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Measuring Preference of Portrait based on Sensibility

감성기반 인물사진 선호도 측정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이창섭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 하동환 (중앙대학교 융합공학부)
  • Received : 2017.10.31
  • Accepted : 2017.12.01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model of the program for automation measuring the preference of the portrait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 quality factors and the preferences in the portraits for manufacturers aiming at high utilization of the users.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evaluation, the image quality measurement was divided into objective and subjective items, and the evaluation was done through image processing and statistical methods. the image quality measurement items can be divided into objective evaluation items and subjective evaluation items. RSC Contrast, Dynamic Range and Noise were selected for the objective evaluation items, and the numerical valu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nd evaluated through the program. Exposure, Color Tone, composition of person, position of person, and out of focus were selected for subjective evaluation items and evaluated by image processing method. By applying objective and subjective assessment items, the results were very accurate, with the results obtained by the developed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e actual visual inspection. but since the currently developed program can be evalua ted only after facial recognition of the person, future research will need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evaluate all kinds of portraits.

본 연구는 인물사진의 화질 평가 요소들과 선호도와의 관계를 기반으로 감상자 중심의 인물사진 선호도 측정 프로그램의 모형을 제작하여 일반인 사용자의 높은 사용률을 목적으로 하는 제조사들에게 자동화된 제품설계 및 평가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미지 평가를 진행하기 위하여 이미지의 화질 측정 항목을 객관적, 주관적 항목으로 나누고, 영상처리와 통계적 방법을 통하여 정확한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미지의 화질 측정 항목은 객관적 평가항목과 주관적 평가 항목으로 나눌 수 있다. 객관적 평가 항목에는 RSC 콘트라스트, 다이내믹 레인지, 노이즈를 선정하였고, 프로그램을 통해 그 수치 값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주관적 평가 항목에는 노출, 컬러 톤, 인물의 구도, 인물의 위치, 아웃포커스를 선정하였고, 영상처리 방법을 적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통해 측정된 결과와 실제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가 동일하게 나타남으로서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개발된 프로그램은 인물의 안면이 인식 되어야 평가를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연구를 통해 이미지 내에 사람이 존재하는 모든 종류의 인물사진을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J. Li, C. Wang, M. Li, and PanGuo, "An Image Quality Assessment Algorithm on the Basis of Edge Information an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ignal Processing, Image Processing and Pattern Recognition, Vol.8, No.6, pp.283-288, 2015. https://doi.org/10.14257/ijsip.2015.8.6.30
  2. 노연숙, 사진의 감성적 만족도에 근거한 주관적 화질 평가 방법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3. 박형주, 하동환, "객관적 화질 평가 요소들을 자극으로 한 디지털 카메라의 화질 평가 언어 연구," AURA, Vol.26, pp.89-97, 2012.
  4. 박형주, 하동환, "인물사진의 감성 선호도 측정 자동화 프로그램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Vol.26, pp.165-177, 2016.
  5. ISO 14524, Photography-Electronic Still-picture Cameras-methods for measuring Opto Electronic Conversion Functions (OECFs),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005.
  6. ISO 15379, Photography: Electronic still - picture imaging - Noise measurements,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2003.
  7. 윤재준, 전병준, 신철호, 김영근, "중간값 필터를 이용한 디지털 계전기의 신뢰성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iability of Digital Relay Using Median Filter,"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1, pp.605-606, 2015.
  8. 한승연, 유틸리티 설비를 포함한 공정의 누적분포함수를 이용한 잔여수명 평가 방법,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9. 정우현, 박수진, 신수진, 한재현, "사진의 밝기, 대비, 색조의 변화가 감상자의 감성인상에 미치는 효과," AURA, Vol.14, pp.149-156, 2006.
  10. 손영호, 디지털 사진을 위한 존 시스템 연구,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1. 김경린, 하주영, 강봉순, "모바일 폰 카메라에 적용하기 위한 자동노출 알고리즘 개발 및 하드웨어 설계,"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3, No.1, pp.29-36, 2009.
  12. 서수웅, "올림픽 심벌마크의 컬러가 감성반응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2, pp.139-148, 2013.
  13. N. Kaya and H. H. Epps,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Emotion: A Study of College Students," COLLEGE STUDENT JOURNAL, Vol.38, No.3, pp.396-405, 2004.
  14. 노연숙, "색의 속성 변화에 따른 이미지의 감성반응 분석 연구,"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2, pp.49-60, 2015.
  15. 이연란, "이미지 색채 속성을 활용한 감성 정량화 알고리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11, pp.1-9,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11.001
  16. S. Usui, S. Nakauchi, and M. Nakano, "Reconstruction of Munsell color space by five-layer neural network," PsycSCAN Applied Experimental &Engineering Psychology, No.6, p.22, 1992.
  17. X. Zhu and D. Ramanan, "Face detection, pose estimation, and landmark localization in the wild," 2012 IEEE Conference 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VPR), 2012 IEEE Conference on, p.2879, 2012.
  18. R. Gross, I. Matthews, J. Cohn, T. Kanade, and S. Baker, "Multi-PIE," Image and Vision Computing, Vol.28, No.5, pp.807-813, 2010. https://doi.org/10.1016/j.imavis.2009.08.002
  19. 김종무, "화면에서 인물에 대한 샷의 크기 차이에 따른 감상자의 감성 선호도 변화,"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33, pp.321-329, 2012.
  20. 송방원, 국방 연구개발 제안서평가의 가중치 산정과 점수 표준화 방법 연구,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