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lex argentinus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초

원양산 오징어(Illex argentinus) 내장의 endoprotease 및 exopeptidases의 분포 및 추출조건 검토 (Distribution and Extraction Condition of Endoprotease and Exopeptidase from Viscera of Illex argentinus)

  • 김혜숙;허민수;김진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308-315
    • /
    • 2007
  • 오징어 가공 부산물인 오징어 내장을 효소제재와 같이 식품가공소재로 이용하기 위하여 오징어 내장의 endoprotease와 exopeptidase의 분포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오징어 내장은 조효소가 함유되어 있으리라 추정되는 단백질이 17.2%를 차지하였고, 또한, 이물질로 제거하여야 되는 조지방의 경우도 16.9%로 다량 차지하였다. 오징어 내장 조효소의 활성을 천연기질(azocasein)과 합성기질(LeuPNA 및 ArgPNA)로 나누어 살펴 본 결과 추출 용매(탈이온수, 1% NaCl, 1% KCl 및 1% NaCl-KCl 혼합용액)및 추출 시간(1-20시간)에 관계없이 전 조 효소가 동일 pH에서 천연기질의 분해활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합성기질의 분해활성(pH7.5)이 높아, 오징어 내장으로부터 효소를 분리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exopeptidase를 분리하여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리라 판단되었다. 오징어 내장으로부터 exopeptidase를 분리하여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탈이온수를 이용하여 6-8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리라 판단되었다. 오징어 내장 조효소의 최적 pH와 온도는 pH 7.5 및 $50-55^{\circ}C$범위로 판단되었다.

원양산 오징어(Illex argentinus) 내장으로부터 Endoprotease의 분획 (Fractionation of Endoprotease from Viscera of the Argentina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

  • 김혜숙;김진수;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76-181
    • /
    • 2008
  • To evaluate the effective use of endoprotease from squid viscera as a food processing aid, various methods of fractionating endoprotease from viscera of the Argentina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 were evaluated. The endoprotease-positive fractions of each fractionation were fraction II (30-40%, w/w) with cold acetone, fraction IV (50-60% saturation) with ammonium sulfate, fraction UF with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fraction II (15-24 kDa) with gel filtration. The specific activities (approximately 25 U/mg) of the fractions using ammonium sulfate and gel filtration were higher than the others. Total azocaseinolytic activity and recovery of the positive fraction using gel filtration were 806.95U and 37.82%, respectively, and were the highest among the positive fractions. Based on the results, gel filtration was the most efficient method for fractionating endoprotease from the viscera of Illex argentinus.

남서대서양 아르헨티나 짧은지느러미오징어(Illex argentinus)의 어획변동 (Catch Variations of Argentine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 in the Southwest Atlantic)

  • 구정은;최석관;안두해;김은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6호
    • /
    • pp.934-941
    • /
    • 2020
  • The spatial and temporal catch variations of Argentine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 in the Southwest Atlantic Ocean (SWA) were analyzed using Korean squid-jigging fishery data collected through electronic reporting system (ERS) from 2016 to 2020. The ERS linked with GPS has been implemented for collecting fishing data from all Korean fishing vessels operating in international waters since November 2015. The fishing period of the Korean squid-jigging fishery in the SWA runs from early summer to autumn (December to June) in the Southern Hemisphere. The fishing ground was extended from 42°S to 48°S along the Patagonian continental shelf and slope, and the main fishing ground was formed around the Falkland Islands. The yearly catch per unit effort (CPUE) of I. argentinus fluctuated between 1.69 and 7.53 tons/day. In this study, during the fishing season, a south and westward shift on the fishing ground was observed indicating the feeding migration of the south Patagonian stock. The shift in monthly fishing centroids differed according to fishing season. The gradual southward shifts of fishing centroids were observed in the catch years (2017 and 2018), whereas unapparent shifts in fishing centroids were observed in the low catch years (2016 and 2019).

수온변동에 따른 아르헨티나 짧은지느러미오징어, Illex argentinus의 풍도 변화 (Abundance of Argentine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Castellanos) in Relation to Fluctuation of Water Temperature in the Southwestern Atlantic Ocean)

  • 김영승;김두남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0권4호
    • /
    • pp.282-294
    • /
    • 2004
  • 아르헨티나 짧은지느러미오징어는 1993년에 99,000톤에서 1994년 56,600톤으로 감소하고 1996년에는 78,600톤에서 1997년 130,300톤으로 다시 증가하였다. 어획량의 급감 및 급증한 1993~1994년과 1996~1997년의 성어기인 3~5월의 풍도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아르헨티나 짧은지느러미오징어의 수온 변동에 따른 풍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호황을 보였던 해인 1993년과 1997년은 성어기에 주로 50$^{\circ}$~51$^{\circ}$S간 해역에서 주어장이 형성되었고, 불황을 보였던 1994년과 1996년에는 50$^{\circ}$S이북에서 성어기 어장이 형성되었으며 포클랜드 어장의 평균수온은 3월 10~11$^{\circ}$C, 4~5월은 9$^{\circ}$C로 평균 등온선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어황이 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르헨티나 짧은지느러미오징어의 높은 단위노력 당어획량(kg/line) 및 어획량은 어장이 포클랜드 해류의 영향을 받지 않은 1993년 및 1997년은 호황을 보였고, 북상하는 포클랜드 해류의 영향을 받은 1994년 및 1996년에는 급격히 감소되어 불황을 보였다.

원양산 오징어(Illex argentinus) 내장으로부터 Exopeptidase의 분획 (Fractionation of Exopeptidase from Viscera of Argentina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

  • 김혜숙;김진수;허민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1009-1017
    • /
    • 2008
  • 원양산 오징어 내장 조효소로부터 아세톤법, 황산암모늄법, 음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법 및 겔 여과법을 이용하여 exopeptidase를 분획한 다음, 각 분획방법별 fraction들의 효소 활성(총활성 및 비활성), 정제도 및 회수율 등을 검토하여 최적 분획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아세톤 분획법의 경우 아세톤의 최종농도가 $30{\sim}40%$가 되도록 분획하는 것이, 황산암모늄 분획법의 경우 황산암모늄을 $60{\sim}70%$의 포화농도가 되도록 분획하는 것이, 음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 0.2 M NaCl을 이용하여 분획하는 것이, 그리고, 겔 여과의 경우 분자량 $30{\sim}50\;kDa$ 범위의 것을 분획하는 것이 효율적이었다. 분획방법별 최적 활성 fraction간의 상호비교에서 LeuPNA 및 ArgPNA에 대한 총활성 및 회수율은 겔 여과가, 비활성 및 정제도는 황산암모늄에 의한 분획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양산 오징어 내장으로부터 탈 이온수로 조효소를 추출한 다음, 겔 여과로 분획한 exopeptidase의 식품가공소재로서 산업적 이용을 위해서는 겔 여과법의 특성을 기초로 하여 추출 조효소로부터 연속 및 대량처리를 위한 공정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원양산 오징어(Illex argentinus) 간췌장 유래 Exopeptidase 분획물의 쓴맛개선 효과 (Debittering of Enzymatic Hydrolysate Using Exopeptidase Active Fractions from the Argentina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 Hepatopancreas)

  • 김진수;김민지;김기현;강상인;박성환;이현지;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35-143
    • /
    • 2014
  • Exopeptidase active fractions from the hepatopancreas of the Argentina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 were obtained with acetone (AC 30-40%), ammonium sulfate (AS 60-70% saturation),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AE-II, 0.2 M NaCl) and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GF-I, 30-50 kDa) fractionation methods. A bitter peptide solution that has a bitterness equivalent to that of 2% glycylphenylalanine and prepared by tryptic hydrolysis of milk casein, was treated with the exopeptidase active fractions. The GF-I fraction was the best based on aminopeptidase activity (35.3 U/mg), percentage of recovery (30.7%) and a sensory evaluation (1.7). The amount of released amino acids increased as incubation time increased, and the bitterness of the enzyme reaction mixtures decreased. Incubation with the GF-I fraction for 24 h resulted in the hydrolysis of several peptides as revealed by the reverse-phase high performance liguid chromatography profile, with three peaks (3, 5 and 6) decreasing in area (%) and three peaks (1, 2 and 4) increasing in area (%). Therefore, the GF-I fraction appeared to be ideally suited to reduce bitterness in protein hydrolysates by catalyzing the hydrolysis of bitter peptides.

오징어 내장의 지방질조성 (Characteristics of Squid Viscera Oil)

  • 김은미;조진호;오세욱;김영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595-600
    • /
    • 1997
  • 오징어 가공부산물인 오징어내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내장에서의 지방 추출 및 추출지방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원양산과 연안산의 총지방량은 각각 $30.50\%,\;30.25\%$였으며 중성지질은 $96.24\%,\;94.82\%$, 당지질은 $2.63\%,\;2.85\%$, 인지질은 $2.37\%,\;2.34\%$으로 나타났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은 $644mg\%,\;1,224mg\%$를 각각 나타내었다. 2) 원양산 및 연안산 오징어의 주요 지방산은 모두 $C16\;:\;0,\;C18\;:\;1\omega9,\;C20\;:\;4\omega6,\;C20\;:\;5\omega3,\;C22\;:\;6\omega3$으로 나타났으며 중성지방질의 획분조성도 서로 유사하여 품종간의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두군 모두 free fatty acid 함량이 가장 높은 $44.01\%,\;39.63\%$를 각각 나타내었다. 3) 원양산의 분획별 주요지방산은 중성지질획분에서 $C16\;:\;0,\;C18\;:\;1\omega9,\;C20\;:\;4\omega6,\;C20\;:\;5\omega3,\;C22\;:\;5\omega3$, 인지질획분에서 $C16\;:\;0,\;C16\;:\;1\omega7,\;C20\;:\;5\omega3,\;C22\;:\;6\omega3$ 당지질획분에서 $C16\;:\;0,\;C18\;:\;1\omega9,\;C20\;:\;5\omega3,\;C22\;:\;6\omega3$으로 나타났다. 4) 연안산의 분획별 주요지방산은 중성지질획분에서 $C16\;:\;0,\;C18\;:\;1\omega9,\;C20\;:\;4\omega6,\;C20\;:\;5\omega3,\;C22\;:\;6\omega3$로 나타났으며 인지질획분에서는 $C16\;:\;0,\;C18\;:\;1\omega9,\;C22\;:\;6\omega3$로 당질획분에서 $C16\;:\;0,\;C18\;:\;1\omega9,\;C22\;:\;6\omega3$로 나타났다.

  • PDF

남서대서양 한국트롤어업의 조업특성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wl Fisheries in the Southwest Atlantic Ocean)

  • 구정은;김은정;최석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517-525
    • /
    • 2021
  • Trawl fishing is a major concern worldwide, and there is considerable debate about its impact on marine ecosystems. In this study, we used the vessel monitoring system (VMS) data collected in the southwest Atlantic Ocean from 2016 to 2019 to estimate the fishing effort and trawled area. Spatial distribution of traw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latitude and longitude and the hotspots where fishing was concentrated each year were identified. Trawling activities of the Korean vessels were mainly distributed between 40-52°S and 56-63°W. The species caught during the fishing period comprised five Cephalopoda, three Chondrichthyes, ten Osteichthyes, and other fish. The Argentine hake Merluccius hubbsi and Argentine shortfin squid Illex argentinus were the dominant species in the cat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