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erarchical regressions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3초

중환자실 간호사의 신체보호대 간호수행의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actice for Physical Restraints among Nurs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 김다은;민혜숙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62-74
    • /
    • 2022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restraint-related practice among nurses working in the intensive care unit (ICU). Methods :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169 ICU nurses in three general hospitals in B and U cities.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21 to January 2022 through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hysical restraint-related practice, Person-centered Critical Care Nursing (PCCN), work environment, and attitudes toward physical restraint use were measured. For data analys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using SPSS/WIN 25.0. Results : Clinical careers in the ICU, better work environments, higher PCCN levels, an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physical restraint use were associated with a better practice of physical restraints, which together explained 35.5% of the total variance of the outcome. Conclusion : Our findings suggest that to promote a safe physical restraint-related practice among ICU nurses,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nursing environment, prepare guidelines for applying PCCN, and provide education for endors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Online Tie Formation in Enterprise Social Media

  • Yongsuk Kim;Gerald C. (Jerry) Kane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9권3호
    • /
    • pp.382-406
    • /
    • 2019
  • We study the antecedents to tie formation on an (Facebook-like) enterprise social media platform implemented to support cross-boundary connections. Research has produced mixed findings regarding the role of social media in cultivating bridging vs. closed networks. We examine the tie formation patterns of 1,386 enterprise social media users over a two-year period. Specifically, we observe who became (or chose not s become) "friends" with whom at the dyadic level and relate the decisions to various mechanisms that affect one's network to expand, constrain, or bridge. Using logistic and OLS regressions, we find that users tend to form ties via reciprocity and transitivity (with friends of friends), both of which help expand one's network. We also find strong networking tendency toward functional and hierarchical homophily (same business unit and same rank, respectively), which is likely to constrain one's network (closed network structure). We find that one's participation in various online interest groups is likely to open one's network (bridging network structure) while no evidence found for preferential attachment. Overall, we find that enterprise social media offers features, some of which are likely to foster bridging while others foster closed networks via different mechanisms.

시설 보호 아동의 기질과 사회적 지지가 희망에 미치는 영향 (Temperament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Hope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 임정하;문지윤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3-8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시설 보호 아동이 지각한 희망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아동의 기질과 사회적 지지가 희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서울 소재 아동복지양육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생 19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일반적 특성과 기, 사회적 지지, 희망에 대해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이용해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신뢰도 분석, t 검증, 단순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시설 보호 아동이 지각한 희망은 중간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고, 아동의 성에 따라 차이가 없었지만, 아동의 나이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시설 보호 아동의 나이가 많을수록, 친구, 시설가족, 학교교사의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희망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동의 기질은 희망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동기적 측면인 희망주도에는 친구의 지지가, 수단적 측면인 희망경로에는 시설가족과 학교교사의 지지가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 (The Main and Interaction Effects of Day-care Experiences and Maternal Parenting Behavior on Preschoolers' Problem Behaviors)

  • 최미나;신나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83-31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주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만 3-5세 유아 248명(남아: 112명, 여아: 136명)과 그들의 어머니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어머니들은 보육경험(보육 시작 시기, 1일 평균 보육시간, 주당 평균 보육일, 보육기관 변경횟수), 양육행동, 유아의 문제행동에 관한 문항들이 포함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경험 중 보육기관 변경횟수가 잦을수록 유아는 공격성을 더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논리적 설명, 강압, 방임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보육경험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상호작용하여 유아의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경험이 모든 유아에게 동일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따라 보육경험의 영향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음을 제안한다.

부모의 방임 및 학대, 교사에 대한 친밀감과 또래애착이 초등학생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성차를 중심으로 (Effects of child neglect·abuse by parents, children's intimacy with teachers and peer attachment on boys' and girls' psycho-social maladjustment)

  • 임양미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79-393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child neglect abuse by parents, children's intimacy with teachers and peer attachment influenced boys' and girls' psycho-social maladjustment(aggression,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The subjects were 2,264 elementary school students(boys: 1,180, girls: 1,084) in upper grades participating in the Korea Child Youth Panel Survey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regardless of children's sex, as child abuse levels by parents are higher, so children's aggression levels are higher. Also, children's intimacy with teachers and peer attachment moderated the effects of child neglect abuse by parents on both boys' and girls' aggression. But the patters of moderating effects were differed in children's sex. Secondly, child neglect abuse by parents didn't influence boys' and girls' social withdrawal and boys' peer attachment moderated the effects of child neglect by parents on boys' social withdrawal. Finally, child abuse by parents strongly influenced boys' depression, but child neglect by parents strongly influenced girls' depression. Also, there were no moderating effects of children's intimacy with teachers and peer attachment on the relation between child abuse neglect by parents, and boys' and girls' depression.

일 간호 대학생의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자아분화, 자아존중감 및 생활스트레스 (A Study on relationships amo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elf Differentiation, Self Esteem, Life Stress in Nursing department students)

  • 전미경;김민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4호
    • /
    • pp.293-302
    • /
    • 2013
  • 본 연구의 대상은 M시 소재 일개 간호 대학생 305명을 편의 표집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Bonferroni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각 변수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산출하였다. 그리고 생활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엄마와 주로 의사소통을 하고 있으며 대화시간은 의사소통이 개방적이고 자아분화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30분 이상의 시간이 필요하며 장래 직업과 연결되는 전공을 스스로 선택하는 것이 스트레스를 적게 경험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생활스트레스 경험빈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생활스트레스 중요도, 자아분화, 자아존중감의 순서로 설명력이 나타나고 있다. 요약하면 청소년기 전반에 걸쳐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 수준을 향상시킨다면 스트레스가 감소되며 긍정적인 대학생활을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스트레스 조절을 위한 관리와 자아분화와 자아존중감 수준이 향상될 수 있는 적절한 간호중재의 적용이 필요하며 그 효과를 파악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중학교 청소년의 부모간 갈등과 자아분화간 관계에서 특질불안이 미치는 매개 효과 (The Mediation Effects of Trait Anxie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Self Differentiation and Parents' Marital Conflicts)

  • 한신애;민하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25-141
    • /
    • 2011
  • 본격적인 청소년기로 진입하는 중학교 청소년의 건강한 자아분화 지원에 도움을 주고자, 중학교 청소년의 자아분화에 미치는 부모간 갈등과 특질불안의 영향을 특질불안의 매개 효과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대구 경북지역 중학교에 재학중인 중 3 남녀 청소년 252명을 대상으로 Skowron과 Fiedlander(1998)의 자아분화(DSI-R) 척도를 기초로 정경연(2007)이 개발한 자아분화 척도, Spielberger(1973)의 특질불안 척도(STAIC) 척도, 권영옥과 이정덕(1997)이 개발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갈등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의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단순 및 중회귀분석을 통해 유의수준은 .05 미만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학교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부모간 갈등에 의해 부적으로 영향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간 갈등이 높을수록 중학교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청소년의 특질불안은 부모간 갈등에 의해 정적으로 영향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간 갈등이 높을수록 중학교 청소년의 특질불안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중학교 청소년의 자아분화에 미치는 부모간 갈등의 부적인 영향력은 청소년 자신의 특질불안이 통제될 때 상당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교 청소년의 자아분화에 미치는 부모간 갈등의 부적인 영향력이 중학교 청소년 자신의 특질불안에 의해 부분매개 됨을 시사하는 것이다.

초등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사회적 지지가 휴대전화 의존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Self 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정아;정지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69-78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 control and social support on the mobile phone depend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392 children(187 boys, 205 girls) in 5, 6th grade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do. The mobile phone dependence was assessed by the Mobile Phone Dependence Scale(Ko Seong-Ja, 2012), self control was measured by the Self-control Scale(Nam hyeon-mi, 1999) and social support was assessed by the Social Support Scale(Han mi hyun, 1996).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 correlat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obile phone dependence by sex of the children. Second, children's mobile phone dependence were correlated with self control and social support. Finally, children's self control, family support and peer support significantly explained the mobile phone dependence. But peer support appeared to have negative corelation on mobile phone dependence, but appeared to have static effect in regression result by suppressor variables. So it needs to explore statistical function of suppressor variables in follow-up studies. Also research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elf control enhancement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parents should communicate more frankly and affectively with their children in order to prevent children's mobile phone dependence.

$\cdot$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개인, 가족, 학교, 인터넷 요인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sonal, familial, educational, Internet factors on adolescent's self-esteem according to the age and gender)

  • 고선주;이은희;나영주;황진숙;박숙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6호
    • /
    • pp.13-2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al, familial, educational, internet factor on adolescent's self-esteem according to the age and gender. The participants were 2,229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to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esteem score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higher than the score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females and males in several aspects. In order to explore and identify patterns of these difference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s were conducted with separate groups (male middle school students,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ir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self esteem was affected by familial and educational factors. Male middle school students' self esteem was affected by familial factor, particularly by parental marital conflict. In the case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elf esteem was associated with economic variables (spending money and subjective economic level). Male high school students' self esteem was affected b? the level of use of the internet.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연구 (The Study of Comparing the Factors of Affecting on the Quality of Life for Young-Old Women and Old-Old Women)

  • 김미령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2호
    • /
    • pp.197-222
    • /
    • 2006
  • 본 연구는 노인의 범주를 60세 혹은 65세 이상으로 구분할 때 동질적이라고 보기 힘든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으로 구분하여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인 요인들과 삶의 질의 차이 및 하위영역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각각 조사하였으며, 전 후기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 경북지역의 노인 310명이며 전기, 우기노인들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t-test와 $X^2$검증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 변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기, 후기노인 모두 배우자, 건강인지, 자긍심,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하게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전기노인의 경우 역할수행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경제적 어려움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사회참여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반면에 후기노인의 경우 역할수행은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사회참여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전기와 후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에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