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AR model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1초

객관적인 화질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 동적 폭, 노이즈, 해상도, 색재현성, 선호도 (Objective Image Quality Measurement Model : Focus on Dynamic Range, Noise, Resolution, Color Reproduction, and Preference)

  • 박형주;하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8호
    • /
    • pp.87-95
    • /
    • 2012
  • 본 연구는 객관적인 화질 평가 요소들과 선호도를 기반으로 한 주관적 화질 평가 모형을 구축하여 감상자들의 화질에 대한 선호도를 객관적 요소들로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제조사들이 이해하기 쉬운 객관적 화질 평가 요소들을 선정하고, 이와 같은 요소들을 질문하는 문항을 기반으로 하여 사진의 품질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주관적 화질 평가 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화질 평가에 사용되는 실제 사진을 일반인들이 주로 촬영하는 장면인 인물사진으로 선택하여 실험결과의 일반화와 타당성을 추구하였다. 본 실험의 주관적 화질 평가 모형을 통하여 감상자들이 선호하는 화질을 평가하고 그 결과가 최종적인 사진의 선호도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갖으며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상관관계 분석을 통하여 감상자가 선호하는 화질에 대해 파악하고 화질을 향상시키는 요소를 분석할 수 있었다. 그 결과 선호도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는 색재현력, 다이내믹 레인지, 노이즈, 해상도 순이었으며, 인물 사진 자극의 특성상 색재현력과 선호도가 가장 높은 수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 수치화된 객관적 화질 평가 요소들을 언어로 확장시켜, 선호도에 기반을 둔 주관적 화질 평가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일반 사용자와 제조사 모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The analysis of cost-effectiveness of implant and conventional fixed dental prosthesis

  • Chun, June Sang;Har, Alix;Lim, Hyun-Pil;Lim, Hoi-Jeong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1호
    • /
    • pp.53-61
    • /
    • 2016
  •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cost-effectiveness of the implant and conventional fixed dental prosthesis (CFDP) from a single treatment perspective. MATERIALS AND METHODS. The Markov model for cost-effectiveness analysis of the implant and CFDP was carried out over maximum 50 years. The probabilistic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by the 10,000 Monte-Carlo simulations, and cost-effectiveness acceptability curves (CEAC) were also presented. The results from meta-analysis studi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survival rates and complication rates of the implant and CFDP. Data regarding the cost of each treatment method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Dental Hospital and Statistics Korea for 2013. Using the results of the patient satisfaction survey study, quality-adjusted prosthesis year (QAPY) of the implant and CFDP strategy was evaluated with annual discount rate. RESULTS. When only the direct cost was considered, implants were more cost-effective when the willingness to pay (WTP) was more than 10,000 won at $10^{th}$ year after the treatment, and more cost-effective regardless of the WTP from $20^{th}$ year after the prosthodontic treatment. When the indirect cost was added to the direct cost, implants were more cost-effective only when the WTP was more than 75,000 won at the $10^{th}$ year after the prosthodontic treatment, more than 35,000 won at the $20^{th}$ year after prosthodontic treatment. CONCLUSION. The CFDP was more cost-effective unless the WTP was more than 75,000 won at the $10^{th}$ year after prosthodontic treatment. But the cost-effectivenss tendency changed from CFDP to implant as time passed.

스마트폰 다종 데이터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의 사용자 동행 상태 인식 (A Deep Learning Based Approach to Recognizing Accompanying Status of Smartphone Users Using Multimodal Data)

  • 김길호;최상우;채문정;박희웅;이재홍;박종헌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1호
    • /
    • pp.163-177
    • /
    • 2019
  •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고 현대인들의 생활 속에 깊이 자리 잡으면서, 스마트폰에서 수집된 다종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 개인의 행동을 인식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타인과의 상호작용 행동 인식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상대적으로 미진하였다. 기존 상호작용 행동 인식 연구에서는 오디오,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나, 이들은 사용자 사생활 침해 가능성이 높으며 단시간 내에 충분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반면 가속도, 자기장, 자이로스코프 등의 물리 센서의 경우 사생활 침해 가능성이 낮으며 단시간 내에 충분한 양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스마트폰 상의 다종 물리 센서 데이터만을 활용, 딥러닝 모델에 기반을 둔 사용자의 동행 상태 인식 방법론을 제안한다. 사용자의 동행 여부 및 대화 여부를 분류하는 동행 상태 분류 모델은 컨볼루션 신경망과 장단기 기억 순환 신경망이 혼합된 구조를 지닌다. 먼저 스마트폰의 다종 물리 센서에서 수집한 데이터에 존재하는 타임 스태프의 차이를 상쇄하고, 정규화를 수행하여 시간에 따른 시퀀스 데이터 형태로 변환함으로써 동행 상태분류 모델의 입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는 컨볼루션 신경망에 입력되며, 데이터의 시간적 국부 의존성이 반영된 요인 지도를 출력한다. 장단기 기억 순환 신경망은 요인 지도를 입력받아 시간에 따른 순차적 연관 관계를 학습하며, 동행 상태 분류를 위한 요인을 추출하고 소프트맥스 분류기에서 이에 기반한 최종적인 분류를 수행한다. 자체 제작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여 실험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제안한 방법론을 평가하였다. 최적의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동행 상태 분류 모델을 학습하고 평가한 결과, 동행 여부와 대화 여부를 각각 98.74%, 98.83%의 높은 정확도로 분류하였다.

사진의 주관적 화질 평가 방법; 요인 분석을 통한 평가 항목 선정을 중심으로 (Methods of Subjective Image Quality Evaluation in Pictorial Images)

  • 노연숙;하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86-197
    • /
    • 2010
  • 최근 재현 장비의 목적은 장면을 정확하게 재현하는 것에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는 카메라로 대표되는 재현 장비의 발전 방향이 성능 위주에서 품질 위주로, 개발자 중심에서 사용자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인지 특성에 기반을 둔 사진의 화질 평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진은 다양한 물리적 화질 속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완성되는 것으로 몇 가지 성능에 대한 평가만으로는 전반적인 화질을 평가할 수 없다. 따라서 제 3의 관찰자에 의한 주관적인 화질 평가가 필요하다. 주관적 화질 평가는 평가 방법과 결과 도출 방법이 쉬워야 하고, 도출된 평가 결과는 전체적인 화질을 어우르는 동시에 높은 신뢰도를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화질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분석하여 구체적인 평가 언어를 수립하고, 사진 이미지를 실험 자극으로 활용한 주관적 화질 평가 실험을 통해 화질 평가 항목을 수립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정확한 방법으로 주관적 화질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인물 촬영을 위한 디지털 카메라의 적정 노출 설정 연구;피부톤 재현 선호도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Right Portrait Exposure Setting in Digital Cameras;Focusing on the Cognitive Preference in Representation of Skin Tones)

  • 노연숙;하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11-118
    • /
    • 2008
  • 현대 사회는 TV, 잡지, 신문,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미지를 접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접하는 이미지들은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사람들의 삶과 인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과거의 이미지 생산 매체들은 장면을 물리적으로 동일하게 재현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었던 반면, 최근에는 인지적 선호도에 의한 재현이 중요하게 인정받고 있으며, 사진의 선호도는 TV, 잡지, 신문, 인터넷 등 주변에서 접하는 시각적 콘텐츠의 영향을 받는다. 최근 이미지를 생산하는 재현 매체로서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는 장비를 디지털 카메라이다.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핵심은 ‘빛’인데, 빛의 양, 즉 노출의 조절을 통해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현재 디지털 카메라는 물리적으로 정확한 재현을 목표로 노출을 조절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물리적으로 정확한 조절이 반드시 인지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조절은 아니다. 따라서 물리적으로 정확한 노출 설정이 아니라 인지적으로 정확한 노출 설정을 찾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특히 인지적으로 색상과 농도 변화에 가장 예민한 피부톤을 기준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성별에 따라 노출 선호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남성과 여성 모델을 각각 촬영하여 자극에 사용하였다.

Predictive modeling algorithms for liver metastasis in colorectal cancer: A systematic review of the current literature

  • Isaac Seow-En;Ye Xin Koh;Yun Zhao;Boon Hwee Ang;Ivan En-Howe Tan;Aik Yong Chok;Emile John Kwong Wei Tan;Marianne Kit Har Au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24
    • /
    • 2024
  •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quality and performance of predictive models for colorectal cancer liver metastasis (CRCLM). A systematic review was performed to identify relevant studies from various databases. Studies that described or validated predictive models for CRCLM were included. The methodological quality of the predictive models was assessed. Model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the reported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C). Of the 117 articles screened, seven studies comprising 14 predictive models were included. The distribution of included predictive models was as follows: radiomics (n = 3), logistic regression (n = 3), Cox regression (n = 2), nomogram (n = 3), support vector machine (SVM, n = 2), random forest (n = 2),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n = 2). Age, sex, carcinoembryonic antigen, and tumor staging (T and N stage) were the most frequently used clinicopathological predictors for CRCLM. The mean AUCs ranged from 0.697 to 0.870, with 86% of the models demonstrating clear discriminative ability (AUC > 0.70). A hybrid approach combining clinical and radiomic features with SVM provided the best performance, achieving an AUC of 0.870. The overall risk of bias was identified as high in 71% of the included studies. This review highlights the potential of predictive modeling to accurately predict the occurrence of CRCLM. Integrating clinicopathological and radiomic features with machine learning algorithms demonstrates superior predictive capabilities.

인물사진의 감성 선호도 측정 자동화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of Automated Program Model for Measuring Sensibility Preference of Portrait)

  • 이창섭;정다연;이은주;하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34-43
    • /
    • 2018
  • 본 연구는 인물사진의 평가 요소들과 감상자들의 일반적인 선호도와의 관계를 통하여, 감상자 중심의 제품 개발 및 설계를 위한 이미지 측정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전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개선을 필요로 하는 항목과 이미지 평가 시에 필수적으로 포함해야하는 사항을 신규 항목으로 추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단계로 얼굴의 초점을 확인하였고, 객관적, 주관적 화질 평가 항목으로 나누어 인물사진을 평가하였다. 객관적 평가 항목에는 RSC 콘트라스트, 다이내믹 레인지를 선정하였고, 통계학적 분석방법으로 각 이미지의 수치를 평가할 수 있었다. 주관적 평가 항목에는 얼굴의 노출, 구도, 위치, 비율 그리고 아웃포커스를 선정하였다. 또한 새로운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사람의 감정을 판단할 수 있어, 이미지 관련 제조사가 사람의 감정 콘텐츠로 인물사진을 분석할 수 있는 정보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인물사진을 평가할 때 고려해야하는 평가 항목들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규합하였다. 이를 통하여, 일반인 사용자들의 필요에 보다 부합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기 위한 평가 모형을 개발하는데 필수적인 데이터로 활용가능하다.

Lactobacillus casei Secreting ${\alpha}$-MSH Induces the Therapeutic Effect on DSS-Induced Acute Colitis in Balb/c Mice

  • Yoon, Sun-Woo;Lee, Chul-Ho;Kim, Jeong-Yoon;Kim, Jie-Youn;Sung, Moon-Hee;Poo, Har-You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2호
    • /
    • pp.1975-1983
    • /
    • 2008
  • The neuropeptide ${\alph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 (${\alpha}$-MSH) has anti-inflammatory property by down regulating the expression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Because ${\alpha}$-MSH elicits the anti-inflammatory effect in various inflammatory disease models, we examined the therapeutic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recombinant Lactobacillus casei, which secretes ${\alpha}$-MSH (L. casei-${\alpha}$-MSH), on dextran sulfate sodium (DSS)-induced colitis in Balb/c mice. Thus, we constructed the ${\alpha}$-MSH-secreting Lactobacillus casei by the basic plasmid, pLUAT-ss, which was composed of a PldhUTLS promoter and ${\alpha}$-amylase signal sequence from Streptococcus bovis strain. Acute colitis was induced by oral administration of 5% DSS in drinking water for 7 day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 casei-${\alpha}$-MSH on the colitis, L. casei or L. casei-${\alpha}$-MSH was orally administered for 7 days and their effects on body weight, mortality rate, cytokine production, and tissue myeloperoxidase (MPO) activity were observed. Administration of L. casei-${\alpha}$-MSH reduced the symptom of acute colitis as assessed by body weight loss (DSS alone: $14.45{\pm}0.2\;g$; L. casei-${\alpha}$-MSH: $18.2{\pm}0.12\;g$), colitis score (DSS alone: $3.6{\pm}0.4$; L. casei-${\alpha}$-MSH: $1.4{\pm}0.6$), MPO activity (DSS alone: $42.7{\pm}4.5\;U/g$; L. casei-${\alpha}$-MSH: $10.25{\pm}0.5\;U/g$), survival rate, and histological damage compared with the DSS alone mice. L. casei-${\alpha}$-MSH-administered entire colon showed reduced in vitro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NF-{\kappa}B$ activation. The ${\alpha}$-MSH-secreting recombinant L. casei showed significant anti-inflammatory effects in the murine model of acute colitis and suggests a potential therapeutic role for this agent in clinical inflammatory bowel diseases.

감성기반 인물사진 선호도 측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Measuring Preference of Portrait based on Sensibility)

  • 이창섭;하동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178-187
    • /
    • 2018
  • 본 연구는 인물사진의 화질 평가 요소들과 선호도와의 관계를 기반으로 감상자 중심의 인물사진 선호도 측정 프로그램의 모형을 제작하여 일반인 사용자의 높은 사용률을 목적으로 하는 제조사들에게 자동화된 제품설계 및 평가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미지 평가를 진행하기 위하여 이미지의 화질 측정 항목을 객관적, 주관적 항목으로 나누고, 영상처리와 통계적 방법을 통하여 정확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미지의 화질 측정 항목은 객관적 평가항목과 주관적 평가 항목으로 나눌 수 있다. 객관적 평가 항목에는 RSC 콘트라스트, 다이내믹 레인지, 노이즈를 선정하였고, 프로그램을 통해 그 수치 값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주관적 평가 항목에는 노출, 컬러 톤, 인물의 구도, 인물의 위치, 아웃포커스를 선정하였고, 영상처리 방법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측정된 결과와 실제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가 동일하게 나타남으로서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개발된 프로그램은 인물의 안면이 인식 되어야 평가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연구를 통해 이미지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모든 종류의 인물사진을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일반 장면의 정규분포 분석을 기반으로 한 화질 측정 모형 (Image Quality Assessment Model of Natural Scene Based on Normal Distribution Analysis)

  • 박형주;하동환
    • 감성과학
    • /
    • 제16권3호
    • /
    • pp.373-38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감상자가 선호하는 화질의 객관적 평가 항목들의 범위를 구체화하고 실제 이미지를 기반으로 화질의 선호도를 측정하는 방식을 따랐다. 즉, 무기준법(No-Reference)을 기반으로 하고 화질 평가 요소를 다이내믹 레인지, 컬러, 콘트라스트로 규정하였다. 샘플 사진 수집은 인터넷 갤러리에서 추천수 30회 이상을 기준으로 감상자들이 선호하는 풍경사진 200장의 이미지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세 가지 객관적 화질 평가 항목에 의한 정규분포분석을 통하여 총점을 백점 기준으로 환산하여 최종적으로 예상되는 화질의 선호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적용한 실제 사진 샘플의 다이내믹 레인지 측정값은 10 stop, LAB 평균은 L:54.7, A:2.96, B:-15.84, RSC 콘트라스트는 376.9로 나타났다. 총 200장 샘플 사진의 정규분포 z값은 다이내믹 레인지가 0.21, LAB 평균이 LAB 평균이 L:0.15, A:0.38, B:0.13, RSC 콘트라스트가 0.08을 나타냈다. 표준정규분포 표에서 위의 z값이 나타날 확률을 상위 백분율로 나타내면 실제 사진 샘플의 다이내믹 레인지는 8.32%, LAB 평균은 LAB 평균은 L:5.96%, A:14.8%, B:5.17%, RSC 콘트라스트는 3.19%를 나타낸다. 즉 화질 평가 모형에 사용된 실제 사진 샘플의 상위 백분율을 100점으로 환산한 다이내믹 레인지는 91.68점, LAB 평균은 91.36점, RSC 콘트라스트는 96.81점이다. 따라서 세 가지 객관적 화질 평가 항목에 의한 총점의 평균은 94.99점으로 나타낼 수 있었다. 즉 본 연구에서 제안한 화질 측정 모형을 통하여 실제 사진 샘플에 대한 선호도를 수치적으로 측정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이미지 감상자가 선호하는 화질의 재현 성능 범위를 구체화하고 예상되는 화질의 선호도를 수치화하는 실용적인 연구 결과를 제안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