된 표준현장실습제도의 시행으로 산업체의 단기(4주) 및 중기현장실습(8주) 참여 감소현상은 학생들이 실무경험을 쌓을 기회를 더욱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업의 애로기술을 해결하는 캡스톤디자인과 현장실습을 결합한 산업체 참여형 캡스톤디자인과 현장실습 연계 모형을 제안한다. 참여 학생들은 캡스톤디자인 과정에서 기업애로기술의 해결책을 찾고 현장실습 기간 동안 해결책에 대한 시제품제작을 진행한다. 어려운 난제가 있을 경우 전담 교수의 도움으로 해결하는 연계 모형이 경북 Y대 전자공학과 사례의 운영을 통해 대학과 산업체가 상생하는 산학협력 교육의 하나의 좋은 모형이라고 판단된다.

지역 대학의 장기현장실습(Co-op) 활성화를 위한 사례 분석 및 정책적 시사점 - 미국 센트럴워싱턴대학교를 사례로 - (The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lications of Co-operative Education in a Regional Public University : The Case of Central Washington University, USA)

  • 이종호;채민수;장후은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39-648
    • /
    • 2015
  • 최근 들어 졸업생의 취업 경쟁력 강화, 기업친화형 우수 인재 확보, 대학 내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수단으로 Co-op 교육(장기현장실습) 중심의 산학협력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대학들은 전공연계성과 취업연계성이 낮은 단기 인턴십 위주의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주로 운영해 왔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응하여, 정부는 현재 '현장실습 운영 지침' 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장기현장실습 시범대학을 선정하는 등 장기현장실습 중심의 산학협력교육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산학협력교육의 제도적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 제도를 오랫동안 시행해 온 북미와 유럽의 대학들에 대한 다양한 사례 연구가 축적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센트럴워싱턴대학교(CWU)를 사례로 하여 Co-op 교육의 운영 실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산학협력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사례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WU 학생들은 주로 좁게는 카운티 내, 넓게는 워싱턴 주 내에서 현장실습을 수행하고 있으며, 실습을 했던 기관으로 취업을 하는 경우가 많아, 현장실습의 지역연계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CWU의 현장실습 프로그램은 전공연계성이 높고, 특히 인문사회, 예체능, 사범계열의 학생들의 현장실습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습 참여 학생의 자격조건은 엄격한 대신, 전공 특성에 따라 유연하게 현장실습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였을 때, 우리나라 대학들의 현장실습 프로그램 또한 전공연계성, 취업연계성, 지역연계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둘 필요가 있고, 대학 및 전공의 특성에 따라 유연하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

장기현장실습 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한 아시안 대학의 코업 프로그램 사례분석 (A Case Study of Asian Colleges's Co-op Program for Successful Operations of IPP Program)

  • 조재수;하준홍;엄기용;오창헌;김남호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73-79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에서 새롭게 도입예정인 장기현장실습 제도(IPP: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아시아(일본, 홍콩 및 태국) 대학의 코업 프로그램 사례들을 분석한다. IPP(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제도는 학부교육과 기업체 근무를 통합시킨 한기대의 새로운 산학협력 교육모델로 대학 졸업생의 취업역량을 강화하고,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산업인력을 양성하고자 하는 제도이다. 한기대의 장기현장실습(IPP)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아시아 대학 중 일본의 교토산업대학, 홍콩의 홍콩 폴리텍 대학 그리고 태국의 Suranaree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코업프로그램들의 특징, 역사 및 운영현황 등을 살펴보고, 장단점등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아시안 대학의 코업프로그램들의 사례분석을 기초로, 한기대의 장기현장실습(IPP) 프로그램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한다.

  • PDF

장기현장실습(IPP) 제도를 위한 학사운영 방안 (Academic Program Operation for the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Implementation)

  • 오창헌;하준홍;김남호;조재수;엄기용
    •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10-115
    • /
    • 2012
  • IPP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는 학부교육(academic study)과 산업체 근무(industrial work)를 결합시킨 산학협력 교육모델로 학생들에게 학업과 현장업무를 교대로 경험하게 하여 실용교육의 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또한 본인의 적성과 전공에 맞는 진로를 스스로 결정하도록 하여 궁극적으로는 대학 졸업생의 취업역량을 강화하고, 국가적으로는 청년실업 문제의 해소 및 대학과 산업체간의 인력수급 불일치 현상 등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이다. 본 논문에서는 IPP 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고려해야 할 학사-운영방안에 대해 검토하고 제안한다. 주요 내용은 학제개편(semester-based quarter제) 방안, 교과과정 개편방안, 학점인정(15학점) 및 성적평가 방안, 공학설계/졸업설계 운영방안, 산학연계 교과목 운영방안 및 경과조치 방안 등이다.

  • PDF

사이버보안 교육훈련 전문 인력의 역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pability of Cyber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Professional Personnel)

  • 엄정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43-51
    • /
    • 2019
  • This research proposed the necessary capability of cyber security professional personnel for cyber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Cyber security professional personnel were required specialized capability because the curriculum of cyber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is structured around practice and training. Based on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of professors, we derive candidate capabilities and index through the results of precedent research. As a result, we derived capability such the candidate capability group as teaching qualification, expert knowledge, practical ability, lecture ability, and research ability, and detailed capability index was derived accordingly. Finally, based on the questionnaire results of the professors related to the information security, it was determined that the capability required for the cyber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professional personnel were expert knowledge, practical ability, and lecture ability. Among the capabilities, executive ability means that they have to fulfil abundant executive experience due to the high proportion of practical training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yber security education and training.

장기현장실습 제도의 성공적인 운영을 IPP 전담교수의 역할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The Roles of IPP Professor for Successful Operations of IPP System : Based on KOREATECH Case Study)

  • 오창헌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29-13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술교육대학교가 최근 현장중심의 실무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혁신적으로 추진하고 기업연계형 장기현장실습 (IPP: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제도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운영 및 관리를 위해 필요한 IPP 전담교수의 역할에 대해 해외 선진국 운영사례 분석 및 실제 IPP 제도 2년간의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제안한다. IPP 전담교수의 역할은 크게 3가지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IPP 관리자로서의 역할이며, 두 번째는 학생들에 대한 진로지도 상담자의 역할이며, 세 번째는 IPP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자로서의 역할이다. IPP 제도 시행 초기에는 주로 IPP 관리자로서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IPP 제도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운영되면 IPP 관리자로서의 역할은 점차 줄어들고 진로지도 상담자로서의 역할이 더 중요해진다. IPP 제도가 학점을 부여하는 교육 프로그램인 만큼 IPP 전담교수는 경험학습 설계, 교육목표 달성도 평가 등 교육자로서의 역할도 수행해야 한다.

What Kind of Job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for Improving Students' Competencies in Co-op Education : KoreaTech IPP Case

  • Lee, Ji-young;Lee, Sang-kon;Lee, Ji-yeon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19-229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n-site training environments and goals on learning outcomes of traine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survey data collected from 752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KOREATECH's Industry Professional Practice (IPP) on-site training program from 2017 to 2018. The following summarizes some important findings from the study results: First, on examining whether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the academic competencies diff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whole group were job content, coaching, and welfare benefits, but the effect of job sco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on examining whether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competencies diff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whole group were job content, coaching, and job scope, but the effect of welfa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alyzing by training goals, it was found that the major influencers were job content in the Recruitment-intended group; and job content, coaching and job scope in the Training-intended group.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한국(韓國)패션산업(産業)의 인재육성(人材育成)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ultivation of the Talent in Korean Fashion Industry)

  • 조규화
    • 패션비즈니스
    • /
    • 제1권1호
    • /
    • pp.27-42
    • /
    • 1997
  • The Korean fashion industry is composed of originality, technique and business management. It is going to be the main role in the living and cultural industry in 21th century as a strategic advanced industry. On the other hand, more than 15,000 persons who majored in correlated fashion are graduated from universities, colleges, and fashion schools every year. But professional and competent persons specialized in clothings are very insufficient. So cultivation of the talented for fashion industry must be suitablely and differentially carried out, according to regional distinction or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college level, institute and so on. At same time, it is for the subdivided professional educations in fashion field, also. Education institutions related fashion have to practice not only theory but also field-oriented education of fashion industry. The fashion enterprise must invest resolutely in reeducations for incoming and reading employees, too. Briefing the program of cultivating the competent as follows : (1) The execution of certification programes based on professional job series. (2) Cultivation of the talent by cooperation of industry and educational field. (3) Upbringing the specialists who have both abilities of foreign language and living cultural profession. (4) Establishment of a base oriented north-east Asia as the central fashion business. (5) Efficient using of multi-media. (6) Innovation of technology. (7) Preferential treatment of skilled labors apparel industry field. (8) Establishment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Business for a bridge of industrial-educational complex and government, for cultivation of the talent. The programs of 'cultivation of the talent' must be differed from to whom', 'what', 'how long'. But the commonness in all is to need the stimulative education and creativity. Through it, 'what and how think' and 'how application' to all directions is acquired.

  • PDF

Safe clinical photography: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risk management and mitigation

  • Chandawarkar, Rajiv;Nadkarni, Prakash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8권3호
    • /
    • pp.295-304
    • /
    • 2021
  • Clinical photography is an essential component of patient care in plastic surgery. The use of unsecured smartphone cameras, digital cameras, social media, instant messaging, and commercially available cloud-based storage devices threatens patients' data safety. This paper Identifies potential risks of clinical photography and heightens awareness of safe clinical photography. Specifically, we evaluated existing risk-mitigation strategies globally, comparing them to industry standards in similar settings, and formulated a framework for developing a risk-mitigation plan for avoiding data breaches by identifying the safest methods of picture taking, transfer to storage, retrieval, and use, both within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Since threats evolve constantly, the framework must evolve too. Based on a literature search of both PubMed and the web (via Google) with key phrases and child terms (for PubMed), the risks and consequences of data breaches in individual processes in clinical photography are identified. Current clinical-photography practices are described. Lastly, we evaluate current risk mitigation strategies for clinical photography by examining guidelines from professional organizations, governmental agencies, and non-healthcare industries. Combining lessons learned from the steps above into a comprehensive framework that could contribute to national/international guidelines on safe clinical photography, we provide recommendations for best practice guidelines. It is imperative that best practice guidelines for the simple, safe, and secure capture, transfer, storage, and retrieval of clinical photographs be co-developed through cooperative efforts between providers, hospital administrators, clinical informaticians, IT governance structures, and national professional organizations. This would significantly safeguard patient data security and provide the privacy that patients deserve and exp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