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 Seoul Festival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7초

Volunteer Management of the Hi Seoul Festival

  • Kwak, Sea-Youn;Kim, Yoon-Ta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5권3호
    • /
    • pp.98-106
    • /
    • 2009
  • For the success of a festival, effective volunteer management is axiomatic. Given the dramatically increased size and quality of festivals and events in Korea over the past fifteen years, the importance of effective volunteer management has been overlooked among festival organizations in comparison to similar festivals in western countries. This paper provides a description and an assessment of the Hi Seoul Festival 2009 volunteer program based on an seven-step ideal process of an effective festival volunteer program with suggestions for the program development by reviewing organizational documents, and an interview with a staff member of the Hi Seoul Festival organization, and a survey pertinent to festival volunteers' motivation. This study shows college students are more interested in volunteering at festivals in Korea with the primary motivation of developing relationships and gaining work experience. It also suggests that the Hi Seoul Festival organization should fully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an effective volunteer program and the position and work of a volunteer coordinator.

CVM을 통한 하이서울페스티벌의 가치평가 (Valuation of the Hi Seoul Festival : An Application of CVM)

  • 김채옥;마보;김소은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권1호
    • /
    • pp.23-40
    • /
    • 2010
  • 본 연구는 축제의 가치를 최대지불의사액(WTP)을 통해 측정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이 된 하이서울페스티벌은 서울의 대표축제로 육성하고자 2003년부터 개최된 축제이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관광객을 유치하고 문화관광지로서 서울의 이미지를 재정립하여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고자 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하지만 해마다 상이한 콘셉트와 행사 개최장소의 변경으로 인해 축제의 정체성이 모호하며, 초기의 목표와는 달리 가시적인 성과를 얻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축제개최 장소별 CVM을 활용한 가치추정을 통해 하이서울페스티벌의 가치를 추정하고, 향후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축제개최장소별 비이용 가치는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각 장소별 프로그램의 성격과 개최장소의 특징에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또한 하이서울페스티벌의 비이용가치 추정을 통한 경제적 가치는 422억 원으로 나타나 현재 시민들이 느끼는 편익의 가치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향후 하이서울페스티벌의 기획에 있어서는 장소성을 가진 장소에서의 특성화된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방문객들의 만족도를 향상시켜 축제의 가치를 높이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신생 도시축제의 지역영향인식 구조모형 - 하이서울페스티벌을 대상으로 - (Regional Impacts of Developed City Festival - The Case of the Hi Seoul Festival -)

  • 서용석;이훈;임동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10호
    • /
    • pp.328-34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신생축제가 지역과 관광의 상생적이고 내발적인 관계가 형성되고 있는지에 대해 밝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축제에 대한 관여도 및 지역에 대한 애착도를 지역축제로 인한 영향인식과 만족도와의 인과관계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축제관여도와 영향인식과의 관계에서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반면 장소애착도와 영향인식과의 관계에서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것을 밝혀냄으로서 신생 축제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즉, 지역축제 자체가 삶을 영위함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지역주민들은 축제가 대외이미지 향상과 여가편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반면 서울에 대한 장소애착도가 높을수록 신생축제인 하이서울페스티벌에 대해 오히려 부정적인영향을 미친다고 인식하거나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축제가 지역에 천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지역과 소통하는 노력과 장소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제시하고 있다.

서울지역 주부들의 세시음식에 대한 인지도 조사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Housewives in Seoul Area toward Korean Traditional Holiday Foods)

  • 윤숙자;최은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2-171
    • /
    • 2005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festival/holiday foods among the housewives in their 20's, 30's, 40's, and 50's residing in Seoul. Out of 350 questionnaires, 282 respondents were result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ellows: The most familial traditional holiday was Seollal on the New Year's Day(100%), and the most favored foods for respective traditional holidays are as fellows: tteokguk, rice paste soup, (98.23%) for Seollal on the New Year's Day; ogokbap, cooked rice mixed with five cereals (98.23%) for Daeboreum on the New Moon's Day of January 15; neuttitteok, zelkova ricecake, (20.64%) for Chopail on Buddha's Birthday; charyunbyeong cake (20.21%) for Dano on May 5; gyesamttang, chicken broth with ginseng, (89.72%) for Sambok, the hottest period of summer; songpyeon, pine cake, (96.45%) for Chuseok on August Moon Festival; patjuk, redbean stew, (98.94%) for Dongji on the winter solstice; and mandu, bun, (16.37%) for Seotdalgeumeum on the year-end day.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they ate traditional festival foods in compliance with the traditional manners and customs and that they made such traditional foods at home. They added that they wanted to team more about various recipes of the traditional foods and pointed out that traditional holiday foods had to be modernized in some way.

도시 브랜딩과 이벤트 콘텐츠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ity Branding and Event Content)

  • 임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328-339
    • /
    • 2021
  • 글로벌 경쟁 시대에 도시 브랜드는 도시의 경쟁력을 확립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도시 브랜딩은 도시의 콘텐츠에 대한 이야기를 만드는 과정이다. 이 연구는 도시를 차별화하는 다양한 콘텐츠 중에서 도시 마케팅과 이벤트 관광 문헌을 바탕으로 도시 브랜딩 과정에서 이벤트와 도시 브랜드의 역할에 대해서 논의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 하이 서울 페스티벌과 하이 서울 브랜드의 변화를 탐구하면서 서울을 조사하기 위해 근거 이론 방법과 사례 연구를 사용하고, 질적 연구에는 국내외 사례 연구 및 축제 관련 2차 데이터 분석이 포함된다. 연구 분석 결과는 불일치, 정체성 결여, 정치적 영향력이라는 세 가지 한계로 결론지어진다. 본 연구는 이 한계점을 바탕으로 도시 정체성과 이벤트 콘텐츠의 연관성에 대해 논의하여 안정적인 서울시 브랜드 전략으로 나아가는 데 시사점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