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f Right Portrait Exposure Setting in Digital Cameras;Focusing on the Cognitive Preference in Representation of Skin Tones

인물 촬영을 위한 디지털 카메라의 적정 노출 설정 연구;피부톤 재현 선호도를 중심으로

  • 노연숙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 ;
  • 하동환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Published : 2008.08.28

Abstract

Nowadays, people get images from various media like TV, magazines, newspaper, internet. Such images directly influence people's thoughts and lives, ei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n the past, reproduction devices have been mainly used in reproducing an original scene accurately. Lately, the cognitive preference became a key value in the scene reproduction, and it was affected by the surrounding media. Recently, the most commonly used device in reproducing an original scene is the camera. The core of an image is the light, in other words, the exposure. Most digital cameras are set to adjust exposure automatically in order to reproduce a scene physically as identical as possible. However, physically right exposure does not always give images that people prefers. Numbers of tests were done to find the exposure value that makes an image cognitively more preferred. Skin tones which are highly sensitive to color and changes in density has been used in the tests. A male and a female model have been used to classify changes in cognitive preference due to gender differences.

현대 사회는 TV, 잡지, 신문, 인터넷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미지를 접할 수 있으며, 이렇게 접하는 이미지들은 의식적으로 또는 무의식적으로 사람들의 삶과 인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과거의 이미지 생산 매체들은 장면을 물리적으로 동일하게 재현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었던 반면, 최근에는 인지적 선호도에 의한 재현이 중요하게 인정받고 있으며, 사진의 선호도는 TV, 잡지, 신문, 인터넷 등 주변에서 접하는 시각적 콘텐츠의 영향을 받는다. 최근 이미지를 생산하는 재현 매체로서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는 장비를 디지털 카메라이다.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핵심은 ‘빛’인데, 빛의 양, 즉 노출의 조절을 통해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현재 디지털 카메라는 물리적으로 정확한 재현을 목표로 노출을 조절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물리적으로 정확한 조절이 반드시 인지적으로 선호도가 높은 조절은 아니다. 따라서 물리적으로 정확한 노출 설정이 아니라 인지적으로 정확한 노출 설정을 찾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특히 인지적으로 색상과 농도 변화에 가장 예민한 피부톤을 기준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성별에 따라 노출 선호도가 다를 수 있으므로 남성과 여성 모델을 각각 촬영하여 자극에 사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노연숙, "광원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의 JND 특성과 선호 설정 연구-연굴색 재현을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제21권, 제4호, pp.1-8, 2007.
  2. 이홍규, 칼라이미지사전, 서울: 조형사, 1994.
  3. 정우현, 신수진, 박수진, 한재현, 사진의 밝기, 대비, 색조의 변화가 감상자의 감성인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사진학회지, 제14호, pp.149-156, 2006.
  4. 조정옥, 사용자의 JND를 고려한 인터페이스 설계 지침의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출판, 2006.
  5. 한재현, 박수진, 신수진, 정우현, 흑백 사진의 밝기와 대비 조절에 따른 감성의 변화, 한국사진학회지, 제12호, pp.28-35, 2005.
  6. C. Boust, H. Brettel, F. Vienot, S. Berche, and G. Alquie, Color Enhancement of Digital images by Experts and Preference Judgments by Observers, The Journal of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Vol.50, No.1, pp.1-11, 2006. https://doi.org/10.2352/J.ImagingSci.Technol.(2006)50:1(1)
  7. F. H. Manke, Color, Environment, and Human Response,1947.
  8. G. A. Gescheider, Psychophysics: Method, Theory, and Application,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985.
  9. E. B. Goldstein, Sensation and Perception, Brooks:Cole, 1996.
  10. ISO 3664, Viewing conditions-Graphic technology and photography, 2000.
  11. ISO 20462, Photography-Psychophysical experimental methods to estimate image quality, 2004.
  12. G. Johnson, MEASURING IMAGES: DIFFERENCES, QUALITY AND APPEARANCE, Rochester: RIT, 2003.
  13. S. Marita and C. Lisa, Practices of Look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14. D. F. Mark, Color Appearance Model, WILEY, 2007.
  15. S. R. Fernandez, M. D. Fairchild, and K. Braun, "Analysis of Observer and Cultural Variability while Generating 'Preferred' Color Reproductions of Pictorial Images," The Journal of imaging science and technology, Vol.49, No.1, pp.96-104,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