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Creation and Usage of Cultural Contents for 'Geotaji Folk Tale'

'거타지' 설화의 문화콘텐츠 창작과 활용

  • 이규훈 (한국교원대학교 국어교육과)
  • Published : 2008.08.28

Abstrac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of a creation and an usage of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survey of the culture archetype facts, the culture elements 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Geotagi folk tale'. This story takes its place as our cultural archetype, because of its perfect narrative structure and the myth-like features in the story line. Additionally, various cultural elements implied in the text have the world wide universality as well as the unique traditional characters of Korea. Thus, for above reason, 'Geotagi folk tale' can be helpful in creating the new cultural contents. In creating and using the cultural contents of 'Geotagi folk tale', the first way is to build up the Digital contents including the data base of the original text and others, and the creation of graphics. The second way is to create the story bank utilizing hypertext. The third way is to make flash animations or games concerning the folk tale. and the fourth way is to to develop the symbols of the folk tale as animation characters.

본 연구는 ‘거타지 설화’의 서사구조, 문화원형적 특징, 문화요소 등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콘텐츠 창작과 활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거타지 설화’는 완벽한 서사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여러 면에서 신화와 공통점이 적지 않아 우리 문화원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에 내재된 다양한 문화요소는 우리 문화의 전통성과 세계적인 보편성을 두루 갖추었기에 문화콘텐츠 창작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서사적 특징을 바탕으로 한 ‘거타지 설화’의 문화 콘텐츠 창작과 활용 방안은 첫째, 원전등의 디지털 DB화와 그래픽 창작 등 디지털 콘텐츠 구축, 둘째, 하이퍼텍스트를 활용한 스토리뱅크 구축, 셋째, 게임이나 플래시 애니메이션 창작 등의 스토리텔링, 넷째, 주인공 거타지를 중심으로 다양한 캐릭터 개발 등을 들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culturecontent.com
  2. J. T. Micheal, 김병욱, 오연희 옮김, "서사물 비평 언어학적 서설", 형설출판사, p.15, 1993.
  3. 일연, 이재호 옮김, "삼국유사 1", 솔출판사, pp.272-276, 1997.
  4. 김태곤, "한국무속연구", 집문당, pp.159-161, 1981.
  5. 황동열, "문화원형의 디지털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논문지, 제14권, 제1 호, p.46, 2003.
  6.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문화원형 창작소재 개발 중장기 로드맵 수립, pp.22-23, 2006.
  7. 최운식, 한국서사의 전통과 서사문학, 민속원, p.141, 2002.
  8. 송성욱, "문화콘텐츠 창작소재와 문화원형", 인문콘텐츠학회논문지, 제6호, p.82, 2005.
  9. C. Seymour, 한용환 옮김, "이야기와 담론", 푸른 사상사, p.19, 2003.
  10. 이지양, "문화콘텐츠의 시각으로 고전텍스트 읽기", 고전문학회논문지, 제30집, p.99, 2006.
  11. 강호정, "설화 문학의 현대적 적응 양상 연구", 인문콘텐츠학회논문지, 제4집, 2004.
  12. 함복희, "설화의 문화콘텐츠화 방안 연구", 한국 어문교육연구회논문지, 제35집, 제2호, p.142, 2007.
  13. 최혜실, "디지털 시대의 문화 읽기", 소명, p.96, 2001.
  14. 박기수, "문화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생산적 논의를 위한 네가지 접근법", 한국언어문화학회논문지, 제32집, p.8,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