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ha reservoir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8초

강우시 임하호 유입수 수질변동과 오염물질의 공간적 이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Inflow Water Quality Variations and Pollutants Transport in Imha Reservoir during a Rainfall Event)

  • 이흥수;신명종;윤성완;정세웅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7-106
    • /
    • 2013
  •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a stratified reservoir are fully depend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inflow loading from its watershed and the transport regimes of pollutants after entering the reservoir. Because of the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conditions in Korea, the pollutants loading to reservoirs are mostly occur during rainfall event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loading from upstream rivers and their spatial propagation through the stratified reservoir during the rainfall event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haracterize the water quality variations in upstream rivers of Imha Reservoir during a rainfall event, and the transport and spatial variations of pollutants in the reservoir through extensive field monitoring and laboratory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vent mean concentration (EMC) of SS, BOD, $COD_{Mn}$, T-N, T-P, $PO_4-P$ are 8.6 ~ 362.1, 2.5 ~ 5.1, 1.5 ~ 5.1, 1.1 ~ 1.9, 8.3 ~ 57.1, 5.6 ~ 25.7 times greater than the mean concentrations of these parameters during non-rainfall period. The turbidity and SS data showed good linear correlations, but the relationships between flow and SS showed large variations because of hysteresis effect during rising and falling periods of the flood. The ratio of POC to TOC were 12.6 ~ 14.7% during the non-rainfall periods, but increased up to 28.2 ~ 41.7% during the flood event. The turbid flood flow formed underflow and interflow after entering the reservoir, and delivered a great amount of non-point pollutants such as labile and refractory organic matters and nutrients to the metalimnion layer of reservoir, which is just above the thermocline. Spatially, the lateral variations of most water quality parameters were marginal but the vertical variations were significant.

안동호와 임하호에서 관측한 장기 수질자료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Long-term Water Quality Data Monitored in Andong and Imha Reservoirs)

  • 박선재;최성모;박종석;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39권1호통권115호
    • /
    • pp.21-31
    • /
    • 2006
  • 본 연구는 1993 ${\sim}$ 2004년의 기간에 환경부에서 측정된 안동호 및 임하호의 이화학적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장기간의 영양상태 분석 및 그에 따른 계절별, 연별 수질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장기적인 육수학적 추이분석에 따르면, 임하호의 총부유물 (Total suspended solids, TSS)의 농도는 안동호에 비해 특성 시기에 2 ${\sim}$ 8배 이상의 큰 증가를 보였으며, 이런 기간 동안 총인(Total phosphorus, TP) 및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Biological oxygen demand, $BOD_5$)은 증가하였고, 투명도(Secchi depth, SD)는 감소를 보였다. 한편, 동일기간 동안 엽록소(Chlorophyll-a, CHL-a)는 차이가 거의 없거나 일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단위 총인당 엽록소의 농도(Chl-a/TP ratio)는 뚜렷한 감소현상을 보였다. 영양상태 (Trophic State Index, TSI)의 변이 분석에 따르면, 임하호에서 TSI (CHL-a)-TSI(SD) 값 및 TSI (CHL-a)-TSI (TP) 값치 70% 이상이 0 이하의 음수값을 보였으며, 거의 -60까지의 값으로 나타나 무기성 부유물(inorganic solids)의 영향이 안동호에 비해 크게 나타났다. 즉, 임하호에서 무기성 미세부유물은 식물플랑크톤 성장에 대한 광제한 효과를 보여 영양상태 지수들간의 상호관계의 변이에 안동호보다 좀 더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마전기, 장마기 및 장마후기에 두 호수의 수체내 총인 농도자료 분석에 따르면, 하절기 장마가 심할 때 임하호에서 장마후기의 총인농도는 안동호에 비해 월등하게 높게 나타났는데, 이런 주요 원인은 하절기의 집중강우에 의한 수계침식 및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부유물을 증가로 사료되었으며,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수질이 휴양용수로서 사용하는 데에 적합하도록 충분한 차집시설과 환경 기초시설의 설치 운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TEX>$K_s$값이 높고 $V_m/K_s$비율은 낮아 수게에서 질소가 저농도 일 때에는 다른 미세조류와 비교하면 경쟁력이 떨어지고 질소에 대한 기질 친화력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하류지역에서 M. aeruginosa가 대발생하는 시기에 수중 영양염의 농도 변동은 M. aeruginosa의 영양생리 kinetics 특성과 잘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부분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연마방법 간에 상호 연관성이 없었다. FE-SEM관찰에서 레진전색제를 적용한 후의 표면은 모든 군에서 대체적으로 평활한 표면을 나타내었다. 4. 동일한 복합레진과 연마방법으로 처리된 군에서 레진전색제 적용 전과 후의 표면조도 값은 M1B군이 M1군보다, S1B군이 S1군보다 통계학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M4B군과 M5B군은 각각 M4군과 M5군 보다. 그리고 S5B군은 S5군 보다 통계학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p<0.05). 본 연구를 종합하여 보면, 복합레진의 종류에 따라 표면조도의 순서는 다르게 나타났고, polyester strip 하에서 복합레진이 중합된 경우 가장 낮은 표면조도 값과 평활한 표면을 제공하였으며 전반적으로 anishing bur는 가장 높은 Ra값과 거친 표면을 제공하였다. Enhance, Astropol, carbide finishing bur로 연마한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평활한 표면을 얻을 수 있었지만, polyester strip과 Sof-Lex disc로 얻어진 표면은 레진전색제의 사용으로 표면조도의 개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11}C]raclopride$ PET을 이용하여 비흡연 정상인에서 흡연에 의한 도파민 유리를 영상화 및 정량화 하였고, 흡연에 의한 선조체내 도파민 유리는 흡연시 흡수된 니코틴의

가뭄기간의 저수지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Reservoir Operation for Drought Period)

  • 박기범;이순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3권12호
    • /
    • pp.1041-1048
    • /
    • 2004
  •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optimal water supply analysis by operating constraints of reservoirs during drought period are as follows. During drought period, water supply reliability is possible about $97\~61{\%}$ by CASE 1-CASE 5. Water supply reliability is possible about $97.3{\%}$ in case of the Andong dam and $87.7{\%}$ in case of the Imha dam by CASE 3. Also, under the constraints of CASE 4, water supply reliability is possible about $87.5{\%}$ in case of the Andong dam and $73.3{\%}$ in case of the Imha dam. The reason what low of available water supply ratio is decreased inflow of Imha dam. When compare standard deviation of average storage with standard deviation of storage, stable storage can be secured during successive drought period. And it also can minimize shortage of water during drought. therefore, it is impossible that reservoir supply sufficient water but change of operating condition is better than pervious on that followed by full reservoir level. It is need that the study for optimal water supply during drought period has to be continued.

성층화된 저수지의 방류수 수질예측을 위한 SELECT 모델의 적용성 검토 (Evaluation of SELECT Model for the Quality Prediction of Water Released from Stratified Reservoir)

  • 이흥수;정세웅;신상일;최정규;김유경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91-599
    • /
    • 2007
  • The quality of water released from a stratified reservoir is dependent o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location and shape of intake facility, structure of reservoir stratification, profile of water quality constituent, and withdrawal flux. Sometimes, selective withdrawal capabilities can provide the operational flexibility to meet the water quality demands both in-reservoir and downstrea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 one-dimensional reservoir selective withdrawal model (SELECT) as a tool for supporting downstream water quality management for Daecheong and Imha reservoirs. The simulated water quality variables including water temperature, dissolved oxygen (DO), conductivity, turbidity were compared with the field data measured in tailwater. The model showed fairly satisfactory results and high reliability in simulating observations.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nt between simulated and observed turbidity values were 0.93 and 0.95 for Daecheong and Imha reservoirs, respectively. The outflow water quality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water intake level under fully stratified condition, while the effect of intake amount was minor. In conclusion, the SELECT is simple but effective tool for supporting downstream water quality prediction and management for both reservoirs.

우리나라 주요 인공호의 투명도에 대한 수질 및 수중 부유물 영향 분석 (The Analysis of Water Quality and Suspended Solids Effects against Transparency of Major Artificial Reservoirs in Korea.)

  • 공건화;이재훈;안광국
    • 생태와환경
    • /
    • 제42권2호
    • /
    • pp.221-231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atively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urbid water influence in Imha Reservoir, Soyang Reservoir, and Daecheong Reservoir in Korea. We used 3 years dataset from 2002 to 2004 and analyzed seasonal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particular parameters in association with turbidity, and light transparency to figure out the trends. All parameters to be used in the study were total phosphate (TP), total nitrogen (TN), chlorophyll-${\alpha}$ (Chl), suspended solids (SS), Secchi depth (SD), conductivity, and verticallight extinction coefficienct($K_d$), euphotic zone ($Z_{eu}$), and critical depth ($Z_p$). All parameters depend on season and watershed. Suspended solids from Soyang Reservoir were usually caused by TP, mainly related to living wastes and agricultures in upper stream. Daecheong Reservoir was influenced by organic matters related to large phytoplankton biomass in summer and inorganic suspended solids by nutrients in the winter. However, in case of Imha Reservoir, turbid water, consisted in silt and clay through heavy precipitation remained in the waterbody to decrease water transparency along with TP and caused the light limitation in winter.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various management programs because the reasons occurring turbidity were varied according to the reservoir circumstances.

반변천 상류지역 토양성분의 유입이 임하호 탁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Components Flowed from Upper Banbyun Stream on Turbidity of Imha Reservoir)

  • 서을원;김연정;황해연;김현맥;백승철;김종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35-41
    • /
    • 2006
  • 임하호의 고탁도 유발물질에 대한 근본원인물질을 규명하기 위하여 영양과 청송 6개 지역 시료에 포함되어 있는 토양 성분의 용출성과 성분을 분석하였다. 채취된 시료의 주성분을 분석해 보면 vermiculite(V), illite(I), kaolinite(Ka), quartz(Q), feldspar(F)가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산성과 청기지역의 토양에서는 Na와 Ca이 대량 용출되었으며, 특히 Ca는 수계와 접촉 시 이온의 용출이 급격히 이루어지며 이때 용출된 이온이 pH를 상승시키는 알칼리성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영양일대에 위치한 점토질 토양 중에는 calcite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강우 시 수분에 의해 쉽게 용해되며 이로 인하여 토양 입자들을 수 ${\mu}m$ 크기로 분리시키는 작용을 수반하고 있어서 임하호의 고탁도 발생과 pH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낙동강 수계 임하호의 어류상 고찰 (Review on the Fish Fauna of the Imha-Dam Reservoir in the Nakdonggang River System, Korea)

  • 정충훈;한경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9-124
    • /
    • 2018
  • 낙동강 수계의 임하호에 서식하는 담수어류의 다양성과 종 목록을 고찰하고자 1992년부터 2016년까지의 문헌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하호 내에서 출현한 전체 어류는 총 4목 11과 36속 46종 23,269개체가 보고되었다. 잉어과가 27종(58.7%), 미꾸리과 5종 (10.9%), 망둑어과 3종 (6.5%), 메기과, 꺽지과, 검정우럭과가 각각 2종(4.3%)씩 보고되었다. 우점종은 9,333개체 (40.1%)가 출현한 강준치였고, 아우점종은 2,281개체(9.8%)가 출현한 끄리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고유종은 17종으로 출현어종 46종의 37.0%를 차지하였고,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은 3종, 국내이입종은 5종, 외래종은 3종이 보고되었다.

하천의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탁수평가 GIS DB 분석 (The Analysis of GIS DB for the Evaluation of Turbid Water Considering Spatial Characteristics of River Channel)

  • 박진혁;이근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9-26
    • /
    • 2006
  • 안동호와 임하호는 서로 인접되어 있지만, 강우에 따른 탁수발생에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임하호 탁수발생의 주요원인으로는 유역내 지질암 및 하천주변의 농경지 분포특성이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 과학기술원에서 구축한 정밀토양도를 이용하여 탁수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표토층의 퇴적암의 분포특성을 분석한 결과 임하호 유역의 퇴적암 분포가 안동호 유역에 비해 1.87배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하천의 완충구역을 고려한 퇴적암의 분포특성에서는 하천으로부터 1,600m 이내에서 임하호가 안동호에 비해 탁수발생에 취약한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토지피복 분석에서는 하천구역 1,600m 내에서 임하호의 농경지 분포가 안동호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농경지 분포특성으로 식생피복인자도 임하호가 안동호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다.

CE-QUAL-W2 모델을 이용한 임하호 선택배제시설의 효과분석 (Assessment of Selective Withdrawal Facility in the Imha Reservoir Using CE-QUAL-W2 Model)

  • 이상욱;김정곤;노준우;고익환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8-235
    • /
    • 2007
  • For efficient turbid water withdrawal in the Imha reservoir, a selective withdrawal facility was recently installed and operated during summer season of year 2006. In this research, CE-QUAL-W2 model was utilized to assess the efficiency of the selective withdrawal facility, in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surface withdrawal, on turbid water management. Model calibration was carried out using data observed at four automatic monitoring stations in the reservoir. It was found that the model appropriately simulated, with the RMSE less than 5.2 NTU, the observed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s of water temperature and turbidity as well as the location of maximum turbid water at each monitoring sta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selective withdrawal is more effective in removing high turbid water than surface withdrawal as selective withdrawal contributed to reducing $35Mm^3$ of high turbidity water (> 100 NTU) in the reservoir by increasing outflows of high turbid water. Therefore, effective management of turbid water in the reservoir can be achieved by changing locations of intake depending on turbid water distribution condi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some bas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better operation strategies to cope with turbid water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