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round state

Search Result 1,32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outheast Asian Studies: Insiders and Outsiders, or is Culture and Identity a Way Forward?

  • King, Victor T.
    • 수완나부미
    • /
    • 제8권1호
    • /
    • pp.17-53
    • /
    • 2016
  • Debates continue to multiply on the definition and rationale of Southeast Asia as a region and on the utility of the multidisciplinary field of area studies. However, we have now entered a post-colonialist, post-Orientalist, post-structuralist stage of reflection and re-orientation in the era of globalization, and a strong tendency on the part of insiders to pose these issues in terms of an insider-outsider dichotomy. On the one hand, the study of Southeast Asia for researchers from outside the region has become fragmented. This is for very obvious reasons: the strengthening and re-energizing of academic disciplines, the increasing popularity of other non-regional multidisciplinary studies, and the entry of globalization studies into our field of vision. On the other hand, how has the local Southeast Asian academy addressed these major issues of change in conceptualizing the region from an insider perspective? In filling in and giving substance to an outsider, primarily Euro-American-Australian-centric definition and vision of Southeast Asia, some local academics have recently been inclined to construct Southeast Asia in terms of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a nation-state-based, institutional definition of what a region comprises. Others continue to operate at a localized level exploring small-scale communities and territories, while a modest number focus on sub-regional issues (the Malay-Indonesian world or the Mekong sub-region are examples). However, further reflections suggest that the Euro-American-Australian hegemony is a thing of the past and the ground has shifted to a much greater emphasis on academic activity within the region. Southeast Asia-based academics are also finding it much more important to network within the region and to capture, understand, and analyze what Chinese, Japanese, and Korean scholars are saying about Southeast Asia, its present circumstances and trajectories, and their increasingly close involvement with the region within a greater Asia-Pacific rim. The paper argues that the insider-outsider dichotomy requires considerable qualification. It is a neat way of dramatizing the aftermath of colonialism and Orientalism and of reasserting local priorities, agendas, and interests. But there might be a way forward in resolving at least some of these apparently opposed positions with recourse to the concepts of culture and identity in order to address Southeast Asian diversities, movements, encounters, hybridization, and hierarchies.

  • PDF

수치해석을 통한 철도노반 인접 굴착 시 궤도틀림 분석 (Numerical Analysis of Track Irregularity in Excavation Adjacent to Railway Trackbed)

  • 이석준;오동욱;장성민;반즈락츠가랍;정혁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12호
    • /
    • pp.39-45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3차원 수치해석을 통해 철도 노반에 인접한 굴착공사 시 궤도의 틀림을 분석하였다. 철도 노반에 인접한 굴착 공사는 열차 주행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 공사 시 인접 구조물의 안정성 및 영향성 검토를 필수로 수행하고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사에 따른 침하 및 궤도틀림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 굴착공사로 인한 지하수위, 지반의 응력 상태 변화 등은 인접 굴착 공사에 따른 구조물의 침하와 궤도틀림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접 굴착 공사 시 궤도 틀림을 유발하는 인자를 변수로 고려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운행 열차를 모사하기 위해 KRL-2012 표준 열차하중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열차하중의 위치, 굴착지점과의 거리가 궤도틀림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열차 하중이 작용할 때 궤도 틀림이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수위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Vibrational Relaxation and Bond Dissociation in Methylpyrazine on Collision with N2 and O2

  • Young-Jin Yu;Sang Kwon Lee;Jongbaik Ree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6호
    • /
    • pp.407-414
    • /
    • 2023
  • The present study uses quasi-classical trajectory procedures to examine the vibrational relaxation and dissociation of the methyl and ring C-H bonds in excited methylpyrazine (MP) during collision with either N2 or O2. The energy-loss (-ΔE) of the excited MP is calculated as the total vibrational energy (ET) of MP is increased in the range of 5,000 to 40,000cm-1.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llision-induced vibrational relaxation of MP is not large, increasing gradually with increasing ET between 5,000 and 30,000 cm-1, but then decreasing with the further increase in ET. In both N2 and O2 collisions, the vibrational relaxation of MP occurs mainly via the vibration-to-translation (V→T) and vibration-to-vibration (V→V) energy transfer pathways, while the vibration-to-rotation (V→R) energy transfer pathway is negligible. In both collision systems, the V→T transfer shows a similar pattern and amount of energy loss in the ET range of 5,000 to 40,000cm-1, whereas the pattern and amount of energy transfer via the V→V pathway differs significantly between two collision systems. The collision-induced dissociation of the C-Hmethyl or C-Hring bond occurs when highly excited MP (65,000-72,000 cm-1) interacts with the ground-state N2 or O2. Here, the dissociation probability is low (10-4-10-1), but increases exponentially with increasing vibrational excitation.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intermolecular interaction below ET = 71,000 cm-1. By contrast, the bond dissociation above ET = 71,000 cm-1 is due to the intramolecular energy flow between the excited C-H bonds. The probability of C-Hmethyl dissociation is higher than that of C-Hring dissociation.

가속도계를 활용한 지하 및 지반구조물 상시 계측 방안에 관한 연구 (Study of Continuous Monitoring for Underground and Geotechnical Structures using Accelerometers)

  • 김건웅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9-27
    • /
    • 2024
  • 댐과 터널 그리고 사면 같은 지반구조물의 정기적인 계측 및 모니터링은 안전성 유지를 위해 필요하다. 국내에서는 드론과 가속도계와 같은 장비를 활용하여 지반구조물에 대한 점검 및 모니터링을 수행한다. 하지만, 드론은 구조물 및 지반 내부의 변화를 파악에 어려움이 있고, 가속도계는 일반적으로 내진 설계나 변형량 측정에만 활용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가속도계를 활용하여 지반 내부 정보를 실시간 또는 정기적으로 계측하기 위해 SASW 시험 활용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SASW 시험의 해석 기법의 일부분만 활용하여 지반구조물의 강도 및 상태 변화를 추적한다. 이를 위해, SASW를 활용하여 사면, 댐 및 터널과 같은 지반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한 사례들을 분석하여 기술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장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복잡한 해석을 요구하는 전단 속도 프로파일을 도출하는 2차 해석보다는 분산곡선을 도출하는 1차 해석만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기술을 통해 가속도계를 활용하여 지반구조물의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유지보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ir Pollution Tolerance and Heavy Metal Accumulation of Selected Tree Species at Swamp Forest Research Station, Onne, Rivers State

  • Rosemary Egodi Ubaekwe;Victoria Amarachi Okpara;Uzoma Darlington Chima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40권3호
    • /
    • pp.227-240
    • /
    • 2024
  • Trees improve air quality through the accumulation of air pollutants in their leaves; however, the responses of different tree species to air pollution varies. Hence, this study evaluated the responses to air pollution of selected tree species in the Swamp Forest Research Station, Onne. Ten tree species (Cola pachycarpa, Khaya grandifoliolia, Irvingia gabonensis, Garcinia kola, Chrysophyllum albidum, Treculia africana, Dacryodes edulis, Tectonia grandis, Gmelina aborea, and Nauclea diderrichii)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abundance in the area. Leaves were collected from all sides in 3 replicates for each tree species. Laboratory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standard procedures. Portable Multi Gas Detector was us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was employed to test for significant difference (p≤0.05) in biochemical parameters among the tree species while Pearson's correlation was utilized to determine the level of association between different biochemical parameters and APTI; heavy metals and APTI. Results showed high concentration of PM10, CO, moderate concentration of NO2, PM2.5, and VOC, and low concentration of ground O3. Heavy metals - Cadmium, Mercury, Lead, Nickel and Copper were all present in the tree species at varying rat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iochemical parameters and APTI values. C. pachycarpa exhibited the highest APTI value (89.88), while D. edulis had the lowest APTI value (8.24). C. pachycarpa, K. grandifoliolia, C. albidum, G. kola, T. africana, and N. diderrichii were identified as tolerant tree species to air pollution. G. aborea, T. grandis, and I. gabonensis were considered intermediate tolerant species, while D. edulis was the only tree species sensitive to air pollution. Ascorbic Acid, Chlorophyll, Hg and Ni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PTI; Cd and Cu had negative association with APTI at the 0.05 significance level. C. pachycarpa, T. africana, K. grandifoliolia, C. albidum, N. diderrichii and G. kola, are recommended for planting in pollution-prone areas.

운용 중 쉴드터널 계측결과를 이용한 응력 및 하중상태 변화추이 고찰 (Consideration of stress and load state changes using measurement results of a shield tunnel in operation)

  • 김용학;조국환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463-476
    • /
    • 2024
  • 쉴드 TBM 공법은 소음·진동 등의 환경위해요소를 배재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며 연약한 지반조건에서도 안전한 터널건설이 가능하지만 기존 NATM 공법에 비해 고가의 공사비로 인해 적용에 많은 제약이 있다. 따라서 쉴드 TBM 공법의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공사비 절감을 통한 경제성 확보가 필요하며 이중 쉴드 TBM 터널 공사비의 약 35~4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세그먼트 공사비 절감이 매우 중요하다. 그 일환으로 본 논문에서는 쉴드 TBM 시공경험이 풍부한 일본의 쉴드 TBM 장기계측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터널 시공 및 운용 중 세그먼트 응력, 터널외부하중 조건 등의 변화추이를 고찰하고 설계단계의 예상치와 운용 중 계측값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쉴드 TBM 설계단계에서 세그먼트 경제성 확보를 위한 개선사항을 연구하고자 한다.

식물 치사관련 유전자를 이용하는 신규 제초제 작용점 탐색 및 조절물질 개발동향 (A prognosis discovering lethal-related genes in plants for target identification and inhibitor design)

  • 황인택;이동희;최정섭;김태준;김범태;박유신;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11
    • /
    • 2001
  • 신규 제초제 작용점의 발굴은 유전체학과 조합화학 등 새로운 기술이 등장하여 그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대략 $10^{30}$에서 $10^{50}$여 개의 화학물질의 합성이 가능하고 50,000여 개의 식물 유전자 지도가 완성되어 이들의 조합으로 새로운 제초제의 작용점 발굴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즉, 고등식물이 가지고 있는 50,000여 개의 유전자 가운데 0.1%, 1.0% 또는 10%가 신규 작용점이 된다면 50, 500, 5000개의 신규 작용점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신규 제초제의 개발을 위해서는 target enzyme의 선택과 결정, 저해제의 설계, 작용점까지 도달하는 과정, 대사적인 운명 등 여러가지 요인들이 검토되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확실한 작용점의 선택에 있다. 또한 다양한 생화학적 정보를 통하여 작용점/효소의 저해로부터 고사에 이르는 과정을 이해함은 물론 보다 강력한 저해제의 합성과 살초과정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 동안에는 이미 알려진 작용점을 대상으로 신규 화합물을 합성하거나 유도체를 개발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최근에는 antisense 기법 등을 활용하여 새로운 치사관련 작용점을 찾아내는데 잠재력과 가능성을 확대시켜주고 있다. 새로운 치사관련 작용점을 발굴한 후에는 대상효소의 화학적, 생화학적 기능과 단백질의 구조를 분석하여 강력한 저해제를 설계하는데 활용하게 될 것이다. 치사관련 돌연변이체와 antisense 기법을 활용하고, 식물 생리학적 반응을 기초로 하여 리드화합물을 탐색하는 것은 새로운 접근방식이며 농약 화학적 특성을 갖는 효소 저해제들의 합성은 크게 6가지로 할 수 있다. 공통특이시얀 기질 유사체 합성, affinity labels, 자살기질체, 반응중간산물, 그리고 extraneous site inhibitors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후보화합물이 선발된다 하여도 실제식물에 처리하여 흡수, 이행, 대사 등에 관한 시험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새로운 제초제를 탄생시킬 수 있다. 또한 약물의 전달과정과 무독화작용을 통하여 pro-herbicide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게 될 것이며, 마지막으로 잡초와 작물간의 선택성이 고려되어야 효소 측이적 접근방식에 의한 신규 선택성 제초제의 개발이 성공할 수 있는 것이다.

  • PDF

영공(領空)과 우주공간(宇宙空間)의 한계(限界)에 관한 법적(法的) 고찰(考察) ("Legal Study on Boundary between Airspace and Outer Space")

  • 최완식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권
    • /
    • pp.31-67
    • /
    • 1990
  • One of the first issues which arose in the evolution of air law was the determination of the vertical limits of airspace over private property. In 1959 the UN in its Ad Hoc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started to give attention to the question of the meaning of the term "outer space". Discussions in the United Nations regarding the delimitation issue were often divided between those in favour of a functional approach ("functionalists"), and those seeking the delineation of a boundary ("spatialists"). The functionalists, backed initially by both major space powers, which viewed any boundary as possibly restricting their access to space(Whether for peaceful or military purposes), won the first rounds, starting with the 1959 Report of the Ad Hoc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which did not consider that the topic called for priority consideration. In 1966, however, the spatialists, were able to place the issue on the agenda of the Outer Sapce Committee pursuant to Resolution 2222 (xxx1). However, the spatialists were not able to present a common position since there existed a variety of propositions for delineation of a boundary. Over the years, the funtionalists have seemed to be losing ground. As the element of location is a decisive factor for the choice of the legal regime to be applied, a purely functional approach to the regulation of activities in the space above the Earth does not offer a solution. It is therefore to be welcomed that there is clear evidence of a growing recognition of the defect inherent to such an approach and that a spatial approach to the problem is gaining support both by a growing number of States as well as by publicists. The search for a solution of the problem of demarcating the two different legal regimes governing the space above the Earth has undoubtedly been facilitated, and a number of countries, among them Argentina, Belgium, France, Italy and Mexico have already advocated the acceptance of the lower boundary of outer space at a height of 100km. The adoption of the principle of sovereignty at that height does not mean that States would not be allowed to take protective measures against space activities above that height which constitute a threat to their security. A parallel can be drawn with the defence of the State's security on the high seas. Measures taken by States in their own protection on the high seas outside the territorial waters-provided that they are proportionate to the danger-are not considered to infringe the principle of international law. The most important issue in this context relates to the problem of a right of passage for space craft through foreign air space in order to reach outer space. In the reports to former ILA Conferences an explanation was given of the reasons why no customary rule of freedom of passage for aircraft through foreign territorial air space could as yet be said to exist. It was suggested, however, that though the essential elements for the creation of a rule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llowing such passage were still lacking, developments apperaed to point to a steady growth of a feeling of necessity for such a rule. A definite treaty solution of the demarcation problem would require further study which should be carried out by the UN Outer Space Committee in close co-operation with other intereste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cluding ICAO. If a limit between air space and outer space were established, air space would automatically come under the regime of the Chicago Convention alone. The use of the word "recognize" in Art. I of chicago convention is an acknowledgement of sovereignty over airspace existing as a general principle of law, the binding force of which exists independently of the Convention. Furth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Aricle recognizes this sovereignty, as existing for every state, holding it immaterial whether the state is or is not a contracting state. The functional criteria having been created by reference to either the nature of activity or the nature of the space object, the next hurdle would be to provide methods of verification. With regard to the question of international verification the establishment of an International Satelite Monitoring Agency is required. The path towards the successful delimitation of outer space from territorial space is doubtless narrow and stony but the establishment of a precise legal framework, consonant with the basic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for the future activities of states in outer space will, it is still believed, remove a source of potentially dangerous conflicts between states, and furthermore afford some safeguard of the rights and interests of non-space powers which otherwise are likely to be eroded by incipient customs based on at present almost complete freedom of action of the space powers.

  • PDF

공해의 상공비행에 관한 국제법 (International Law on the Flight over the High Seas)

  • 김한택
    • 항공우주정책ㆍ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30
    • /
    • 2011
  • 1982년 UN해양법협약 제86조에 의하면 공해는 영해와 내수는 물론이고 접속수역, 배타적 경제수역이 아닌 수역을 의미하므로 기존의 공해였던 부분이 상당히 연안국관할권 하에 놓이게 되었다. 이와 같은 공해의 상공비행과 관련된 국제법에 관한 사항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항공기의 국적에 관하여 1944년 시카고협약 제17조에 의하면 항공기는 등록한 국가의 국적을 갖는다. 여기서 항공법이 해양법과 구별되는 측면이 있는데, 선박에는 통용되는 '편의치적'(便宜置籍 또는 편의기국, flags of convenience)이 항공기에는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항공기에 대한 실질적 소유와 효과적 통제가 유지된다. 둘째, UN해양법협약 제95조는 공해상 군함의 면제권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공해에 있는 군함은 기국외의 어떠한 국가의 관할권으로부터도 완전히 면제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군용항공기(또는 군용기)의 경우도 이에 준하는 면책권을 향유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UN해양법협약은 해적에 관한 정의를 제101조에 명시하고 있는데, 해적행위가 공해상의 선박에 대하여 행해 질 경우, 공해상의 선박뿐만 아니라 항공기에 의해서도 행해질 수 있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넷째, UN해양법협약 제111조는 추적권에 관하여 상세하게 규정하고 있는데 이러한 추적권은 군함이나 군용항공기 또는 기타 정부역무에 종사함이 명백히 표시되고 식별되며 이에 대한 권한이 부여된 선박이나 항공기에 의해서만 행사되어질수 있음을 명시하여 선박 뿐 아니라 항공기에 의해서 추적이 행사될 수 있음을 규정하고 있다. 다섯째, UN해양법협약 제110조는 임검권(right of approach)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외국선박을 공해에서 만난 군함은 일정 혐의를 가지고 있다는 합리적 근거가 있는 한 그 선박을 임검하는 것은 정당화되는데, 이러한 규정은 군용항공기에도 준용되고, 이러한 규정은 또한 정부 업무에 사용 중인 것으로 명백히 표시되어 식별이 가능하며 정당하게 권한이 부여된 그 밖의 모든 선박이나 항공기에도 적용된다. 여섯째, 1982년 UN해양법협약은 해양오염과 항공기의 관계를 규정하고 있는데, 제212조는 대기에 의한 또는 대기를 통한 오염을 규정하고, 제222조는 대기에 의한 또는 대기를 통한 오염관련 법령집행을 규정하고 있고, UN해양법협약은 제1항에서 '투기'(dumping)에 의한 오염을 규정하고 있는데 각 조항은 자국기를 게양하고 있는 선박 또는 자국에 등록된 선박뿐만 아니라 항공기에도 적용되는 법령을 채택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일곱 번째, 공해상공에서 발생한 범죄에 관하여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의 주관하에 1963년 도쿄에서 개최된 회의에서 이러한 문제를 종합적으로 해결한 협약인 도쿄협약이 제정되었다. 또한 ICAO의 주관 하에 하이재킹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1970년 12월 16일 헤이그협약이 체결되었으며, 사보타지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ICAO에 의해서 1971년 9월 23일 몬트리올협약이 체결되었다. 도쿄협약, 헤이그협약, 몬트리올협약 모두 공해상에서 발생한 범죄에 대하여 항공기의 기국관할권(flag State jurisdiction)을 인정하고 있다. 여덟 번째, 공해상에서 연안국의 영토에 진입하지 않고 실시하는 정찰행위는 국제법 위반행위가 아니다. 이는 관련항공기의 공해상 정찰행위는 연안국 영토를 침범하지 않고 행해지는 것으로 공해상공비행의 자유가 우선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이다. 아홉 번째, 연안국에 의한 공해상 설치된 '방공식별구역'(또는 방공확인구역, Air Defence Identification Zone: ADIZ)이 국제법상 합법적인가 하는 문제가 있는데, 이에 관하여 합의된 결론은 없고, 실제로 실행국가의 국내법에 따라 규율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북극해는 얼어있는 바다가 대부분이므로 북극해의 상공비행은 공해의 상공비행과 유사하다. 20세기후반부터 아시아, 북아메리카, 유럽을 잇는 항공로가 북극을 경유하도록 고안되었는데, 매우 추운 지방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북극 항공노선에서 사고가 발생한 경우는 없다. 그러나 최근 기후온난화로 얼음이 녹기시작하면서 북극을 이용한 선박의 해로가 개발되면서 북극에 대한 자원개방을 둘러싼 연안국가들의 관할권주장이 열기를 띠고 있으므로 배타적 경제수역(EEZ)과 같은 연안국들의 해역선포는 북극해 비행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 PDF

세립분 함유율에 따른 중간토의 컨시스턴시 분석 (Consistency Analysis of Intermediate Soil Based on the Fines Contents)

  • 오세욱;배우석;방성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17-26
    • /
    • 2021
  • 일반적으로 각종 구조물 등의 침하 또는 안정성 검토 등에 사용하는 지반조사 및 결과분석은 사질토와 점성토에 따라 다르며, 세립토의 경우 주로 흙의 컨시스턴시를 이용하여 지반의 물리적 특성과 흙 분류, 공학적 거동을 평가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 액성한계를 분석하는 방법은 Casagrande로 비교적 간단하게 액성한계를 구할 수 있으나 사질토를 함유한 중간적인 성질을 가지는 흙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점토의 액·소성한계를 가지고 압축지수를 추정할 때 세립분 함유율에 따라 액성한계치를 수정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질토를 함유한 중간토의 특성을 고려하여 양산, 광양, 부산지역의 점토와 사질토를 혼합한 중간토를 제작하여 컨시스턴시 한계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컨시스턴시 보정 제안식을 활용하여 적용성 평가를 하였다. 중간토는 점토와 사질토의 혼합시료로써 중간토 제작을 위해 세립토 함유율(Fc)을 50%, 75%, 100%를 적용하였다. 중간토는 자연 상태의 점토 특성을 재현하기 위해 벤토나이트를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시료를 성형 한 다음 물리적 특성 시험 및 컨시스턴시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기존 연구에서 제안된 컨시스턴시 보정식과 실험에 의한 컨시스턴시 결과치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채취한 시료의 컨시스턴시와 보정 제안식에 의해 수정된 컨시스턴시를 비교·분석하고, 보정된 컨시스턴시 값을 적용하여 사질토가 함유된 중간토의 압축지수 등 공학적 특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제안식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