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yeongsang basin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23초

내성천 유역 하천의 물리 서식지 특성 평가 (Assessment of Physical Habitats Characteristics in Naeseongcheon Basin Streams, Korea)

  • 김기흥;정혜련;홍일;여홍구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10권4호
    • /
    • pp.143-160
    • /
    • 2023
  • 본 연구는 내성천 유역의 급경사 및 중경사 하천에 하천복원 및 유역관리를 위한 기본 정보를 얻기 위해 하천의 물리 서식지 평가체계를 적용했다. 평가결과 내성천 유역의 급경사 및 중경사 하천 총연장은 약 273 km이며, 이 중에서 우수 약 8.2 km, 보통 180.3 km, 한계 84.7 km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급경사 하천 전체의 물리 서식지 질은 평균 106점 (53%)으로 보통 등급이며, 특히 수서 동물의 서식처에 가장 중요한 하도/수리 영역은 평균 54점 (45%)으로 한계상태에 가까운 보통 등급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경사 하천 물리 서식지 질은 평균 90점 (45%) 보통 등급이며, 하도/수리 영역 평균 39점 (32%) 한계상태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내성천 유역의 급경사 및 중경사 하천 165개 구간 중 우수 4개 (3%), 보통 119개 (72%) 및 한계 42개 (25%) 구간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내성천의 물리 서식지가 상당히 교란되었음을 보여준다. 내성천 유역의 하천 물리 서식지 교란은 하천주변의 경작지, 도시화, 저수지 건설 및 하천정비 등으로 발생하였다.

침전지의 유동 특성과 Lagrangian Method를 이용한 침전효율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diction of Sedimentation Efficiency for Sedimentation Basin using Lagrangian Method)

  • 최종웅;홍성택;김성수;김연권;박노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29-236
    • /
    • 2017
  • 국내에서 설치 운영 중인 D정수장의 장방형 침전지를 대상으로 설계유량($15,864m^3/day$)과 운영유량($33,333m^3/day$))에 대하여 CFD 해석 방법을 사용하여 침전지의 유동특성 및 tracer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침전지의 유입부로 유입되는 플럭을 입자로 가정하여 모사하는 Lagrangin 기법을 적용하여 침전지의 효율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침전지내 흐름을 plug flow 영역으로 만들기 위한 평균 속도값을 0.00193 m/s, 0.00417 m/s로 도출되었다. 또한 각 유량 조건에 대해 Tracer test를 모의한 결과 ${\beta}$(유효접촉인자) 값은 각각 0.51, 0.46, Morrill Index값은 각각 6.05와 3.21, 단락류 Index는 0.54와 0.34로 나타났다.

계절 Mann-Kendall 검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의 월별 수질 장기 경향성 분석 (Trend Analysis of Monthly Water Quality Data in Nakdong River Based on Seasonal Mann-Kendall Test)

  • 윤정혜;황세운;김동현;김상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7권6호
    • /
    • pp.153-162
    • /
    • 2015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rends of water quality along the main stream in Nakdong river basin using the recent data and seasonal Mann-Kendall test. Monthly averaged values of DO, BOD, SS, COD, TN, and TP from 1989 to 2014 for 14 stations (including 2 TMDLs stations) were used in the study. The trend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BOD and TP at most stations has decreasing temporal trend except a few stations while COD and SS showed increasing trend at most stations. Temporal trends in TN at 8 station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5 of them showed increasing temporal trend. Temporally averaged BOD, COD, TN and TP were generally increasing as going downstream and the worst water quality were found at Goryeong and Hyunpung station. Overall, water quality of Nakdong river especially in COD, SS, and TN getting worse in time at most stations and as going downstream.

경상분지에서의 S파 감쇠 : 1997-2000 지진자료 분석결과 (Attenuation of S-waves in the Gyungsang Basin: Results of 1997 ~2000 Earthquake Data Analysis)

  • 이정모;김태경;조봉곤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1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Fall 2001
    • /
    • pp.52-56
    • /
    • 2001
  • In order to get information on more reliable S-wave attenuation characteristics in the Gyeongsang Basin, local earthquake data compiled during the period of years 1997~2000 are analyzed using spectral smoothing technique. Total 421 seismograms recorded at 12 local stations by 68 earthquakes of local magnitudes equal to or greater than 1.4 are examined. Among them, 155 records with good S/N ratio were analyzed. As results, statistically well constrained attenuation characteristics are fecund. Those are; (1) 0.000158362 < $x_{q}$-value (0.000196474) < 0.000234586, (2) 0.00657 < $x_{s}$-value (0.01061) < 0.01465, and (3) 1158 < Q-value (1383) < 1716, where the upper and low limits are values with 95% confidence level. We obtained remarkably well constrained $X_{s}$-value which has not been determined previously. The results can be used as input data far ground motion computations in earthquake engineering.ing.g.

  • PDF

북동부 경상분지의 화강암류에 대한 지구화학 및 K-Ar 연대 (K-Ar ages and geochemistry of granitic rocks in the northeastern geongsang basin)

  • 김상중
    • 자원환경지질
    • /
    • 제32권2호
    • /
    • pp.141-150
    • /
    • 1999
  • The granitic rocks are distributed in the northeastern Gyeongsang basin, and are subdivided into the Youngduk, Younghae, Jangsadong and Onjeong granite. Based on the chondrite normalized patterns of REE by primitive mantle, the Jangsadong granite is more negative Eu anomaly than other granites. On the patterns of trace and rare earcth elements normalized by primitive mantle, Sr, P, Nd, Sm and Ti contents of t도 Youngduk and Younghae granites are higher than those of Jangsadong and Onjeong granites. Based on K-Ar ages, the Youngduk granite is 166.5 Ma for biotite, Younghae granite is 158.7 to 178.0 Ma for hornblende, Jangsadong granite is 113.8 to 118.4 Ma for K-feldspar and hornblende, and Onjeong granite is 67.4 Ma for biotite. Thus, geochemical and geochronological results suggest two plutonic episodes :the Youngduk-Younghae granites and Jangsadong-Onjeong granites suggest two plutonic episodes : the Youngduk-Younghae granites and Jangsadong-Onjeong granites. Jurassic plutonism cooled faster than Cretacous plutonism in the study area.

  • PDF

옥천대의 중생대 이래의 지구조적 운동에 관한 고지자기 연구 (Paleomagnetic Study for Tectonism on the Okcheon Zone Since Mesozoic)

  • 이윤수;민경덕
    • 자원환경지질
    • /
    • 제28권5호
    • /
    • pp.493-501
    • /
    • 1995
  • Carboniferous and Cretaceous rock samples were collected from 3 and 12 sites respectively in the vicinity of the Okcheon Zone. Mean directions of characteristic component magnetizations from Carboniferous rocks along the Honam Shearzone reveal that the Okcheon zone was considerably rotated and deformed during Triassic. The amount of rotations were clockwisely $80.3^{\circ}$ in Mungyeong and $42.4^{\circ}$ in Hwasun areas. Mean directions of characteristic component magnetizations obtained from Cretaceous Yeongdong and Neungju Basin were identical to those from the Gyeongsang Basin in the Yeongnam Block indicating no relative motion between them since Cretaceous. Cretaceous paleopole position from 4 locations, $204.9^{\circ}E$ in longitude and $65.1^{\circ}N $ in latitude.

  • PDF

경상분지 북동부 백악기 하양층군 사암의 중광물분석 (Heavy Mineral Analysis of the Cretaceous Hayang Group Sandstones, Northeastern Gyeongsang Basin)

  • 이용태;신영식;김상욱;이윤종;고인석
    • 암석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4-23
    • /
    • 1999
  • 경상분지 북동부 안동단층 동단부의 길안지역에는 배악기 하양층군에 속하는 일직층, 후평동층, 점곡층과 사곡층이 분포하고 있다. 연구지역 사암의 기원암을 규명하기 위하여 일직층, 후평동층과 점곡층 사암에서 분리한 중광물을 해석하였다. 그 중광물 중 불투명광물은 적철석, 일메나이트, 류콕신, 갈철석, 자철석 및 황철석 등이고, 투명광물은 양기석, 홍주석, 인회석, 휘석, 흑운모, 금홍석, 스핀, 스피넬, 십자석, 전기석 및 저콘 등이다. 밀접하게 수반되고 기원암지시에 민감한 중광물들끼리 묶으면, 6개의 중광물군으로 구분된다. 1) 인회석-녹색전기석-스핀-무색/황색 저콘, 2) 무색 석류석-녹염석-금홍석-갈색 전기석, 3) 원마된 자색 저콘-원마된 전기석-원마된 금홍석, 4) 휘석-각섬석-무색저콘, 5) 녹염석-석류석-스핀, 6) 청색전기석 등이다. 각 중광물군이 지시하는 기원암은 1) 화강암질암, 2) 변성암류 (편암 및 편마암), 3) 고기 퇴적암류, 4) 안산암류, 5) 변성석회암 및 6) 페그마타이트질암 등으로 해석된다. 고수류에 관한 기존연구자료에 따르면, 퇴적물이 주로 북동부 및 남서부에 위치하였던 기원암으로부터 공급되었음을 지시하므로, 본역 하양층군의 가장 가능한 기원암은 북동부에 분포한 소백산 변성암 복합체와 남동부에 분포한 청송융기부를 이루는 화강암질 및 화산암류로 해석된다.

  • PDF

경상분지 북동부의 제3기 결정질 응회암에서 발달하는 미세균열의 방향성 (Microcrack Orientations in Tertiary Crystalline Tuff from Northeastern Gyeongsang Basin)

  • 박덕원
    • 암석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5-135
    • /
    • 2009
  • 경상분지 북동부 일대의 제3기 결정질 응회암에서 분포하는 미세균열의 전반적인 분포특성을 규명하였다. 포항시 흥해읍 및 청하면 지역에서 채취한 6개 암석시료의 수평면 상에서 발달하는 108조의 미세균열은 영상처리를 통하여 구별하였다. 이들 108조의 미세균열은 38장의 영상에서 뚜렷한 선상배열을 보여 주었다. 결정질 응회암에 대한 방향각(${\theta}$)-빈도수(N) 관계도의 전 영역은 미세균열의 분포상에 의하여 20개의 영역으로 분류할 수가 있다. 관계도에서 미세균열의 여러 조는 수직상의 일반적인 절리의 방향과 일치하는 강한 배향성을 보여 준다. 따라서 관계도의 각 영역내에서 빈도가 높은 방향각으로부터 거시적인 수직상 절리의 잠재성을 추측할 수가 있다. 관계도에서 나타난 이러한 절리의 형태는 강화군 석모도의 중생대 화강암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다. 결정질 응회암에서 도출한 미세균열의 방향을 종합한 장미도에서, 빈도등급에 따른 미세균열의 우세한 조들의 방향성은 암체에 작용한 최대 압축 주응력의 대표적인 방향성을 시사한다. 한편 결정질 응회암의 미세균열의 방향성에 대하여 경상분지 남서부의 불국사 화강암류에서 분포하는 열린 미세균열 그리고 국내 중생대 화강암류의 석산에서 발달하는 수직 결의 방향성과 비교하였다. 광역 분포도에서 상기한 결정질 응회암 및 불국사 화강암류의 미세균열 조 그리고 수직 결 사이의 분포형이 일치한다는 사실은 결정질 응회암에서 내재하는 미세균열의 계는 국내 중생대 화강암류에서도 광역적으로 발달함을 시사한다.

마산 각섬석-흑운모 화강암의 연령: 후기 백악기 정치연령 (The Late Cretaceous Emplacement Age of Masan Hornblende-Biotite Granite)

  • 이태호;박계헌;김정민;김명정
    • 암석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11
    • /
    • 2017
  • 백악기 경상분지 남부의 마산 각섬석-흑운모 화강암의 정치연령을 규명하기 위하여 K-Ar, Ar-Ar 및 U-Pb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각섬석 K-Ar 연대측정으로 구한 약 108 Ma의 연령은 이전에 보고된 Rb-Sr 연령과 비슷하다. 그러나 단입자 전용융으로 구한 각섬석 $^{40}Ar/^{39}Ar$ 연대측정 결과는 분산이 심하여 의미있는 연령을 구할 수 없었으며 이는 각섬석의 변질에 의한 동위원소계의 교란영향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동일 암석에서 분리한 각섬석에 대한 K-Ar 연대측정 결과 역시 신뢰하기 어렵다. 흑운모에 대한 단입자 전용융 $^{40}Ar/^{39}Ar$ 연대측정 결과는 평균 $75.8{\pm}3.0Ma$의 결과가 구해졌으며, 젊은 쪽으로 분산되는 45-75 Ma 범위의 값을 제거하면 약 80 Ma의 연령이 산출된다. 한편 SHRIMP와 LA-MC-ICPMS로 저어콘에 대한 U-Pb 연대측정을 수행하여 구한 마산 각섬석-흑운모 화강암의 정치연령은 각각 $87.6{\pm}2.7Ma$$86.8{\pm}0.4Ma$이다. 약 80 Ma의 흑운모 $^{40}Ar/^{39}Ar$ 연령은 마산 각섬석-흑운모 화강암의 냉각연령을 반영하는 것이거나 또는 주변에서 일어난 경상분지 내의 강한 화성활동에 의한 열적 교란의 영향일 수 있다.

진동화강암 및 유천-언양화강암의 광화작용에 관한 지화학적 연구 (A Geochemical Study on the Chindong and Yucbeon - Eonyang Granites in Relation to Mineralization)

  • 이재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22권1호
    • /
    • pp.21-34
    • /
    • 1989
  • Chindong granites are classified into granodiorite, tonalite and quartz-diorite, and Yucheon - Eonyang granites into monzo-granite by the Streckeisen diagram. These granitic rocks of Cretaceous age show trend of calc-alkaline magma, and the magmatic evolution from basic to acidic rocks is consistant with the general crystallization path of the Cretaceous granitic rocks in the Gyeongsang basin. On the basis of petrological and petrochemical data, variation of major elements (K, Na, Ca, Mg) and trace elements (Rb, Sr, Ba) including ore metals (Cu, Pb, Zn) in the Cretaceous granitic rocks were studied in detail in order to investigate geochemical difference of the granitic rocks in relation to mineralization between Cu province and Pb-Zn province in the Gyeongsang basin. There is clear difference in content of the major elements between Chindong granites and Yucheon-Eonyang granites : Chindong granites have low content of K (1.62%) and Na (2.53%), and high content of Ca (3.75%) and Mg (1.42%) whereas Yucheon-Eonyang granites have high content of K (3.56-3.60%), and low content of Ca (0.96-0.26%) and Mg (0.26-0.21%). There is also clear difference in content of trace lithophile elements between Chindong granites and Yucheon-Eonyang, granites : Chindong granites have low content of Rb (86ppm) and Ba (330ppm), and high content of Sr (405ppm) while Yucheon-Eonyang, granites have high content of Rb (144-161ppm) and Ba (983-1030ppm), and low content of Sr (157-136ppm). The lithophile trace elements of Rb and Sr vary with close relationship to major elements of K and Ca, respectively. Therefore, Chindong granites are much easily distinguished from Yucheon-Eonyang granites by using relationship of K with Rb and Ca with Sr : K<3%, Rb<100ppm, Ca<2% and Sr>200ppm for Chindong granites, and K>3%, Rb>100ppm, Ca<2%, and Sr<200ppm for Yucheon-Eonyang granites. There is not clear difference in content of trace ore metals between Chindong granites and Yucheon-Eonyang granites : Chindong granites of the Cu province have low Cu content (15ppm) which is nearly equal to 13-14ppm of Yucheon-Eonyang granites of the Pb-Zn province, and Yucheon-Eonyang granites have Pb content (29-27ppm) which is rather lower than 37ppm of Chindong granites. But Cu is anomalously high in the mineralized part of Chindong granites in Gunbuk-Haman area, and Zn is apparently higher in Yucheon-Eonyang granites (51-37ppm) than in Chindong granites (29ppm). K/Pb ratio is also c1early distinguishable between Chindong granites (<850) and Yucheon-Eonyang granites (>850). Thus, it may be possible to apply geochemical difference of the granites to distinguish whether a Cretaceous granitic body is Cu related rock or Pb-Zn related rock, and whether it belongs to Cu province or Pb-Zn province in the Gyeongsang basi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