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EX OF SHANNON'S DIVERSITY

검색결과 154건 처리시간 0.029초

Comparison of Plant Diversity of Natural Forest and Plantations of Rema-Kalenga Wildlife Sanctuary of Bangladesh

  • Sobuj, Norul-Alam;Rahman, Mizanu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7권3호
    • /
    • pp.127-134
    • /
    • 2011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ssess and compare the diversity of plant species (trees, shrubs, herbs) of natural forest and plantations. A total of 52 plant species were recorded in the natural forest, of which 16 were trees, 15 were shrubs and 21 were herbs. On the contrary, 31 species of plants including 11 trees, 8 shrubs and 12 herbs were identified in plantation forest. Shannon-Wiener diversity index were 2.70, 2.72 and 3.12 for trees, shrubs and herbs respectively in the natural forest. However, it was 2.35 for tree species, 2.31 for shrub species and 2.81 for herb species in the plantation forest. Jaccard's similarity index showed that 71% species of trees, 44% species of shrubs and 43% species of herbs were same in plantations and natural forest.

Shannon의 함수

  • 이범준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2-38
    • /
    • 1979
  • 생태학에서의 다양성(diversity) 문제는 일반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다양성=안정성 (diversity=stability)의 개념과 연관되어 항상 생태학자들의 관심대상이 되어 있다. (Watt 1966). 처음으로 군집(community)의 diversity에 대한 개념을 시도한 것은 Gleason(1922)이며 diversity index의 측정은 Fisher(1943)로부터 시작한다.(in Travers 1979, Hurlbert 1971, Gallucci 1973).

  • PDF

시설재배지(施設栽培地)(P.E. 하우스, P.E. 턴넬, P.E. 멀칭)에서의 잡초발생특성(雜草發生特性) (Characterization of Weed Occurrence in Protected Culture(P.E. house, P.E. tunnel, P.E. mulching))

  • 우인식;변종영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17-323
    • /
    • 1988
  • 본(本) 연구(硏究)는 시설재배(施設栽培)에서 잡초방제(雜草防除)의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대전시(大田市) 유성지역(儒城地域)에서 1985년(年) 2월(月)부터 6월(月)까지 15일(日) 간격(間隔)으로 여러 시설재배조건(施設栽培條件)에서 잡초수(雜草數), 건물중(乾物重), 발생잡초(發生雜草)의 종생태적(種生態的) 및 사회적(社會的) 특성분석(特性分析)과 우점도(優占度)를 조사(調査)하였다. 1. 시설재배(施設栽培)에서 노지(露地)의 경우, 명아주, 여뀌, 쇠비름, 바랭이가 우점(優占)하였으며, PE 하우스는 냉이, 명아주, 바랭이, 쇠비름이 우점(優占)하였고 발생잡초(發生雜草) 본수(本數)는 무멀칭에 비해 멀칭과 턴넬내 멀칭에서는 많이 발생(發生)했으며 건물중(乾物重)은 이와는 반대로 무멀칭에서 무거웠다. 노지(露地)에서는 여름 광엽잡초(廣葉雜草)와 여름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가 많이 발생(發生)했으나 PE 하우스내에서는 무멀칭에서 월동광엽잡초(越冬廣葉雜草)가 우점(優占)했으며 멀칭에서는 초기(初期)에 월동화본과잡초(越冬禾本科雜草)와 월동광엽잡초(越冬廣葉雜草)가 많이 발생(發生)했으나 후기(後期)에는 여름 화본과잡초(禾本科雜草)와 여름 광엽잡초(廣葉雜草)가 많이 발생(發生)하였다. 2. 시설내(施設內)에서 PE 하우스는 시설(施設)을 하므로 Simpson 지수(指數)가 높아 몇 초종(草種)이 우점(優占)하고 있는 군락(群落)을 이루었고 종다양도(種多樣度), 최대종다양도(最大種多樣度)가 안정도(安定度)에 비해 낮았고 또한 무피복보다 멀칭, 턴넬내 멀칭에서 높았으며 노지(露地)는 종다양도(種多樣度), 최대종다양도(最大種多樣度)가 멀칭, 턴넬을 하므로써 높아졌고 Simpson지수(指數)는 무멀칭에서 높고 오히려 시설(施設)을 하므로 낮아졌으며, PE 하우스, 노지(露地) 공(共)히 종간경쟁(種間競爭)이 종내경쟁(種內競爭)보다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 PDF

Composition and Diversity of Salivary Microbiome Affected by Sample Collection Method

  • Lee, Yeon-Hee;Hong, Ji-Youn;Lee, Gi-Ja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7권1호
    • /
    • pp.10-26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various saliva collection methods affect the observed salivary microbiome and whether microbiomes of stimulated and unstimulated saliva and plaque differ in richness and diversity. Methods: Seven sampling methods for unstimulated saliva, stimulated saliva, and plaque samples were applied to six orally and systemically healthy participants. Bacterial 16S ribosomal RNA genes of 10 major oral bacterial species, namely, Aggregatibacter actinomycetemcomitans, Porphyromonas gingivalis, Tannerella forsythia, Treponema denticola, Fusobacterium nucleatum, Prevotella intermedia, Prevotella nigrescens, Streptococcus mitis, Streptococcus sobrinus, and Lactobacillus casei, were analyzed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We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dependence of the amount of bacterial ribosomal DNA (rDNA), bacterial-community composition, and relative abundance of each species on sample collection method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acterial rDNA copy number depending on the collection method in three species: F. nucleatum, P. nigrescens, and S. mitis. The species with the highest richness was S. mitis, with the range from 89.31% to 100.00%, followed by F. nucleatum, P. nigrescens, T. denticola, T. forsythia, and P. intermedia, and the sum of the proportions of the remaining five species was less than 1%. The species with the lowest observed richness was P. gingivalis (<0.1%). The Shannon diversity index was the highest in unstimulated saliva collected with a funnel (4.449). The Shannon diversity index was higher in plaque samples (3.623) than in unstimulated (3.171) and stimulated (3.129) saliva and in mouthwash saliva samples (2.061). Conclusions: The oral microbial profile of saliva samples can be affected by sample collection methods, and saliva differs from plaque in the microbiome. An easy and rapid technique for saliva collection is desirable; however, observed microbial-community composition may more accurately reflect the actual microbiome when unstimulated saliva is assayed.

식품 섭취의 다양성과 영양소 섭취 수준과의 관련성에 대한 생태학적 분석 (An Ecolog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

  • 김정연;문수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3권5호
    • /
    • pp.309-316
    • /
    • 1990
  • 식품 섭취의 다양성과 영양소 섭취 수준간의 관련성을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식품 섭취의 다양성은 대체적으로 열량이나 단백질이 켰으며 비타민 A와 C는 다양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섭취의 다양성과 영양소 섭취 수준과의 관련성을 각 영양소의 섭취 수준에 따라 Quartile로 나누어 분석해 본 결과, 영양소의 섭취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섭취한 식품의 수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나 칼슘, 철분, 비타민 $B_1$, 나이아신, 비타민 C는 예외를 가지는 경우도 관찰되었다. Shannon & Weaver's diversity index는 섭취 수준에 따라 다양성의 증가가 일관된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영양소 섭취 수준을 측정하는데 지방과 같은 영양소는 섭취한 식품의 종류수가 유용하며 칼슘과 같은 영양소는 Nutrient-specific diet diversity index를 이용하여 측정해야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영양소 섭취 수준에 따라 열량 섭취(예외 : 비타민 A, C)와 식이 영양 밀도도 높았다. 지방과 같은 영양소는 열량 섭취 증가가 그 영양소 섭취 수준의 증가를 더 중요하게 설명해 주며 비타민 A와 같은 영양소는 식이 영양 밀도가 이러한 영양소의 섭취 수준에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제언하는 바 더 폭 넓은 대상을 중심으로 여러 계절에 걸친 조사의 뒷받침하에 균형식을 이루기 위한 일반적인 식품 섭취의 다양성 정도를 제시할 수 있으리라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는 섭취한 식품의 종류수와 Shannon & Weaver's diversity index를 사용하여 식품섭취의 다양성을 분석하였는데 모든 집단 및 모든 영양소에 대해 적용 가능한 신뢰성있는 식품섭취의 다양성을 나타내는 지표에 대한 연구가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Deciphering Diversity Indice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Microbial Communities

  • Kim, Bo-Ra;Shin, Jiwon;Guevarra, Robin B.;Lee, Jun Hyung;Kim, Doo Wan;Seol, Kuk-Hwan;Lee, Ju-Hoon;Kim, Hyeun Bum;Isaacson, Richard 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2호
    • /
    • pp.2089-2093
    • /
    • 2017
  • The past decades have been a golden era during which great tasks were accomplished in the field of microbiology, including food microbiology. In the past, culture-dependent methods have been the primary choice to investigate bacterial diversity. However, using culturein-dependent high-throughput sequencing of 16S rRNA genes has greatly facilitated studies exploring the microbial compositions and dynamics associated with health and diseases. These culture-independent DNA-based studies generate large-scale data sets that describe the microbial composition of a certain niche. Consequently, understanding microbial diversity becomes of greater importance when investigating the composition, function, and dynamics of the microbiota associated with health and diseases. Even though there is no general agreement on which diversity index is the best to use, diversity indices have been used to compare the diversity among samples and between treatments with controls. Tools such as the Shannon-Weaver index and Simpson index can be used to describe population diversity in samples.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diversity indices, such as Shannon-Weaver and Simpson, to aid general microbiologists in better understanding bacterial communities. In this review, important questions concerning microbial diversity are addressed. Information from this review should facilitate evidence-based strategies to explore microbial communities.

안면도 먹넌출 집단의 유전다양성과 공간적 유전구조 (Genetic Diversity and Spatial Genetic Structure of Berchemia racemosa var. magna in Anmyeon Island)

  • 송정호;임효인;장경환;홍경낙;한진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1호
    • /
    • pp.84-90
    • /
    • 2014
  • 우리나라에서 먹넌출은 안면도 지역에서만 소나무 숲에서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덩굴성 식물이다. 본 연구는 먹넌출 집단의 분포형태와 특성, 유전다양성 및 공간분포에 따른 유전구조를 파악하는데 있다. 선발된 8개 I-SSR primer에서 총 50개의 I-SSR 증폭산물을 얻었으며 37개의 단형성 증폭산물을 제외한 13개의 다형적 증폭산물을 분석에 이용하였다.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을 위한 조사구 $90m{\times}70m$내에 총 39개체의 먹넌출이 자생하고 있었으며, 군집지수(aggregation index)는 0.706으로 집중분포(clumped distribution)하는 공간분포를 나타냈다. I-SSR 표지자 분석 결과 39개체 중 유전자형이 서로 다른 21개의 유성생식체(genet)가 식별되었으며, 유전자형 비율(G/N)은 53.8%, 유전자형 다양성(D)은 0.966, 유전자형 균등도(E)는 0.946으로 각각 나타났다. Shannon의 다양성지수(I = 0.598)는 적은 개체수와 제한적 분포에도 불구하고 다른 수종들에 비해 비교적 높은 유전다양성을 나타냈다. Tanimoto distance를 이용한 공간적 자기상관 분석 결과 안면도 먹넌출의 현지외 보존을 위한 표본 추출 전략은 6m 이상의 간격을 두고 개체를 선발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천만에 자생하는 염생식물 근권에서 유래한 해양세균의 계통학적 분석 및 다양성 (Phylogenetic Analysis and Diversity of Marine Bacteria Isolated from Rhizosphere Soils of Halophyte in Suncheon Bay)

  • 유영현;박종명;이명철;김종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5-78
    • /
    • 2015
  • 순천만의 염생식물 근권에서 정주하는 세균의 분리를 위해 순천만에서 우점하는 자생식물인 칠면초 군락 3개 지점을 선발하여 샘플링 하였다. 시료는 marine broth, tryptic soy broth 한천배지를 통해 분리되었으며, 형태학적인 구분을 통해 순수분리되었다. 분리주의 16S rDNA를 분석하여 총 92 균주가 동정되었다. 이들의 유연관계 확인을 위한 계통수 작성 결과, 각각 firmicutes (56.5%), gamma-proteobacteria (29.3%), alpha-proteobacteria (5.4%), actinobacteria (5.4%), bacteroidetes (3.3%)에 속하였다. Shannon’s Diversity index (H')를 산출하였을 때 각각 1.675, 1.924, 2.04로, 채취 지점별로 종 다양성의 차이를 보였다.

Successional changes in plant composition over 15 years in a created wetland in South Korea

  • Son, Deokjoo;Lee, Hyohyemi;Cho, Kang-Hyun;Bang, Jeong Hwan;Kwon, Oh-Byung;Lee, Eun Ju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2권4호
    • /
    • pp.183-190
    • /
    • 2018
  • Background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ssess changes in vegetation structure, wetland index, and diversity index for a 15-year-old created wetland in Jincheon, South Korea. The created wetland consists of four sub-wetlands: a kidney-shaped wetland, a ditch, an ecological pond, and a square wetland. Vegetation and water depth data were collected at each site in 1999 and 2013, and Shannon diversity and wetland indices were calculated. Results: The total number of plant species increased from 18 in 1999 to 50 in 2013, and the ecological pond in 1999 and the ditch in 2013 presented the highest diversity indices (2.5 and 3.2, respectively). Plant species were less diverse in 1999 than in 2013, presumably because these initial wetlands were managed periodically for water purification and installation of test beds. The proportion of wetland plants, including obligate wetland and facultative wetland species, decreased from 83 to 56%, whereas upland plants, including obligate upland and facultative upland species, increased from 17 to 44%. After ceasing water supply, water depth in all four sub-wetlands declined in 2013. Thus, upland plants established more readily at these sites, resulting in higher diversity and lower wetland indices than in 1999. Conclusions: The major floristic differences between 1999 and 2013 wer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upland plants and a decrease in wetland species. Although wetland indices were lower in 2013, the created wetland performed important ecosystem functions by providing habitats for wetland and upland plants, and the overall species diversity was high.

고성 심해에서 수심에 따른 해양미생물의 다양성 비교 (Comparison of Bacterial Diversity in the Water Columns of Goseong Deep Seawaters)

  • 강용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82-285
    • /
    • 2013
  • 강원도 고성군 근해에서 수심 300 m와 500 m의 심층수에 서식하는 해양미생물 분포를 조사하였다. 심해미생물을 16S rRNA genes pyrosequencing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300 m 심층수 시료에서 얻은 19,474 reads에서 Alphaproteobacteria와 Gammaproteobacteria가 각각 57.41%와 38.85%의 분포 비율을 보였다. 심해 500 m의 시료에서 얻은 82,806 reads에서는 Gammaproteobacteria가 99.64%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수심 300 m에서는 Rhodobacterales (57.31%)가 우점하였고, 수심 500 m에서는 Alteromonadales (45.65%)와 Oceanospirillales (34.61%)가 우점하였다. Operational Taxonomic Units와 diversity indexes (Shannon과 Simpson)를 기준으로 할 때 해양미생물의 다양성은 수심 500 m지역이 수심 300 m지역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