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entification Code

검색결과 345건 처리시간 0.023초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에서 Type III 분비장치의 표적단백질들의 분비신호 확인 및 Type III 분비장치를 이용한 Secretion Vector의 개발 (Identification of Secretion Signals of Target Proteins in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and Construction of Secretion Vector using this Signal)

  • 최혁진;엄준호;조정아;이선;이경미;이인수;박용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4-258
    • /
    • 2000
  • 소장의 상피세포내로 세균 세포가 들어가는 과정(invasion)은 Salmonella의 감염에서 중요한 단계이다. invasion은 Salmonella type III 분비장치에 의해 분비되는 단백질들에 의해 유도된다. type III 분비단백질들은 특이하게, 일반적인 분비단백질들이 가지는 N-말단 분비 신호 펩타이드를 가지고 있지 않는 것을 알려져 있다. Yersinia에서의 최근 연구에서 type III 분비장치에 의해 인지되는 분비신호는 분비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mRNA의 5'말단부의가 형성하는 2차 구조에 있을 것이라는 보고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Salmonella type III 분비장치의 분비신호를 조사하기 위해 type III 분비단백질중 하나인 sopE를 택하여 ompR과의 translational fusion을 만들었다. translational fusion을 위해 사용된 sopE DNA절편은 프로모터와 시작 콘돈으로부터 10, 15 코돈을 포함하는 절편이다. Immunoblot으로 확인한 결과, OmpR을 포함하는 fusion 단백질이 형질전환 Salmonella 세포로부터 분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Salmonella의 type III 분비신호가 분비단백질을 암호화하는 mRNA의 5'말단에 위치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분비신호를 활용하여 유용한 외래 단백질을 세균 세포 내에서 효과적으로 생산, 분비할 수 있는 secretion vector의 원형을 개발하였다.

  • PDF

유동성 단열 파악을 위한 암반 내 단열특성 규명 (Identification of Conductive Fractures in Crystalline Recks)

  • 채병곤;최영섭;이대하;김원영;이승구;김중렬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8-100
    • /
    • 1998
  • 결정질 암반내에 발달하는 단열은 지하수유동의 주요 경로가 되므로, 유동성 단열의 특성 규명은 유동체계를 해석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암반 내 단열 중 유동성 단열을 추출하기 위해 편마암 지역내 폐광산을 대상으로 단열특성을 파악했다. 연구지역내 지표 노두와 항내에 발달하는 단열 중, 단층은 방향성, 단층폭, 연장성, 운동감각, 충전물질, 절리의 경우는 방향성, 길이, 간격, 틈(aperture), 충전물질, 조도(roughness), 타 절리들과의 교차 및 연결성을 조사했다. 한편, 지표 하에 발달하는 단열특성 파악을 위해 연구지역내 5개 지점에 시추를 실시하여 이를 통해 회수된 코아시료를 정밀 로깅했다. 그 중,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초음파주사검층을 실시하여 단열의 방향성과 단열종류를 구분하고 획득한 자료를 처리.분석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표상에 발달하는 대표 단열군은 GSet 1: N50-82$^{\circ}$E/55-90$^{\circ}$SE, GSet 2: N2-8$^{\circ}$E/56-86$^{\circ}$SE, GSet 3: N46-72$^{\circ}$W/60-85$^{\circ}$NE, GSet 4:Nl2-38$^{\circ}$W/15-40$^{\circ}$SW 단열군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응되는 지표하 단열군은 HSet 1: N50-90$^{\circ}$E/55-90$^{\circ}$SE, HSet 2: N10-30$^{\circ}$E/50-70$^{\circ}$SE, HSet 3: N20-60$^{\circ}$W/50-80$^{\circ}$NE, HSet 4: N10-50$^{\circ}$E/$\leq$40$^{\circ}$NW로 분류되었다. 이 단열군들 중 GSet 1 및 GSet 3, 그리고 HSet 1 및 HSet 3은 연구지역내 가장 우세하게 발달하는 단열군이다. HSet 1은 평균 단열간격이 30~47 m이며, 이 단열 중 등급(code) 1 단열(단층, 열린단열) 등이 21.0~42.9%를 구성한다. HSet 3은 55~57 cm의 평균 단열간격을 보이고, 등급 1 단열이 15.4~26.9%를 차지한다. HSet 4는 239 cm의 평균 단열간격을 보여 연구지역내 우세 단열군 중 가장 넓은 단열간격을 가지나, 등급 1 단열의 비율이 54.5%에 이른다. 등급 1 단열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단층이나 열린단열은 다른 성질의 단열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리전도성이 큰 것으로 알려져 있음을 통해, N55-85$^{\circ}$E/50-80$^{\circ}$SE 단열군과 N20-60$^{\circ}$W/50-75$^{\circ}$NE 단열군, 그리고 N10-30$^{\circ}$E/$\leq$30$^{\circ}$NW 단열군이 연구지역 내에서 지하수 유동성이 가장 높은 단열군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3개 시추공을 대상으로 실시한 시추공 내 물리검층과 정압주입시험에서도 확인된다.

  • PDF

모니터링을 이용한 Slide Culture 곰팡이 시험법 검증 (Verification of Mold Determination Method using Slide Culture by Monitoring)

  • 이희숙;박건상;신영민;이명자;임종미;유현정;김기현;조대현;김대병;김옥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37-144
    • /
    • 2007
  • 우리나라의 전통발효식품의 기초가 되는 곡자는 날곡류에 Aspergillus속, Rhizpous속 등 곰팡이류 , 효모 기타 미생물이 자연적으로 번식하여 효소를 함유하는 것이고, 입국은 곡류를 증자한 후 Aspergillus속, Rhizopus,속 등 곰팡이를 번식시켜 효소를 함유하는 것이다. 식품첨가물공전 천연첨가물 중 국(입국) 시험항목에서 잡균(Penicillium속)의 오염확인이 어려워 새로운 곰팡이 시험법의 확립이 필요하다. 그래서 곰팡이 특유의 포자, 분생자병 또는 균사의 격벽유무 등의 관찰이 용이한 slide culture법을 확립하였다. Slide culture 법은 slide glass위에 정방형의 잘라진 배지를 놓고, 양쪽 모서리에 포자를 접종하고 배양되는 과정동안 포자, 균사체 및 격벽 등을 관찰하였다. Slide culture법을 이용하여 대표적인 식품 관련 곰팡이의 형태학적 특징을 확인하여, 시중에서 유통되는 수입 또는 국내 생산되는 곡자, 입국 등을 수거하여 Penicillium속 오염 여부를 모니터링하였으며, 그 결과 Penicillium속의 오염율은 0%였음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식품첨가물공전의 국 중 잡균시험법 등 곰팡이시험법 제 개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레거시 시스템의 웹서비스화를 위한 마이그레이션 기법 (A Method for Migration of Legacy System into Web Service)

  • 박옥자;최시원;김수동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4호
    • /
    • pp.583-594
    • /
    • 2009
  • 현재 기업이나 조직에서 적용할 수 있는 SOA(Service-Oriented Architecture, 이하 SOA)는 조직의 요구사항을 분석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설정하고 후보 서비스를 식별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찾거나 개발하는 하향식 방법론(top-down methodology)이 대부분이다. 이 경우 기존의 시스템을 버리고 새로운 SOA를 도입하기에는 비용과 시간면에서 모험이 따를 수 있으므로 기존의 시스템을 최대한 이용하면서 점차적으로 SOA에 적합한 시스템으로 변환하기를 원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레거시 시스템을 SOA에 적합한 웹서비스 형태로 만들기 위한 M-LSWS (A Method for Migration of Legacy System into Web Service)를 제안한다. M-LSWS는 레거시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디자인 명세 및 코드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후보 서비스를 식별하여 재사용 가능한 웹서비스로 변환하는 절차를 정의하였으며 실제 SOA에 적합한 웹서비스 변환에 목적을 두고있다. 제안한 방법은 레거시 시스템 분석, 재사용 가능 서비스 도출 및 명세, 서비스 래핑, 서비스 등록의 네 단계로 이루어지며 단계별 프로세스와 가이드라인에 제시되고 도서관리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제안한 방법론의 타당성을 평가하여 본다.

온라인 백-엔드-데이터베이스가 없는 안전한 RFID 상호 인증 프로토콜 (Secure Mutual Authentication Protocol for RFID System without Online Back-End-Database)

  • 원태연;유영준;천지영;변진욱;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3-72
    • /
    • 2010
  •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바코드를 대체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하나의 차세대 자동식별 기술을 말한다. RFID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태그(Tag)와 태그 인식을 위한 리더 (Reader) 그리고 태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백-엔드-데이터베이스(Back-End-Database)로 구성된다. 최근 휴대폰이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에 모바일 리더 기능을 장착한 모바일 리더를 이용한 RFID 서비스가 급증하고 있으나 이러한 환경에서 안전한 기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하다. 기존에 존재하는 고정형 리더를 이용한 기법들을 모바일 리더를 이용한 환경에 적용하기에는 추가적으로 고려해야할 요소들이 존재한다. 모바일 리더 환경에서는 기기의 분실이 쉽고 또한 통신 장애 및 통신 범위 초과와 같은 이유로 백-엔드-데이터베이스와 항상 신뢰하여 연결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추가적인 문제들을 고려한 안전한 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Han 등이 백-엔드-데이터베이스가 없는 환경에서 RFID 상호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Han 등의 기법은 도청, 스푸핑, 재생 공격을 통한 태그 위치 추적이 가능하다. 또한 저가 기반의 수동형 태그에 부적절하게 많은 통신량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Han 등의 기법의 취약성을 분석하고 안전성과 효율성 측면에서 향상된 온라인 백-엔드-데이터베이스가 없는 환경에서 RFID 상호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중복 허용 범위를 고려한 서바이벌 네트워크 기반 안드로이드 저자 식별 (Survival network based Android Authorship Attribution considering overlapping tolerance)

  • 황철훈;신건윤;김동욱;한명묵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3-21
    • /
    • 2020
  • 안드로이드 저자 식별 연구는 좁은 범위에서는 출처를 밝히기 위한 방법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넓은 범위에서 본다면 알려진 저작물을 통해 유사한 저작물을 식별하는 통찰력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저자 식별 연구에서 발견되는 문제점은 안드로이드 시스템 상 중요한 코드이지만 의미가 없는 코드들로 인하여 저자의 중요한 특징을 찾기 어렵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합법적인 코드 또는 행동들이 악성코드로 잘못 정의되기도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바이벌 네트워크 개념을 도입하여 여러 안드로이드 앱에서 발견되는 특징들을 제거하고 저자별로 정의되는 고유한 특징들을 생존시킴으로써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제안하는 프레임워크와 선행된 연구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440개의 저자가 식별된 앱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에서 최대 92.10%의 분류 정확도를 도출하였고 선행된 연구와 최대 3.47%의 차이를 보였다. 이는 적은 양의 학습데이터를 이용하였으나 저자별 중복된 특징 없이 고유한 특징들을 이용하였기에 선행 연구와 차이가 나타났을 것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특징 정의 방법에 따른 선행 연구와의 비교 실험에서도 적은 수의 특징으로 동일한 정확도를 보일 수 있으며, 이는 서바이벌 네트워크 개념을 통한 지속적으로 중복된 의미 없는 특징을 관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DNA barcode를 이용한 민어과 수산가공품 진위판별 모니터링 (Food Fraud Monitoring of Commercial Sciaenidae Seafood Product Using DNA Barcode Information)

  • 박은지;조아현;강주영;이한철;박민지;양지영;신지영;김군도;김종오;서용배;김중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74-58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민어과 수산물의 표준시료 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DNA barcode 염기서열을 확정하고 검증한 후 시중 유통 중인 민어과 수산가공식품의 위변조 현황을 조사하였다. 표준시료의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유전자를 증폭한 후 증폭된 PCR 산물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종 판별에 특이적인 655 bp를 선정하여 DNA barcode 염기서열로 하였다. DNA barcode information과 primer set을 이용한 진위판별 정확성을 확인한 결과 PCR 증폭은 모두 확인되었다. NCBI에 등록된 각각 어류의 유전자 염기서열과 비교하였을 때 참조기 100%, 부세 100%, 보구치 100%, 민어 100%의 상동성을 나타내어 실험에 사용된 DNA barcode information과 primer set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DNA barcode 시험법을 이용해 시중 유통되는 민어과 수산가공품 32건에 대해 조사한 결과 위변조 사례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식품공전에 등재된 보구치 대신 백조기라는 일반명이 사용되고 있어 소비자에게 혼란을 야기하고 있었다. 따라서 수산가공품 원재료 표시에 일반명과 더불어 표준명 또는 학명을 표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DNA Barcode를 이용한 수산가공품 원재료 진위판별 (Food Fraud Monitoring of Raw Materials for Commercial Seafood Products Using DNA Barcode Information)

  • 박은지;강주영;이한철;박민지;양지영;신지영;김군도;김종오;서용배;김중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31-34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DNA barcode 시험법을 이용하여 시중 유통 중인 도미와 옥돔 수산가공식품의 위변조현황을 분석하였다. 참돔 12건, 돌돔 4건, 황돔 7건, 감성돔 2건, 나일틸라피아 7건, 옥돔 6건, 옥두어 8건 총 46건의 시료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생물 종 판별에 주로 이용되는 mitochondrial DNA의 COX I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유전자 영역을 분석하여 원재료의 종을 판정하였다. NCBI에서 제공하는 BLAST Search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된 염기서열과 NCBI에 등록된 각각 어류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염기서열 상동성(identity)이 97% 이상인 종을 원재료 종으로 판별하였다. DNA barcode 시험법을 이용해 시중 유통되는 참돔, 돌돔, 황돔, 감성돔, 나일틸라피아, 옥돔, 옥두 수산가공품 46건에 대해 조사한 결과 위변조 사례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시장에서 통용되는 일반명칭과 식품공전에 기술된 표준명칭이 상이하여 소비자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어 수산물 가공식품 표기에 일반명칭과 더불어 표준명칭 또는 학명을 같이 기술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RFID 시스템 보안 강화를 위한 비공개 코드 기반의 인증 프로토콜 (Authentication Protocol of Private Code-based for Advanced Security of RFID System)

  • 장봉임;김용태;정윤수;박길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737-744
    • /
    • 2010
  • 최근 산업 및 생활 전반에 걸쳐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의 사용은 증가 추세 에 있으며, 더욱 확대 될 전망이다. 그러나 RFID는 인증과정에서 도청, 재전송공격, 스푸핑 공격(Spoofing attack), 위치 추적 공격 등의 악의적인 위협으로부터 취약하다. 특히 저가형 RFID태그에는 기존의 다른 시스템에서 사용되던 인증 프로토콜의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RFID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효율적인 인증 프로토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기존의 기법에 비해 전송 데이터의 검증과정을 강화하여 도청이나 스푸핑 공격으로부터 안전하며, 태그의 연산 작업을 최소화하여 저가형 태그로의 적용이 유용하다. 또한 통신 라운드 수를 줄여 통신의 효율성을 보장하는 장점을 가진다.

차로 구분이 가능한 정밀전자지도의 성능 요구사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e Requirement of Precise Digital Map for Road Lane Recognition)

  • 강우용;이은성;이건우;박재익;최광식;허문범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7-53
    • /
    • 2011
  • To enable the efficient operation of ITS, it is necessary to collect location data for vehicles on the road. In the case of futuristic transportation systems like ubiquitous transportation and smart highway, a method of data collection that is advanced enough to incorporate road lane recognition is required. To meet this requirement, technology based o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has been researched. However, RFID may fail to yield accurate location information during high-speed driving because of the time required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tag and the reader. Moreover, installing tags across all roads necessarily incurs an enormous cost. One cost-saving alternative currently being researched is to utilize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carrierbased location information where available. For lane recognition using GNSS, a precise digital map for determining vehicle position by lane is needed in addition to the carrier-based GNSS location data. A "precise digital map" is a map contain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each road lane to enable lane recognition. At present, precise digital maps are being created for lane recognition experiments by measuring the lanes in the test area. However, such work is being carried out through comparison with vehicle driving information, without definitions being established for detailed performance specification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performance requirements of a precise digital map capable of lane recognition based on the accuracy of GNSS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accuracy of the precise digital map.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ecise digital map, simulations are carried out. The results show that to have high performance of this system, we need under 0.5m accuracy of the precise digital 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