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Cinema Therapy on Decreasing a sense of Uneasiness and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Focusing on Schizophrenia Patients

영화치료가 정신분열증 환자의 불안감 감소와 대인관계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유인철 (공주대학교 영상예술대학원 영상학과) ;
  • 배진아 (공주대학교 영상광정보공학부)
  • Published : 2008.08.28

Abstrac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cinema therapy on decreasing a sense of uneasiness and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s study carried out 7 sessions of cinema therapy and consultation with 10 schizophrenia patients.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be emotionally relaxed through improving their sense of alienation and nervous behaviors as well as revealed the impro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communicating lively and expressing actively, Meanwhile, according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7 of 10 displayed more stable figures than the average of normal people in uneasiness quotient and 6 of 10 showed higher number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measure.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treatment applying the cinema therapy has significant effects on decreasing a sense of uneasiness and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정신분열증 환자의 불안감 감소 및 대인관계성 향상에 영화치료가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정신보건센터 상담실의 직업재활과정에 있는 정신분열증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7회에 걸친 영화치료 및 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영화치료 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 결과 소외와 불안 행동이 개선되어 정서적으로 안정되는 경향이 확인되었으며, 의사 표현이 활발해지고 내면세계에 대한 표출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는 등 대인관계성이 향상되었다. 또한 불안감 지수 및 대인관계성 지수의 측정 척도를 적용한 양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불안감 지수에서 전체 참여자 중 7명이 일반인 평균보다 정서적으로 더 안정되어 있었으며, 대인관계성 지수에서는 10명 중 6명의 대인관계성이 일반인 평균보다 더 좋은 수치를 보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서 영화를 매개로 하는 치료 방법이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불안감 감소 및 대인관계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명순, 정신장애인 복지정책의 문제점 인식과 정책대안 유형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공공행정전공 박사논문, 2003.
  2. 이소우, 김태경, "정신과 입원환자의 행동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14권, 제2호, pp.84-92, 1984.
  3. 김상미, 정정순, "예술치료가 자폐아동의 부적응 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제23권, 제1호, pp.211-241, 2007.
  4. 김준형, 영화 집단 프로그램이 자아실현과 영성에 미치는 효과, 서울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4.
  5. 박선민, 영상자료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6. 김수지, 안창일,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영화치료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제17권, 제2호, pp.353-366, 2005.
  7. M. P. Nicholas and R. C. Schwartz, Family Tehraphy, Boston: Allyn and Bacon, 1998.
  8. D. L. Silla,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 Vol.15, N.Y.Macmillan Co. & The Free Press, pp.338-348, 1968.
  9. J. Y. Lee and S. M. Kwon,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regulation and psychology: Recent research trends and future research task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81, Column 3, pp.461-493, 2006.
  10. 김수지,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상호작용적 영화 치료의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박사 논문, 2005.
  11. L. Berg-Cross, P. Jennings, and R. Baruch, "Cinematherapy: theory and application," Psychotherapy in Private Practice, Vol.8, Column 1, pp.135-156.
  12. S. B. Dermer and J. B. Hutchings, Utilizing movies in family therapy: Applications for individuals, couples, and families.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Vol.29, pp.163-180.
  13. 김정석, 보호조치된 피학대아동의 가족복귀를 위한 영화치료 적용 사례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 및 유아교육전공 석사논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