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Development of Automated Program Model for Measuring Sensibility Preference of Portrait

인물사진의 감성 선호도 측정 자동화 프로그램 모형 개발 연구

  • 이창섭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 정다연 (중앙대학교 융합공학부 디지털 이미징학과) ;
  • 이은주 (중앙대학교 융합공학부 디지털 이미징학과) ;
  • 하동환 (중앙대학교 소프트웨어학부)
  • Received : 2018.06.19
  • Accepted : 2018.08.21
  • Published : 2018.09.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measurement program model for a human being-oriented product through the between the evaluation factors of portrait and general preferences of portraits. We added new items that are essential to the image evaluation by analysing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facial focus for the first step, and the portraits were evaluated by dividing it into objective and subjective image quality evaluation items. RSC Contrast and Dynamic Range were selected as the Objective evaluation items, and the numerical values of each image could be evaluation items, and the numerical values of each image could be evaluated by statistical analysis method. Facial Exposure, Composition, Position, Ratio, Out of focus, and Emotions and Color tone of image were selected as the Subjective evaluation items. In addition, a new face recognition algorithm is applied to judge the emotions, the manufacturer can get the information that they can analyze the people's emotion. The program developed to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compiles the evaluation items when evaluating portraits. The program that I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an analysis program that produce the data for developing the evaluation model of the product more suitable to general users of imaging systems.

본 연구는 인물사진의 평가 요소들과 감상자들의 일반적인 선호도와의 관계를 통하여, 감상자 중심의 제품 개발 및 설계를 위한 이미지 측정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사전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개선을 필요로 하는 항목과 이미지 평가 시에 필수적으로 포함해야하는 사항을 신규 항목으로 추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단계로 얼굴의 초점을 확인하였고, 객관적, 주관적 화질 평가 항목으로 나누어 인물사진을 평가하였다. 객관적 평가 항목에는 RSC 콘트라스트, 다이내믹 레인지를 선정하였고, 통계학적 분석방법으로 각 이미지의 수치를 평가할 수 있었다. 주관적 평가 항목에는 얼굴의 노출, 구도, 위치, 비율 그리고 아웃포커스를 선정하였다. 또한 새로운 얼굴 인식 알고리즘을 통하여 사람의 감정을 판단할 수 있어, 이미지 관련 제조사가 사람의 감정 콘텐츠로 인물사진을 분석할 수 있는 정보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인물사진을 평가할 때 고려해야하는 평가 항목들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규합하였다. 이를 통하여, 일반인 사용자들의 필요에 보다 부합할 수 있는 제품을 만들기 위한 평가 모형을 개발하는데 필수적인 데이터로 활용가능하다.

Keywords

References

  1. J. Li, C. Wang, M. Li, and Panguo, "An Image Quality Assessment Algorithm on the Basis of Edge Information an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ignal Processing, Image Processing and Pattern Recognition, Vol.8, No.6, pp.283-288, 2015. https://doi.org/10.14257/ijsip.2015.8.6.30
  2. 노연숙, 하동환, "사진 이미지의 감성에 대한 언어 적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182-19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182
  3. 박형주, 하동환, "객관적 화질 평가 요소들을 자극 으로 한 디지털 카메라의 화질 평가 언어 연구," 한국사진학회, 제26권, pp.89-97, 2012.
  4. 이창섭, 하동환, "감성기반 인물사진 선호도 측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 18권, 제2호, pp.178-187,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178
  5. ISO 20462, Photography: Psychophysical experimental methods to estimate image quality,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004.
  6. ISO 15379, Photography: Electronic still - picture imaging - Noise measurements,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003.
  7. S. Pertuz, D. Puig, and M. A. Garcia, "Analysis of focus measure operators for shape-from-focus," Pattern Recognition, Vol.46, No.5, pp.1415-1432, 2013. https://doi.org/10.1016/j.patcog.2012.11.011
  8. 정연성, 청소년 체력인증제 검사의 준거지향기준 설정과 양호성 검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9. 손영호, 디지털 사진을 위한 존 시스템 연구, 중앙 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0. ISO 14524, Photography-Electronic Still-picture Cameras-methods for measuring Opto Electronic Conversion Functions (OECFs),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005.
  11. 한승연, 유틸리티 설비를 포함한 공정의 누적분 포함수를 이용한 잔여수명 평가 방법,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2. B. Tadas, R. Peter, and M. Louis-Philippe, "OpenFace: an open source facial behavior analysis toolkit," IEEE, pp.1-10, 2016.
  13. 정우현, 박수진, 신수진, 한재현, "사진의 밝기, 대비, 색조의 변화가 감상자의 감성인상에 미치는 효과," AURA, 제14권, pp.149-156, 2006.
  14. 김경린, 하주영, 강봉순, "모바일 폰 카메라에 적 용하기 위한 자동노출 알고리즘 개발 및 하드웨어 설계,"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29-36, 2009.
  15. 노연숙, 하동환, "인지적 만족도에 기반을 둔 화질 평가 방법 연구,"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제2010권, 제6호, pp.2167-2170, 2010.
  16. 김종무, "화면에서 인물에 대한 샷의 크기 차이에 따른 감상자의 감성 선호도 변화,"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33권, pp.321-329, 2012.
  17. 박형주, 하동환, "인물사진의 감성 선호도 측정 자동화 프로그램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제26권, pp.165-177, 2016.
  18. 김설희, 얼굴 매력도 평가 시 얼굴 각도와 표정에 따른 시선주시의 변화,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19. 송방원, 국방 연구개발 제안서평가의 가중치 산정과 점수 표준화 방법 연구,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