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 대중화

검색결과 483건 처리시간 0.03초

헤드 무브먼트 데이터와 가상현실 콘텐츠 몰입도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Head Movement Data and Virtual Reality Content Immersion)

  • 김정호;유태경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500-507
    • /
    • 2021
  • 가상현실 산업은 Covid-19 이후 비대면 콘텐츠 수요 급증과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재도약할 기회를 얻었다. 따라서 이러한 흐름과 함께 가상현실 콘텐츠를 대중화를 위해서는 양질의 콘텐츠 제작과 가상현실 특성에 맞는 스토리텔링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처럼 가상현실 특성을 적용한 콘텐츠가 사용자 피드백을 통해 효과적으로 제작되기 위해서는 해당 콘텐츠를 평가할 수 있는 정량적 지표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관람하는 과정을 분석하여 머리 움직임을 정량적 지표로 설정하였다. 이후 실험자는 5개 애니메이션을 관람하고 이에 따라 기록된 머리 움직임 정보와 몰입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머리 움직임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릴 때 높은 몰입도를 나타내었고, 머리 움직임 속도가 콘텐츠 몰입도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유의미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도출된 결과는 이후 창작자가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을 할 때 프로토타입 제작 후 적용된 스토리텔링 방식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정량적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은 제안된 스토리텔링 방식 문제점을 빠르게 파악하고 더 나은 방식을 제안할 수 있어 콘텐츠의 질을 향상시킨다. 본 연구는 머리 움직임 속도라는 정량적 지표를 기반으로 몰입도를 분석하는 기초연구로 양질의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과 가상현실 콘텐츠 대중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과학대중화를 위한 과학관 해설사 역량 탐색 : 국내·외 과학관 해설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Exploring Science Communicators' Competencies for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PUS): Focusing on National and International Science Communicators' Curriculums)

  • 박영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73-390
    • /
    • 2022
  • 이 연구는 국내·외 과학관 해설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양성 및 재교육을 포함한 교육과정을 비교하면서 국내의 체계적인 과학관 해설사의 교육과정에 필요한 요소를 제시하는 것이다. 국내의 국립과학관, 자연사박물관, 및 시립과학관 총 6개의 기관에서 국외는 5개의 나라의 과학관 및 자연사박물관 등의 해설사 교육담당 실무자와 해설사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여 해설사의 교육과정의 현황, 문제점, 개선점 등에 대해서 2차에 걸친 설문에 응답하였다. 이와 더불어 국내의 20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모범 박 해설사의 수업일지, 본인 개발 해설사 운영매뉴얼, 인터뷰 등의 자료를 통해 이러한 해설사의 역량강화를 위한 교육과정에 필요한 요소가 무엇인지를 증거자료로 추가적으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도출된 해설사 관련 결과는 공통점과 특정한 내용으로 비교 기술되었으며 또한 Falk(2006)가 제시한 학습맥락모형(contextual model of learning)으로 제시되는 3가지 맥락인 개인적 맥락, 사회문화적 맥락, 그리고 물리적 맥락에 비추어 해설사의 역량과 얼마나 연계가 있는지도 제시하였다. 국내의 경우는 이러한 학습맥락모형에 연계된 역량강화가 잘 드러나지 않는 반면에 국외 특히 미국의 경우는 이러한 3가지의 맥락에서 필요한 해설사의 역량강화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 연구에 참여한 20년 경력의 모범 박 해설사의 경우는 이러한 3가지 맥락에서 필요한 역량을 모두 갖춘 경력해설사이기에 이러한 경력해설사로 구성된 멘토 체계로 초임해설사를 양성하고 역량강화를 하는 연수과정을 개발하여 제공한다면 국내 과학관을 방문하는 관람객들이 추구하는 과학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관람객들의 정체성을 잘 파악하여 방문하는 이들에게 최대한의 과학 학습효과를 경험시키기 위해서는 이와 상호작용하는 과학해설사의 교육과정이 운영실무자와 해설사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해설사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는 실무기반 멘토링 제도로 개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설문조사를 통한 서울정원박람회의 사후평가 (Post-evaluation of the Seoul Garden Show through a Survey)

  • 이혁재;홍승훈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741-74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서울정원박람회의 성공 및 실패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서울정원박람회의 개최목적 및 목표를 재정립하고 서울정원박람회가 서울시의 정원문화의 대중화와 확산은 물론 서울시민들의 정원문화의 향유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기반을 만드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인과 박람회 참여자의 2개의 그룹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으로는 서울정원박람회에 대한 만족요소 및 문제점 파악, 서울정원박람회의 방향성 정립 등이다. 성공요인에 대해서는 작가정원이 가장 높았으며, 개선사항으로는서울정원박람회의 각 요소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있었지만, 주로 산업전과 휴게공간, 홍보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후 서울정원박람회는 노후공원에서 정원문화의 확산과 대중화, 생활화를 목표로 진행되어야 하며, 작가정원을 중심으로 많은 정원들을 조성하여야 한다. 서울정원박람회는 여러 방면으로 사회에 공헌하고 있으며, 일부 개선사항은 있지만, 서울정원박람회에 대한 재방문의사가 높은 점을 고려하면, 현재까지의 서울정원박람회는 가치가 충분히 크다고 할 수 있다.

어느 페미니스트 범죄 서사의 딜레마 -양귀자의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소고 (A Dilemma of Feminist Crime Narrative -focus on Yang Gui-Ja's Romance I Wish For What Is Forbidden)

  • 이혜령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4호
    • /
    • pp.223-261
    • /
    • 2019
  • 이 글은 페미니스트 범죄서사인 양귀자의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을 1990년대 여성운동과 페미니즘의 대중화, 강남 중산층 소비 문화와 미디어 문화의 전면화를 배경으로 중산층 가정의 사회적 도덕적 규범성이 강화되는 맥락을 보여주는 텍스트로 읽고자 하였다. 이 소설의 여성 주인공인 강민주와 백승하는 모두 1990년대 텔레비전과 광고 등을 통해 대중적으로 가시화하기 시작한 강남의 거주자이다. 다른 한편으로 남녀 주인공에게 각각 할당된 페미니스트이자 강한 소비적 정체성을 지닌 여성과 부드럽고 가정적인 남성은 모두 당대 여성운동의 성장과 대중화된 페미니즘의 이슈를 체현한다. 소비주의 미디어 문화, 여성운동, 민주화의 결합은 무엇보다 중산층이라는 물질적 토대를 가시화하는 가운데 부드럽고 가정적인 남성상을 창출했다. 이 소설에서 가정적 남성상은 페미니스트 범죄 서사를 중산층 가정의 안정과 위엄을 공격하는 팜므 파탈의 서사로 전화시키며, 바로 그 전화의 순간에 강민주는 자신을 흠모해온 하층계급 남성에 의해 죽임을 당한다. 양귀자의 이 소설은 1990년대 본격화된 강남을 배경으로 한 중산층의 사회문화적 재현과 페미니즘 이슈를 중첩시킨 텍스트로서 시사적일 뿐만 아니라 징후적이다. 1990년대 말 이후 한국에서 펼쳐질 범죄 서사의 핵심 코드로서 여성 혐오 살인의 사회문화적 맥락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RFID 기술을 이용한 u-헬스케어 서비스 인증 프로토콜 (u-Healthcare Service Authentication Protocol based on RFID Technology)

  • 정윤수;이상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2호
    • /
    • pp.153-159
    • /
    • 2012
  • 최근 u-헬스케어는 웰빙 시대와 IT 대중화가 맞물려 RFID 기술을 의료 서비스에 접목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각광을 받고 있다. u-헬스케어 서비스는 RFID 기술이 u-헬스케어에 접목되면서 의료 프로세스 상에 발생하는 수기입력, 중복 데이터 발생, 데이터 위 변조, 정보 버전 상이 등의 품질 저하 요인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u-헬스케어를 통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RFID 기반의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 프로토콜에서는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의 데이터 위 변조 및 프라이버시와 u-헬스케어 보안시스템의 안전성을 획기적으로 제고하기 위해서 환자에 관한 비밀 정보는 병원에서 생성된 비밀키와 연접하여 DB 테이블 내의 해당 환자의 비밀키 필드에 저장한다. 또한, 불법적인 사용자의 접근이 있을 경우 인증 서버에게 통보하여 u-헬스케어의 불법 유 무 판별한 후 u-헬스케어 서비스 접근을 승인받도록 한다.

갑골(상형)문자의 디지털화 조망 (Inscriptions on Bones and Tortoise Carapaces and Digital Age - The View of Digitalization of Ancient Scripts (Hieroglyphic Character) -)

  • 이주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0호
    • /
    • pp.17-23
    • /
    • 2016
  • 중국의 고대 문자인 "갑골문" 상형문자를 디지털과 결합시켜 대중화 시키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사료된다. 표의문자 (表意文字) 인 중국 문자는 표음 문자 (表音文字) 인 한글과는 다르게, 보여 지는 시각효과가 크고 또 그 이미지화된 자료를 가지고 의미를 상고해 내는 작업을 함에 있어서 디지털의 기술을 빌려 쓴다면, 앞으로 중문학계는 물론이고 더 나아가 인문학계와 융합하는 문제는 시간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고대(상형) 문자를 컴퓨터과학, 즉 디지털과 결합시킨다는 것은 e-learing 의 기술적인 도입과 결합과도 상관이 있을 것 같은데, 앞으로 디지털 시대를 맞아하여 인문학과 자연과학과의 결합이 절실해 지리라 본다. 이를 위하여 e-learning 과 디지털 교육이 시급하며, 상형문자(표의문자)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자료화 작업은 교육에 있어서도 매우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국내 사이버대학 콘텐츠의 웹 접근성 평가 (Web Accessibility Evaluation of Cyber Universities' Contents in Korea)

  • 이병수;이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224-233
    • /
    • 2007
  • 본 연구는 최근 급격하게 증가되고 있는 사이버대학의 원격 교육이 웹 접근성 준수 기준에 근거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측정 및 분석하고, 정보격차의 해소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정부인가 사이버대학 10곳을 선정하고, 기술적으로 평가가 가능한 요소를 중심으로 웹 접근성 평가 분석 도구인 'A-Prompt'를 사용하여 웹 접근성 적용 상태를 분석하였다. 또한 2006년 수행 하였던 '사이버대학의 원격 교육 웹 접근성 측정 결과'와 비교하여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KWCAG)1.0'에 따른 접근성 향상 여부도 함께 확인하였다. 이 결과 대체 텍스트의 사용, 보조 설명 도구 지원 등의 항목이 많이 개선된 것으로 측정되었으나, 아직 국내 사이버대학에서 제공하고 있는 웹 콘텐츠를 모든 사람들이 이용하는데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의 해결 및 원격교육의 대중화를 위해 교육용 콘텐츠의 접근성 적용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분산 암호화를 이용한 웹 어플리케이션 보안 (Web Application Security using Distributed Encipherment)

  • 허진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0-16
    • /
    • 2008
  •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와 인터넷 쇼핑몰의 대중화로 인해 사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의 양이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웹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는 서버의 과부하로 인한 성능 저하뿐만 아니라, 보안과 관련하여 많은 문제들이 발생한다. 또한 웹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서는 클라이언트 요청에 의한 암호화가 필요하고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공개키를 제공한다. 이때 발생하는 보안상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전달되는 메시지의 암호화와 공개키의 관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웹 어플리케이션 시스템에서 기밀성 및 인증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수의 클라이언트 접속 시 데이터의 암호화 처리로 인한 서버의 병목현상으로 인한 성능저하를 방지하고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분산 암호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러한 분산 암호화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하여 자바의 객체 활성화 기술을 적용하였으며, 일부 분산서버의 다운타임에도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FQTR : RFID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하이브리드 태그 충볼 방지 프로토콜 (FQTR : Novel Hybrid Tag Anti-Collision Protocols in RFID System)

  • 정승민;조정식;김성권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7호
    • /
    • pp.560-570
    • /
    • 2009
  • RFID 기술은 바코드를 대체할 자동인식 기술로서 인식 속도가 빠르고 비접촉 방식으로 오염에 강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RFID 기술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선결되어야할 난제들이 있다. 이 중 본 논문에서는 다중 태그 식별 문제를 다룬다. 다중 태그를 인식하고 충돌을 방지하는 문제는 RFID 시스템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알고리즘들을 분석하고 개선하된 새로운 태그 충돌 방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ALOHA 기반 알고리즘과 QT 기반 알고리즘의 하이브리드 형태로 분배와 인식 과정에 적합한 특성들을 혼합하여 구성하였다. 분배 과정에서는 ALOHA 방식을 이용하여 인식과정에서 한 프레임에 인식해야할 태그 수를 줄였다. 이는 Tree 의 깊이가 깊어져 지연을 일으키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인식 과정에서는 QT 기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ALOHA 방식에서 모든 태그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였다. 또한, 실제 RFID 환경을 분석하여 더 좋은 성능을 보이도록 태그ID 의 역순으로 인식하는 QTR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FQTR 알고리즘은 시뮬레이션 결과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해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었다.

SNS를 이용한 패션업체의 마케팅 실태 연구 -Facebook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ate of Fashion Marketing Using the SNS -Focused on the Facebook-)

  • 김태진;진성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305-2312
    • /
    • 2012
  • 시대의 변화에 따른 IT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전반적인 산업영역에서 예전보다 쉽게 정보를 취득하고 가공할 수 있는 여건을 형성하고 있다. 최근 각광 받고 있는 SNS의 변화를 살펴보면 스마트폰 이용이 대중화되면서 마케팅 툴로서의 가치가 더욱 급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는 패션 마케팅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는 Facebook 활용 사례를 연구하였다. 패션업체 10곳을 선정하여 활동지표의 기준이 되는 '게시글', 'like this', 'people talking about this' '이벤트'를 중심으로 페이스북 페이지를 연구하였고 spearman 순위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위 지표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게시글'과 'like this'의 관계는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고 다른 요인들 사이에서는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페이스북 페이지를 이용한 마케팅은 소비자와 업체와의 소통이 기존 매체에 비해 원활하였는데 이는 SNS의 마케팅의 이용이 기존의 마케팅의 한계였던 소통의 벽을 넘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